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VDT사무작업환경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관리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김대성,김규상,원용림
수 행 연 도
2011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기계화 및 자동화의 급속한 진전, 컴퓨터 및 인터넷의 활용 증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작업의 유연화 등으로 영상표시단말기(Visual Display Terminal, VDT)를 이용하는 사무작업의 형태가 은행, 일반사무, 콜센터, 설계, 정밀 검사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노동부고시 “영상표시단말기 취급 근로자의 작업관리지침”이 있으나, 20여년동안 한국인의 신체조건에 맞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유지해 오고 있다. 또한, VDT 사무작업환경과 기술적 수준도 상당히 큰 변화를 겪었음에도 일반사무작업만을 대상으로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 VDT 사무작업에 대한 작업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실태조사 실시 - 작업유형별로 다양한 작업조건에 대한 실험연구 * 신체조건, 책상이나 의자의 조절범위, VDT 형태, 모니터 크기 및 해상도 조건 등 실태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다양한 VDT 작업유형에 대한 실험연구를 실시함 * 작업조건에 따른 실험을 통해 유사 작업유형에 대한 근골격계질환 발생 유해요인 파악하고자 함. - 실태조사 및 실험연구를 통해 사무작업 형태별 유해요인 관리방안 제시. 3. 연구결과 - 사무용 책상과 의자에 대한 제원조사 결과 * 책상 높이의 경우 판매되고 있는 책상과 인체치수를 비교한 결과, 남성의 50%tile 이하, 여성의 75%tile 이하는 모두 수용하지 못하고 있음. 설계 및 제작기준인 KS도 남성의 50%tile이하, 여성의 75%tile 이하는 수용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판매되고 있는 의자 좌면높이의 경우 남성의 25%tile 이하, 여성의 75%tile 이하는 수용하지 못하고 있음, 설계기준도 여성의 75%tile 이하, 남성의 25%tile 이하와 75%tile이상은 수용하지 못하므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됨. - VDT 사무작업유형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 최근 1년 동안 근골격계질환과 관련한 증상 호소비율은 90.2%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통증부위로는 어깨가 전체 57.0%, 목이 38.3%로 정적인 자세로 VDT 사무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부위와 일치하고 있음. * 휴식시간에는 커피를 마시는 경우가 63.9%, 동료들과 대화하는 경우가 60.7%로 나타났고, 스트레칭 하는 경우는 17.0%이며 VDT 예방체조를하는 경우는 0%로 나타남. ?사용하는 의자에 대한 만족도는 20.3%, 불만족은 33.4%이며, 책상에 대한 만족도는 22.4%, 불만족은 24.6%로 나타남. 전반적으로 컴퓨터 환경의 중요도는 3.9점(5점 만점)인데, 만족도는 2.94점으로 나타남. 따라서 책상의 높이조절, 의자의 좌면의 크기(너비/길이) 등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 * 3가지 사무작업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자료검색 및 조회업무와 자료입력 업무는 연속으로 2~3시간미만 작업하는 비율이 29%, 33%인데 비해 설계 업무는 45%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 자료검색 및 조회업무와 자료입력 업무는 어깨와 손/손가락 부위에 통증 호소 비율이 높으며, 설계업무는 어깨와 목 부위가 높게 나타남. - VDT 작업유형별 유해요인에 대한 현장조사 * RULA를 이용한 작업분석결과, 설계업무는 일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ROSA(Rapid Office Strain Assessmen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자료검색 및 조회업무는 평균 4.5점(3~6점)으로 개선이 필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반면에 자료입력업무 7.2점(5~8점), 설계업무 5.2점(4~6점)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VDT 사무환경과 작업유형에 대한 실험연구 * 작업자세변화에 대한 실험결과, 평균 몸통 굽힘각도는 -0.5°로 약간 뒤로 젖힌 자세이며, 평균 목 굽힘각도는 52.1°로 앞으로 굽힘자세를 취함. * 몸통 굽힘자세의 경우, 성별과 신장의 크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은 뒤로 젖혀 작업하는 반면에 여성은 몸통을 앞으로 숙이며 작업. 신장이 작은 그룹(25%tile 이하)은 몸통을 뒤로 젖히며 작업하는데, 이는 책상이 높아 자연스럽게 몸통이 젖혀진 것으로 판단됨. * 목 굽힘자세의 경우에는 책상과 의자 형태(고정형, 조절형), 작업유형조건(워드작업, 엑셀작업, 그리기작업)에 따라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임. 책상이 고정형일 때 목 굽힘각도가 크게 나타났고, 그리기작업시 목 굽힘 각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도면을 보는 자세로 인한 것임. * 작업조건(워드작업, 엑셀작업, 그리기작업)에 따른 근육 활동량은 주로 사용하는 근육이 어느 부위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 다양한 작업 유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 * 작업부하 분석결과, 성별, 신체조건, 책상과 의자형태에 따라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신장이 작을수록 큰 부하가 발생하고 있음. 특히 책상과 의자를 조절해 주는 경우에는 부하가 적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 작업유형별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선정 및 관리방안 마련 * 제원조사, 설문조사, 현장조사와 실험연구를 통해 VDT 사무작업유형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VDT 사무작업에 대한 관리기준과 설계기준의 변경이 필요함을 확인함. 4. 활용 및 기대효과 - 다양한 사무작업에 대한 유해요인을 조사하여 VDT 작업유형에 따른 관리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사업에 활용. - 필요시 사무용 기기 제작에대한 작업표준(KS) 규격과 협의를 통해 보다 다양한 작업유형을 고려할 수 있는 제품 생산규격 및 관리지침 제안. 5. 중심어 영상표시단말기(Visual Display Terminal, VDT), 사무작업, 작업자세분석, 근육 활동량 분석,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