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유기용제의 노출 특성에 따른 유해성 평가 및 관리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김현영외 1명
수 행 연 도
2012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유기용제의 노출 특성에 따른 유해성 평가 및 관리방안 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의 화학물질 유통량은 ‘02년 287백만 톤에서 ’06년 418백만 톤으로 급증하였으나 유통 화학물질 4만 3천종 중 유해·위험성 정보가 확인된 경우는 15%에 불과한 실정이며, 매년 약 400여건의 중독 및 질식 등 유해화학물질 관련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약 3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2010년 업무상질병 발생현황을 보면, 전체 업무상 질병 중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중독 및 질식 사고는 약 6%인 462건이었으며 전년도에 비하여 사고 사망자가 18.2%, 부상자가 5.5%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료, 페인트, 접착제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유기용제, 예를 들면 톨루엔, 벤젠, 크실렌 등의 노출기준 역시 1일 8시간, 주 40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TLV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노출시간을 고려하여 노출기준 설정 및 작업환경관리 등 이에 대한 연구도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노출에 따른 건강장해 특성과 특히 장시간 노출되는 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 및 근로기간에 따른 유해성 평가와 노출기준 관리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 취급 근로자의 작업 특성에 따라 연장·야근 및 휴일 근무 등 장시간 근로자의 근로시간 초과에 따른 건강장해 예방의 일환으로 유기용제 취급 근로자의 저농도 장기간 노출 또는 연장 근무 등 장시간 반복 노출 등 노출 특성에 따라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예측되므로 이에 대한 유해성을 규명하고 장시간 노출근로자의 유해성 평가방법 및 작업환경관리를 위한 노출기준 설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노출기준 관련 제도를 조사하고, 유기용제 취급 근로자의 장시간 노출실태와 평균 근로시간을 조사하였다. 또한 유기용제 취급유무 및 취급시간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톨루엔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혈액을 취하여 산화스트레스 분석을 위해 혈 중 항산화효소 활성과 glutathione (GSH) 및 지질과산화 농도를 조사하였으며, 장시간 근로자의 근무시간 초과에 따른 유해성 평가와 노출기준 설정방법을 제안하였다. 4. 연구결과 본 연구는 장시간 근로자에 대한 유해성 평가방법 및 작업환경 관리 방안 연구로 외국의 장시간 근로자에 대한 제도와 규제 사례, 국내 유기용제 취급사업장의 장시간 근로자에 대한 건강영향을 조사하고, 근로시간 초과에 따른 유해성 평가방법 및 작업환경 노출기준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시간 근로에 대한 국내외 규제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OECD회원국들은 각국 노동법에 근거하여 근로자들의 실제적 근로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최대 노동시간 또는 일반적인 노동시간을 명기하고 있으며, 각 국가별 실제 노동시간 조사결과 미국의 경우 1,778시간, OECD국가 평균 1,749시간, 일본 1,733시간, 우리나라는 2,193시간(2010년 기준)으로 조사되었다. 2) 주요 국가들 중 영국은 근로자가 야간작업을 하게 될 경우, 매 24시간 단위로 평균 8시간을 초과하지 못하게 금지하고 있으며, 휴일에는 연속 11시간의 휴식을 보장하고, 독일의 경우 1994년 연방 규정에 따라 4일 이상 연속 야간근무를 금지하고 있다. 또한, 국제노동기구인 ILO에서는 연속적인 야간 근무를 최소화하고 주말에 쉴 수 있도록 하고(이틀 연속 휴식 가능), 미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도 고정적인 야간작업 및 연속적인 야간작업을 최소화하고 근무시간 사이에 충분한 휴식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3) 톨루엔 취급사업장의 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 및 유기용제 노출에 따른 혈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근로자의 음주와 흡연이 근로자의 혈청 중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미약하였으나 톨루엔 노출에 있어 노출시간의 증가에 따른 혈청 중 산화스트레스를 더욱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단시간 근로자나 유기용제의 비노출 근로자에 비해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함으로써 근로자 건강장해를 증가 시킬 수 있는 요인을 초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장시간 근로자 및 근무시간의 특성에 따른 작업환경 노출기준 적용은 Brief and Scala model, OSHA/Quebec model 등이 있으며, OSHA/Quebec model은 노출시간 고려뿐만 아니라 화학물질의 유해 특성과 노출시간 별 가중치 등을 고려한 환산방법으로 각 사업장의 화학물질 취급 종류와 근로시간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5.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국내외의 근로시간 및 산업별 근로 특성을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인 근로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장시간 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위해성평가 및 노출기준 설정 방법을 이용 노출 특성과 근로시간을 고려한 작업환경 관리에 적용한다. 6. 중심어 유기용제, 유해성 평가, 장시간 근로, 노출기준, 작업환경 관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김현영 연구위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