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직업성 질환 검진·진단을 위한 전문가용 가이드북 개발

연구책임자
김정원 외 13명
수 행 연 도
2012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과 제 명 : 직업성질환 검진·진단을 위한 전문가용 가이드북 개발 2. 연구기간 : 2012. 1. ~ 2012. 11. 3. 연구목적 및 필요성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는 사망과 관련된 직업성 암의 기여분율을 4~5%로 추정하고 다른 연구에서는 폐암의 발생에서 직업적 요인이 차지하는 분율이 미국 남성에서의 15%, 여성에서의 5% 정도라고 보고하였다 (Doll 등, 198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암 발생의 40%는 현재의 지식과 기술로도 사전에 예방이 가능하며 특히, 직업적 노출로 인한 암 발생은 발암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서 사전 예방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국내에서 발암요인의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는 2001년 8만5천여 명이다가 2009년에 13만 여 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체 특수건강진단 수진인원 중 발암요인 수진자의 비율은 8-23%로 추정된다.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직업성 암의 예방을 위하여 근로자 건강진단에서 발견되는 암의 직업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직업성질환 검진 및 진단에 관여하는 전문가들의 직업성 암에 대한 인식 향상 및 업무관련성 평가를 통한 직업성 암의 진단에 대한 최신정보의 습득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성질환 검진 및 진단에 관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성 암의 진단에 활용할 가이드인 전문가용 표준지침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연구내용 본 연구의 대상암은 직업성 암의 현황과 관련된 유럽연합 보고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직업성 암 역학조사결과, 근로복지공단에서 직업성 암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을 받은 자료를 검토하여 직업성 암으로 진단받은 비율이 높은 암과 정책적으로 국내에서 중요하다고 인정하는 암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① 폐암 ② 악성중피종 ③ 조혈기계암 (백혈병, 림프종, 무형성 빈혈, 골수이형성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④ 간암 ⑤ 피부암 ⑥ 비강, 부비강, 후두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 내용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첫째, 직업성 암 유발 인자 및 직업(공정)에 대한 최신 정보의 확인 연구대상 암에 관한 2012년 IARC 의 각 장기별 인간에 대한 발암요인 정리 문헌을 중심으로 국내외 여러 기구의 문헌, 기타 PUBMED 등 체계적 문헌 검토를 통한 최신정보를 확인하여 정리하고, 발암 인자별 잠재기, 유도기, 누적 노출량의 평가 등 직업성 암 진단에 필수적인 구성 요소의 최신 지견 정리 둘째, 업무관련성 평가의 기본개념에 대한 소개 업무관련성 평가의 원론적 소개와 이와 관련한 인과성 개념을 서술하였다. 추가적으로 인과성에 관한 역학적 개념을 소개하고, 이와 관련한 임상 전문가들이 흔히 오해할 수 있는 사례들을 소개하였다. 셋째, 대상 암의 업무관련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본 연구의 대상 암별 업무관련성 평가를 위해 암 유발인자 및 직업(공정)과 현재까지 연구된 유발인자별 대상 암의 최대 잠재기, 최소 유도기 등을 정리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5. 활용 및 기대효과 근로자 특수건강 검진의 효용성 및 직업성 암 발견의 활성화와 근로자 건강진단 및 임상관련 전문가, 그리고 사업장내 보건관리자 등의 직업성 암에 대한 인식을 제공하며 직업성 암 정의에 근거한 직업성 암의 발생, 추세 등에 대한 통계로 활용할 수 있고 직업성 폐암, 악성중피종, 간암, 조혈기계암, 피부암, 부비동 암 등의 예방대책,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6. 중심어 직업성 암, 업무관련성 평가, 인과성, 보상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