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요추 추간판탈출증자의 역학적/임상의학적 특성과 요양관리 평가

연구책임자
김규상,김대성,전희경,허경화
수 행 연 도
2011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요추 추간판탈출증은 주요 산업재해로서 요양자와 장해자의 증가, 장기 요양 및 수술과 치료 후 작업복귀 후 재발로 인한 관리상의 어려움과 요추 추간판탈출증의 사고성(급성)과 작업부담(만성, 퇴행성)으로 인한 발생 여부의 판단이 어렵다. 그리고 현대인의 활동성 저하와 정적자세로 인한 척추질환의 증가, 고연령에 따른 척추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비직업성 척추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고, 다른 근골격계질환에 비해 요추 추간판탈출증은 높은 비율의 발생률, 장기간의 요양, 고비용의 요양급여 비용, 수술적 치료와 기능 장애 및 작업복귀의 어려움 때문에 본 연구는 첫째로, 요추 추간판탈출증 요양자의 일반적/직업적 특성, 둘째로, 요추 추간판탈출증 요양자의 요양 특성의 분석, 셋째로, 요추 추간판탈출증 요양자(요양종결)의 작업복귀후 작업수행도 등 작업 특성 평가, 넷째로 요추 추간판탈출증 요양자의 삶의 질 평가, 다섯째로, 요추 추간판탈출증 요양자의 임상의학적 요통장애를 평가를 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재해통계분석팀의 자료(2006-2009년의 근골격계질환 요양자, 즉, 신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 요통, 사고성 요통자)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 1992년부터 2010년까지 산업안전보건법 43조의2에 의거하여 직업성질환의 진단 및 예방, 발생원인의 규명을 위하여 수행한 역학조사 중 업무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근로복지공단이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의뢰된 근골격계질환자에서 요추 추간판탈출증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근골격계질환 요양자 중 요추 추간판탈출증(ICD10 Code, M40-M54; 추간원판 장애- 배병증 M40-M54: 변형성 배병증 M40-M43, 척추병증 M45-M49, 기타 배병증 M50-54)의 재해자명, ZIP-CODE, 주소, 전화번호를 파악하여 요추 추간판탈출증 요양자의 중증도에 따른 현재의 작업 수행도와 삶의 질 조사, 요양 후의 작업복귀 실태 등의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인 동의하에 우편설문으로 추진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연구윤리?진실성 심의위원회 생명윤리분과」의 심의를 완료하였다. 3. 연구결과 본 요추 추간판탈출증 요양자 연구에서는 개인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이나 직업적 요인보다 질병 자체의 임상적 특성과 요양 특성(주 증상, 치료 유형, 기능장애, 추가상병, 현재 요양 여부 및 요양기간) 및 요양종결 후 현재 건강상태, 작업수행도, 재요양 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질병 발생의 적극적인 예방과 초기의 의학적 관리 및 질병 특성에 맞는 적절한 치료와 재활 등의 요양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재로 인한 요추 추간판탈출증 요양자의 기능장애는 병원의 요통 환자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직업적 특성, 요양 특성 및 작업복귀에 따른 요통 기능 장애를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할 수 없지만 근무형태, 주 증상, 요양 중의 추가상병, 요양연장, 재요양 등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작업복귀후 작업, 현재 건강상태, 작업수행도와 관련이 있어 요양 중 또는 요양 후의 객관적인 기능장애 평가는 요추 추간판탈출증자나 요통 환자의 보건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활용 및 기대효과 이 연구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에서 요통(사고성/비사고성) 중 추간판탈출증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요양관리상 약물/물리치료 및 수술 등의 치료방법의 부적합 선택 가능성을 낮추고, 요양 후 작업복귀 후의 재발에 의한 인적 및 사회적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산재에서 요추 추간판탈출증의 특성(역학적/임상의학적/인간공학적 특성 등)을 파악하여 비직업성/직업성 여부 판단에 도움을 주고, 요추 추간판탈출증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5. 중심어 근골격계질환, 추간판탈출증, 요추부, 요양, 삶의 질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