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고위험물질의 관리기준 상세검토 연구

연구책임자
임영욱외 5명
수 행 연 도
2012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연구제목 : 고위험물질의 관리수준 상세검토 연구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화학물질에 의한 작업자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작업장 내 유해물질로 인한 근로자의 영향을 나타내는 합리적이고 정량적인 척도를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작업 환경 관리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 국내외적으로 유해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의 활용도를 증진시키는 제도 강화로 인해 국내 행정부에서도 이러한 제도에 맞게 다양한 유해물질의 MSDS 정보제공 시스템 강화를 위한 연구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 ○ 다양한 산업의 발달로 산업장에서 다루는 화학물질의 종류가 지속적으로 증가로 인해 산업보건 및 환경보건 분야에서는 노출에 따른 유해성·위험성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독성과 유해성 관리는 작업장내의 유해화학 물질관리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근로자들이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건강장해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 위험성 평가를 통한 작업환경관리가 필요하다. ○ 유해성·위험성 평가의 궁극적 목적은 평가의 결과를 유해성·위험성 관리를 위한 유용한 정보로써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고, 유해성·위험성 평가 과정을 거쳐 얻어진 평가치는 여러 사회제도적인 문제와 기술적, 경제적인 문제들과 함께 고려하여 정책 결정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동시에 질병의 예방 및 건강한 삶의 유지, 그리고 위해 요인의 저감을 위한 과학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유통 화학물질 중 발암성, 변이원성, 생식독성, 표적 장기독성 등 유해성이 높거나 작업환경측정 자료 분석 결과, 위험성이 높은 고위험물질에 대하여 유해성 평가 자료의 확인 등 상세검토 및 분석을 실시하여 현행 관리수준의 적정성 평가 및 규제수준 제?개정 제안하고자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유해성 확인 : 15종 대상물질에 대한 독성/인체영향자료 및 국내/외 관리 현황 조사 *대상물질 : 납, 일산화탄소, 톨루엔, 황산, 페놀, 1-브로모프로판,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에톡시메틸 아세테이트, 디메틸벤젠, 디메틸포름아미드, 망간, 메틸클로라이드, 에틸벤젠, 스티렌 ○ 근로자 노출평가 : 안전보건공단의 작업환경측정 DB를 활용하여 작업자 노출대상 및 노출양상을 고려한 근로자 노출량 평가 ○ 용량-반응 함수 : 15종 대상물질의 유해성 확인 결과를 활용하여 발암물질의 cancer potency factor / unit risk, 비발암물질의 인체적용 NOAEL / reference concentration 조사 ○ 위험성결정 : 노출시나리오 구성을 통한 노출량 예측자료와 용량-반응함수 결과를 활용하여 작업자 인체 위험성 결정 및 monte-carlo simulation을 통한 불확실성 분석 ○ 위해관리방안 제시 : 대상물질의 위험성 평가결과와 현 산안법상 규제기준 및 노출기준의 비교를 통한 적정성 및 관리수준 제안 ○ 규제영향분석(사회경제성평가) : 대상물질의 노출기준 변경의 필요성이 발생할 경우, 비용-편익분석, 실현가능성, 중복규제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한 규제영향분석 수행 연구 결과 ○ 유해성 확인 : - 화학물질 기초정보 수집 : 물리화학적 특성(대상물질의 녹는점, 끎는점, 분자량 등의 정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인체 내 노출시 증상, 흡수 경로, 발암성, 세포변이원성, 표적장기독성, 발달독성 등의 정보), 사용실태 등의 정보 리뷰 - 규제수준 : 국내외 노출수준 정보 수록 및 기타 법적 규제내용 포함 - 독성 자료 조사 : 대상물질에 대한 동물실험 및 역학연구 자료 수집 ○ 근로자 노출평가 : 안전보건공단의 작업환경측정 DB를 활용 - 대상물질 15종에 대한 작업환경측정치 산출 - 2010년 안전보건공단 작업환경측정자료 활용 - 작업장수, 근로자수, 측정치수를 산출하여 경제성 평가 결과 산출에 활용 ○ 용량-반응 함수 : 15종 대상물질의 유해성 확인 - 대상물질 15종에 대한 독성영향 정보 수집 - 동물실험 및 역학연구의 표적장기독성, 발암성, 생식독성, 발달독성 등의 값을 조사 ○ 위험성결정 : 노출시나리오 구성을 통한 노출량 예측자료와 용량-반응 함수 결과를 활용하여 작업자 인체 위험성 결정 및 monte-carlo simulation을 통한 불확실성 분석 - 작업환경 노출농도를 중위값, 90 percentile, 95 percentile값을 산출하여 TLV 및 산출한 RfCwork 을 활용하여 Risk나 수준 제시 ○ 위해관리방안 제시 : 규제 기준값과 유해위험성 평가를 통해 산출된 RfCwork 값으로 수준 판단 - 노출수준에서는 평균값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95% 이상의 값 활용이 적합하다고 판단 - 산출된 risk 값은 1이하가 되어야 안전한 것으로 판단 - 초과하는 경우에는 관리수준의 변경을 고려 ○ 규제영향분석(사회경제성평가) : 비용편익 분석 방법 적용 - 일반지침에 의한 경제성 분석 활용 - 사회적 관점에서의 비용 및 편익 계량화, 사회적 할인율 적용 - KOSHA GUIDE W-6-2011을 준용하여 사회경제성 평가 수행 - 대상물질 15종에 대한 관리의 총비용, 총편익, 순편익 값을 산출 ○ 물질별 위해관리방안 - 납 : 위험성(risk)는 낮으나(1미만) 생식독성에 대한 유해성(hazard)가 1A로 분류되고 있어 특별관리가 필요 - 일산화탄소 : 생식독성의 경우 298로 높게 산출되었으며, 생식독성에 대한 유해성이 1A로 분류되므로 특별관리가 필요 - 톨루엔 : 생식독성의 위험성은 95 percentile 노출수준에서 5.85로 산출되었으며, 유해성이 1A로 분류되기 때문에 특별관리 지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황산 : 흡입, 생식, 발달독성의 위험성은 크지 않으나, 미스트의 형태로 노출될 경우 발암성의 유해성을 갖고 있으므로 관리대상물질 지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페놀 : 흡입, 경구, 생식, 발달독성에 대한 위험성은 높지 않음. 