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전국 근로자 연령별, 성별 사망률(및 암 발생률)데이터 구축(I)

연구책임자
이혜은,이유진
수 행 연 도
2011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과 제 명 : 전국 근로자 연령별, 성별 사망률 ( 및 암 발생률) 데이터베이스 구축 (I) 2. 연구기간 : 2011. 1. ~ 2011. 10. 3. 연구목적 및 필요성 직업과 관련된 사망 및 암 발생에 대한 연구는 산업역학 분야에서 과거로부터 그 중요성이 강조된 연구주제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직업코호트 연구는 대부분 일반 인구를 비교집단으로 표준화 사망비 혹은 표준화 암 발생비를 분석함에 따라 건강근로자 효과에 의한 바이어스가 주된 제한점으로 작용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일반인구가 아닌 전체 근로자의 사망률 및 암 발생률 자료를 생산하는 것이 향후 사망 또는 암 발생에 대한 직업 코호트 연구 시에 비교인구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체인구가 아닌 근로자집단의 사망률 및 암 발생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향후 직업코호트연구의 비교집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고 우리나라 근로자의 업종, 직종 등의 직업적 요인에 따른 사망 및 암 위험을 평가하고자 한다. 4. 연구방법 및 내용 조사대상 : 조사대상은 1995년-2000년간 고용보험에 가입된 적이 있는 국내 근로자이다. 조사방법 : 근로자의 사망률과 암 발생률을 분석하기 위해 분모에 해당하는 관찰인년은 코호트 입적일 (고용보험가입일) 로부터 관찰 종료일(사망일 혹은 사망 및 암 발생 추적 가능일)까지의 기간을 모두 더하였고 분자는 해당 기간 내의 사망자 수 및 암 발생자 수로 하였다. 성별과 연령군 별로 층화하여 각 층에 해당하는 사망원인별 사망률 및 암 종별 암 발생률을 계산하였고 직종과 업종에 따라 하위코호트를 구축하여 사망률 및 암 발생률을 구하고 서로 비교를 위해 20000년 15-74세의 주민등록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한 연령표준화율을 구하였다. 5. 결과 코호트에 포함된 근로자는 남성 7,327,344명, 여성 4,015,471명으로 모두 11,342,815명이었으며 이 중 292,763명이 1995-2009년 중에 사망하였고 245,125건의 암이 발생하였다. 사망률 분석의 경우 전체 코호트의 관찰인년(person-year)은 141,442,957인년이었고 암 발생률 분석의 경우 관찰인년은 130,099,698인년이었다. 모든 사망원인에 대한 사망률은 조사망률로서 10 만명 당 남성 274.7명, 여성 80.0명, 계 207.0명이었으며 연령표준화사망률로서 남성의 경우 342.6명, 여성의 경우 146.8명이었다. 사망률이 높았던 사망원인으로는 신생물 (남성 117.4, 여성 61.0)이 가장 높았고 신생물 중에는 간암 (남성 27.6, 여성 6.8), 폐암 (남성 25.4, 여성 8.0)의 사망률이 높았다. 신생물 다음으로는 외인에 의한 사망(남성 88.9, 여성 28.9)이 높았으며 운수사고 (남성 34.4, 여성 10.0), 자살 (남성 28.6, 여성 11.9) 의 사망률이 높았다. 다음으로는 순환기계통의 질환 (남성 57.6, 여성 27.8)이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사무직과 생산직을 나누어 연령표준화사망률을 분석하였을 때 사무직의 경우 남성 251.9, 여성 130.7, 생산직의 경우 남성 417.2, 여성 160.0으로 남성과 여성에서 모두 생산직의 사망률이 높았으며 남성에서 그 차이가 더 컸다. 모든 암 (C00-C97)의 발생률은 조발생률로서 10 만명 당 남성 200.7, 여성 162.4, 계 187.4를 보였고 연령표준화발생률은 남성 380.5, 여성 357.6으로 남성에서의 발생률이 약간 높았고 남성에서 발생률이 높았던 암 종은 위암 (98.2), 대장암 (61.8), 간암 (46.7), 폐암 (44.3) 순이었고 여성에서 발생률이 높았던 암종은 유방암 (58.1), 갑상선암 (56.6), 위암 (54.5) 순으로 발생률이 높았다. 직종을 구분하여 분석하였을 때 모든 암 (C00-C97)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은 사무직의 경우 남성 400.0, 여성 436.0, 생산직의 경우 남성 369.4, 여성 324.1로 남성과 여성에서 모두 사무직의 발생률이 높아 사망률 분석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남성의 경우 대부분의 암 종에서 사무직의 발생률이 생산직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위암, 폐암은 사무직보다 생산직에서의 발생률이 높았고 특히 폐암에서 그 차이가 있었다. 6. 활용 및 기대효과 근로자집단의 연령별, 성별 사망률 및 암 발생률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함으로서 향후 직업관련 코호트 연구에서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7. 중심어 직업 코호트연구, 사망률, 암 발생률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