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유해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평가 연구(III)

연구책임자
김강윤외 5명
수 행 연 도
2012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제목: 2012년 유해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평가(III) 2. 연구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2-methylpentane(107-83-5), VM & P Naphtha (8032-32-4), Silicon Carbide(409-21-2),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101-14-4) 4개 물질에 대한 유해성·위험성 평가를 통해 현재 산업보건법상 노출기준물질로 설정되어 있는 물질 중 관리기준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는 물질에 대해 고찰하고 관리기준의 상향조정이 필요할 경우 사회 경제성평가를 통해 비용-편익 면에서의 가능성을 함께 검토하고자 하였다. 3. 연구 내용 및 방법 ¡ 유해성 확인: 문헌조사 ¡ 용량-반응평가: 문헌조사 및 평가 - POD 선정: NOAEL, LOAEL, slope factor, IUR 등 - RfCwork 산출, 국내 노출기준, 외국 노출기준과 비교 ¡ 노출평가: 현장실태조사 및 평가 - 현장 작업환경측정 및 분석 - 모델링(ECETOC TRA) - Monte-Carlo simulation - Bayesian Decision Analysis ¡ 위험성결정: 평가 ¡ 각국의 관리수준: 문헌조사 - 각국 규제수준 조사(금지, 허가, 관리실태, 노출기준 등) ¡ 규제수준의 제안: 결과분석 및 평가 ¡ 사회?경제성 평가: 평가(필요시) 4. 연구결과 1) 2-methylpentane(107-83-5) (1)POD값 및 RfCwork (2) 노출평가 가) 현장측정결과: 대부분 불검출 또는 저농도 검출 나) Monte-Carlo simulation 다) Bayesian Decision Analysis: 노출기준 초과가능성=“0” 노출기준의 1%미만(1/100미만)으로 노출될 가능성(Exposure rating=0)="1"(100 %) (3) 위험성결정 (4) 규제수준의 제안 * Risk: 매우 낮음(노말헥산의 불순물형태로 사업장에서 사용됨) * 사용실태: 미량 존재하는 물질로 관리 불필요 * 사회경제성 분석 불필요 사유 - 유해도(hazard): 낮음 - 근로자 노출 가능성: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노출빈도나 취급량이 적으며, 향후 노출가능성 또한 노출기준의 1 %(1/100)수준미만으로 노출될 가능성=100 % - 국외 규제현황: 국외에서는 2-methylpentane에 대한 노출기준 조차 규제되지 않음 - 결론: 국내에서 산업안전보건상의 현재 규제수준(노출기준설정물질, KPEL=500 ppm)을 상향조정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됨. 2) VM & P Naphtha (8032-32-4) (1)POD값 및 RfCwork (2) 노출평가 가) 현장측정결과: 대부분 불검출 또는 저농도 검출 나) Monte-Carlo simulation 다) Bayesian Decision Analysis: 노출기준 초과가능성=“0” 노출기준의 1%미만(1/100미만)으로 노출될 가능성(Exposure rating=0)은 "0.997"(99.7 %) (3) 위험성결정 (4) 규제수준의 제안 * Risk: 매우 낮음 * VM & P Naphtha의 위험성은 벤젠이 불순물로 0.1%이상 포함되는가가 관건이라 할 수 있으나, 본 연구결과 벤젠은 검출되지 않았음. * 사회경제성 분석 불필요 사유 - 유해도(hazard): 낮음(벤젠 불순물 미함유) - 근로자 노출 가능성: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노출빈도나 취급량이 적으며, 향후 노출가능성 또한 노출기준의 1 %(1/100)수준미만으로 노출될 가능성=99.7 % - 국외 규제현황: 국외에서는 VM&P Naphtha에 대한 노출기준 조차 규제되지 않음 - 결론: 국내에서 산업안전보건상의 현재 규제수준(노출기준설정물질 KPEL=300 ppm)을 상향조정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됨. 3) Silicon Carbide (409-21-2) (2) 노출평가 ■ 호흡성 분진 가) 현장측정결과: 0.1882 ㎎/㎥(0.0452~0.8059 ㎎/㎥) 나) Monte-Carlo simulation 다) Bayesian Decision Analysis: KPEL=5 ㎎/㎥초과 가능성=“0” RfCwork=0.08 ㎎/㎥초과 가능성=100% 노출기준(KPEL=5 ㎎/㎥)의 1-10 % 수준의 노출가능성(Exposure rating=1)은 61.3 %, 10-50 % 수준의 노출가능성(Exposure rating=2)은 38.7 %였음. ■ 결정형 실리카 가) 현장측정결과: 0.0035 ㎎/㎥(0.0007 ㎎/㎥~0.1071 ㎎/㎥) 나) Monte-Carlo simulation 다) Bayesian Decision Analysis: 노출기준(KPEL) 초과가능성=“0” ACGIH TLV-TWA(0.025 ㎎/㎥)의 10-50%수준의 노출가능성(Exposure rating=2)은 99.8 %였음 (4) 규제수준의 제안 Risk: 낮은 편(RfCwork=0.080 ㎎/㎥을 적용할 경우 기준초과) 실리콘 카바이드는 노출기준 개정 및 관리수준 변경 필요 (4) 규제수준의 제안 * Risk: 발암성물질(GHS 구분 1A) * MOCA를 취급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사업장의 경우 국내 사업장수가 점점 감소추세이고, 현재 2개 사업장만 국내에서 사업을 이어가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사용량조차 많지 않음. * 사회경제성 분석 불필요 사유 - 유해도(hazard): 발암성(GHS 구분 1A) - 근로자 노출 가능성: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노출빈도나 취급량이 적으며, 향후 노출가능성 또한 노출기준의 1 %(1/100)수준미만으로 노출될 가능성=100 % - 국외 규제현황: 일본을 제외한 국외에서는 MOCA에 대한 노출기준 조차 규제되지 않음 - 결론: 국내에서 산업안전보건상의 현재 규제수준(노출기준설정물질 KPEL=0.11 ㎎/㎥)을 상향조정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됨.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국제안전보건규제의 강화로 GHS(화학물질분류 및 표시제도)등의 국제기준에 적합한 화학물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화학물질 정보의 제공 및 체계구축에 기여 * 국내 실정을 고려한 관리 수준의 제시로 산업보건 수준의 향상 및 국가 위상강화 그리고 산업안전보건법의 관리 수준 개선을 통해 근로자 건강 보호 수준 향상 * 연구대상 유해물질 별 노출기준 및 관리 수준에 대한 근거 마련을 통해 향후 법 개정 시 또는 새로운 자료가 발표 되었을 때에 비교?검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 * 화학물질에 의한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독성 미확인 물질의 지속적인 유해성 평가(risk assessment) 자료 확보에 활용 가능 * 유해성 미확인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 시험 및 유해성 자료 분석을 통한 초기 위해도 평가 방법 제시에 활용 가능 * 노출시나리오의 화학물질 정보 제공과 관련한 산업안전보건법 상의 MSDS관련 규정 및 고시의 개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 6. 중 심 어 유해성?위험성 평가, 유해성 확인, 용량-반응 평가, 노출평가, 위험성 결정, 사회?경제성 평가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1) Cantox Environmental Inc. Assessment Report on Hexane for developing ambient air quality objectives. 2004 Alberta Environment Stula EF, Sherman H, Zapp JA Jr, et al. 1975. Experimental neoplasia in rats from oral administration of 3,3’-dichlorobenzidine, 4,4’-methylene-bis(2-chloroaniline), and 4,4’-methylene-bis(2-methylaniline). Toxicol Appl Pharmacol 31:159-176. 2) Stula EF, Barnes JR, Sherman H, et al. 1977. Urinary bladder tumors in dogs from 4,4’-methylenebis(2-chloroaniline) (MOCA). J Environ Pathol Toxicol l(l):3 l-50. 3) US EPA. Screening-level hazard characterization. High Benzene Naphthas Category. 2010 연구책임자 : 김강윤 연구원 담당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박상용 연구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