위험성의 경우 생식독성에 대해 1B로 분류됨 - 1-브로모프로판 : 생식독성의 90, 95 percentile 노출수준의 위험성이 1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해성의 경우 생식독성에 대해 1B로 구분되어 특별관리되어야 함 - 2-메톡시에탄올 : 위험성 평가 결과 95 percentile 노출수준에 대한 생식독성 위험도가 5이상으로 나타났으며, EU 유해성 분류에서도 생식독성 2등급으로 분류되어 지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2-에톡시에탄올 : 위험성 평가는 낮게 평가되었으며 유해성의 경우 생식독성에 대한 EU 분류가 2등급으로 분류됨 -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 위험성 평가는 90 및 95 percentile 노출수준에 대한 발암성 위험도가 5이상으로 나타났으며, , 생식독성의 유해성은 EU에서 2등급으로 분류됨 - 디메틸벤젠 : 흡입, 경구, 생식독성에 대한 위험성은 모두 낮게 평가되었으나 생식독성에 대해 1B로 분류되어 특별대상 지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 - 디메틸포름아미드 : 흡입 위험성이 90 percentile에서 5를 초과하며, EU 유해성 분류에서 1B로 분류되어 특별관리대상 지정에 고려되어야 함 - 망간 : 흡입 및 경구 위험성에 대해 90 및 95 percentile 노출수준에서5를 초과하며, 생식독성 유해성의 경우 1B로 분류되어 특별관리대상 지정에 고려되어야 함 - 메틸 클로라이드 : 발암성 및 생식독성의 위험성이 90과 95 percentile 노출수준에서 5를 초과하며, 유해성에 대한 생식독성 분류가 1B로 나타나 지정에 고려가 되어야 함 - 에틸 벤젠 : 발달독성 및 발암성의 위험성이 90 percentile 노출수준에서 5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생태독성 분류가 1B로 나타나 지정에 고려가 필요함 - 스티렌 : 경구독성의 위험성이 95 percentile 노출수준에서 5를 초과하며, 발암성에 대한 근거가 충분하며, 생식독성의 유해성이 1B로 분류되어 특별관리대상 지정에 고려가 필요함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1) 활용 방안 ○ 고위험물질의 체계적 유해성 결정(용량-반응 평가) 및 작업환경측정결과를 활용한 관리수준/노출기준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 발암/비발암 유해/위험성 관리방안 제시 및 고위험 15종에 대한 위험성 평가 결과 보고서를 제시하여 관련 물질 사용자의 관리 방안을 도모한다. ○ 산업안전보건법 상 관리물질 (허가/금지, 관리대상 작업환경측정 등) 구분의 근거자료로서 활용이 용이하도록 분석 자료를 구성하였으며, 기초정보를 수록하였다. ○ 향후 후보 물질군 선정 및 평가에 활용이 용이하다. ○ 관리수준변경 또는 유지에 대한 기초방법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수록하였다. (2) 기대성과 ○ CMR 유해성이 높고 작업환경측정결과 위험성이 높은 15종에 대한 규제 적정성 검토에 유익한 연구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 고위험성 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의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 근로자 건강 사전예방에 의한 작업효율 증대 및 의료비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기준변경에 대한 사회경제성평가 결과 활용 사례를 제공한다. ○ 위험성 평가에 대한 노출기준의 제안에 활용가능하다. ○ 앞으로 노동부 관련 정부기관에서 고위험물질에 대한 유해성/위험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따라서 이들 물질에 대한 신속한 위험성 관리가 필요한데 반해, 현행 노출 기준은 오래 전에 ACGIH의 TLV를 그대로 인용하였거나, OSHAPEL과 ACGIH TLV를 비교하여 엄격한 기준을 채택하는 수준이었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화학물질의 노출기준은 과학적인 근거에 따라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하게 설정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중 심 어 위해성평가, 고위험물질, 경제성평가, 유해성, 연, 일산화탄소, 톨루엔, 황산,페놀, 1-브로모프로판,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벤젠, 디메틸포름아미드, 망간, 메틸 클로라이드, 메틸벤젠, 스티렌 참고문헌 및 연락처 2010년 근로자건강진단 실시결과. 고용노동부 ; 2012 NITE. Summary of Initial Risk Assessment Report. 2-Ethoxyethyl acetate;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NCI. Bioassay of phenol for possible carcinogenicity. Bethesda, M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Cancer Institute. 1980. NCI-CG-TR-203 UNEP. SIDS Initial Assessment Report for 11th SIAM. January, 2001. (Orlando, Florida, 23-26) 연구책임자 : 임 영 욱 (교수, 보건학박사, 연세대학교) 연구원 담당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임철홍 연구위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