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 실태조사 및 예방 매뉴얼 개발

연구책임자
이상윤,이윤근,주영수,김명희,최경숙,유계묵
수 행 연 도
2011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요양보호사의 업무는 대부분 육체적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이며, 반복적이고 근육, 관절에 부담을 주는 것이 많은데다가, 대부분의 요양보호사가 4-50대 중년 여성으로 구성되어 근골격계질환 위험 부담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질환은 개인 및 사회에 경제적, 보건학적 부담을 지움에도 불구하고 제도 시행 초기에 따른 준비 부족 등의 이유로 이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에 대한 평가와 예방관리 방안 마련 등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조사에 기반하여 작업위험도를 평가하고, 그러한 위험으로 인한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장기요양기관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매뉴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1) 현황 및 문제점 파악 연구진 회의 및 공개세미나 등을 통하여 관련 문헌을 검토, 정리하였다. 요양보호사 집단, 시설 관리자 집단, 재가요양시설 관리자 집단 등을 대상으로 실태조사 및 매뉴얼 개발을 실시하기 전 단계로 기본 현황 및 요구도 파악을 위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2)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위험도 평가 및 실태조사 (1) 위험요인 자가평가표 개발 먼저 요양보호사군과 표적 집단 인터뷰를 통해 주요한 위험 작업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요양보호사들의 작업 특성을 반영한 자기평가표를 구성하였다. (2)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 정밀 평가 주로 작업자세가 문제되는 작업은 비디오촬영을 실시한 후 반복적인 리뷰를 통해 작업자세를 관찰하고, REBA 평가표를 이용한 자세점수를 평가하였다. 환자의 체위 변경이나 이동 작업시 요추부에 가해지는 디스크 압력은 요추1번과 천추1번(L5/S1) 사이에 가해지는 부하를 3DSSPP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중량물 들기 작업은 미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개발된 중량물 들기지수(NIOSH Lifting Guidelines)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3) 근골격계질환 증상 및 관련 요인 조사 설문대상자 선정이 최대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층화 무작위 추출(stratified random sampling)을 시행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분석에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시설 요양보호사는 501명, 재가 요양보호사는 442명 총 943명의 설문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3) 근골격계질환 예방 매뉴얼 개발 기존 문헌 고찰, 초점집단인터뷰, 실태조사 결과 등을 반영하여 장기요양기관 등에서 실제 활용 가능한 매뉴얼을 개발하고 전국요양보호사협회 등을 통해 매뉴얼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3. 연구결과 1)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 자가평가표 개발 요양보호사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의 평가 요소는 순간순간적인 힘이 문제되는 작업 요소에 대한 빈도 평가와 작업자세 및 반복성이 지속되는 요소에 대한 작업 비중 평가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2)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 정밀평가 (1) 재가 요양 환자 이동 작업은 식사 및 목욕 작업시 수반되는 작업이다. 재가 요양의 경우 환자를 부축하여 세우거나, 바닥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진다. 요추부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힘이 문제되는 작업이다. 부분목욕의 처음 준비작업과 구강관리 작업은 별다른 위험요인이 없으나 면도 작업은 허리 및 무릎 부위의 작업자세, 그리고 손목 부위의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반복성 등이 문제될 수 있다. 전신목욕은 작업빈도는 많지 않으나 가장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다. 특히 목욕하는 과정에서는 15분 이상 쪼그린 상태에서 허리를 45도 내외로 숙이거나 비트는 자세를 지속하게 되며, 환자를 이동할 때는 요추부에 가중되는 디스크 부하가 안전기준(3400N)을 초과하게 된다. 침상 목욕은 작업빈도는 많지 않으나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다. 특히 머리감기기 및 상체 목욕시 허리를 60도 이상숙인 자세를 지속하고 손목 부위에 지속적인 힘이 필요한 작업이다. 또한 목욕하는 과정 중 수차례에 걸친 체위 변경 작업이 있어 요추부에 가중되는 디스크 부하가 매우 큰 작업이다. (2) 시설 요양 환자 이동 작업은 주로 목욕 및 화장실 이용시 수반되는 작업이다. 시설 요양의 경우 환자를 부축하여 세우거나,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진다. 요추부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힘이 문제되는 작업이다. 트레이를 활용한 환자 목욕작업은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다. 특히 목욕하는 과정에서는 허리를 45 내외로 숙이거나 비트는 자세를 지속하게 되며, 환자를 이동할 때는 요추부에 가중되는 디스크 부하가 (61kg 환자 기준) L4-L5는 3770N, L5-S1은 3851±285N의 압력으로 계산되어 안전기준(3400N)을 초과하게 된다. 휠체어에서의 전신목욕은 목욕하는 과정에서는 허리를 60도 이상 숙이거나 비트는 자세를 지속하게 되며, 환자를 이동할 때는 요추부에 가중되는 디스크 부하가 안전기준(3400N)을 초과하게 된다. 3)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 설문 조사 결과 근골격계 자각증상 설문에 응답한 전체 요양보호사는 총 943명이었다. 그 중 시설 요양보호사는 501명이었고, 재가 요양보호사는 442명이었다. 직업과 관련하여 근골격계질환 자작증상이 적어도 1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혹은 지난 1년 동안 1달에 1번 이상 발생한 경우를 증상호소자로 분류하였다.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설문에 응답한 전체 요양보호사에서 NIOSH 기준에 따라 한 부위 이상에서 증상호소자로 분류된 빈도는 전체 943명 중 925명(98.09%)으로 나타 났다. 전체 요양보호사에서 증상호소자의 빈도를 신체 부위별로 살펴보면 허리와 어깨가 각각 84.94%와 84.31%로 높았고 그 다음으로 손/손목/손가락(77.52%), 다리/무릎(75.61%), 목(69.88%), 팔/팔꿈치(69.46%) 순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 종류별로 비교하면 시설 요양보호사의 증상 호소율이 재가 요양보호사의 증상 호소율에 비해 높았다. 4) 정책 제안 현재 요양시설은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으로 분류되어 안전보건관리체제, 안전보건관리규정, 안전보건 교육, 관리책임자 교육 등의법 조항이 적용 대상이 아닌 상태이다. 이들의 안전보건 관리 의무와 관련된 업종 분류가 개선되어야 한다. 입소 시설 요양보호사의 경우 CLEAN 사업을 활용하여 시설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을 펼 필요가 있다.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비용 지원 사업을 요양시설에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이 비용으로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조사나 예방관리 교육 등 예방관리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요양시설 관리자나 사업주에게 산언안전보건법 준수 의무를 고지하고 교육하여 이를 준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요양시설의 특성상 시설 자체적으로 근골격계질환 예방괸리를 위한 의학적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힘든 조건이므로, 지역보건센터를 설립하여 이곳에서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의학적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요양시설에 적합한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보급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체적인 예방관리 활동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교육한다. 4.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 예방 매뉴얼 매뉴얼에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사업주 및 관리자가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예방관리 방안을 담았다. 5. 활용 및 기대효과 이 연구를 통해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간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했던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요양보호사 직무 교육시 필수 교육 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보이고,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설 관리자 교육시 필수 교육 과정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요양시설 관리자들이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 결과 궁극적으로는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교육이 확대되고 예방관리 프로그램이 증가하여,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이 감소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6. 중심어 요양보호사, 근골격계질환, 노인장기요양보험, 입소시설, 재가요양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