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건설업에 적용가능한 보건관리 매뉴얼 개발(II)-토목공사-

연구책임자
장재길등 2명
수 행 연 도
2012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건설업 근로자들의 다양한 업무상 질병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나, 제조업과는 다른 건설업의 특성상 보건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건설업은 일용 또는 임시직 형태의 근로자들이 많고 일정한 생산현장 없이 단위작업에 따라 건설현장이 달라지므로 근로자의 직업병 예방을 위한 건강진단 및 작업환경측정?분석 자료가 많지 않고 노출되는 유해인자의 종류 및 농도수준이 알려져 있지 못하다. 이로 인해 업무상 질병의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 등 예방과 신속한 사후관리가 미흡하였다. 뿐만 아니라 건설업은 보건관리자의 법적 선임 의무가 없고, 그 동안 정부나 건설회사에서도 사고성 재해예방에 치중함으로써 건설업의 보건관리는 소홀이 다루어진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토목공사 현장의 유해인자 파악 및 개선대책 제시를 통해 토목공사 현장 보건관리에 대한 정부, 사업주, 안전관리자, 근로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건설현장에서 쉽게 적용 가능한 보건관리 매뉴얼을 개발하여 건설현장의 직업병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 토목공사 작업공종별 잠재유해요인 분석 이번 연구는 2011년에 실시한 아파트 등 일반건축물 공사현장을 대상으로 한 보건관리 매뉴얼 개발에 이어 아파트 등 일반건축물 공사의 공종과 중복되는 공종을 제외하고 토목공사 전 공정을 케이슨 작업에서부터 슬립폼(슬라이딩폼) 작업까지 15개 공종으로 분류하였고, 개별 공종을 다시 작업순서에 따라 3 ∼ 4개의 단위작업으로 분류하여 각 단위작업별 잠재 유해인자를 도출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기술하여 개선대책을 정리하였다. ○ 유해인자별 상세 관리대책 작업공종별로 도출된 물리적 인자, 화학적 인자, 생물학적 인자, 작업관련성 질환 유발 인자, 기타 밀폐공간 질식재해 등의 잠재유해요인에 대해 물질의 특성, 유해인자 정보, 법적 준수사항(노출기준, 산업안전보건법 준수사항, 특수건강진단 대상 등), 작업수칙 및 관리대책 등을 정리하였다. 3. 연구결과 ○ 도로 교량 등 토목공사 시 작업공종별 잠재적 유해요인 현황 - 케이슨 작업에서는 철근 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 용접흄 및 근골격계질환과 건설기계 장비 사용에 따른 배기가스 및 수중 사석 고르기 작업 등을 수행 중 이상기압에 노출 위험이 높다. - 강교 설치 작업에서는 콘크리트 공사 과정 중 콘크리트 내에 함유되어 있는 6가 크롬 성분에 의해 젖은 콘크리트가 피부에 접촉할 경우 강알칼리성에 의한 자극성 피부염과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철근 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 용접흄 및 도장작업 시 발생하는 유기용제에 노출 위험이 높다. - PSC 교량 작업에서는 콘크리트 공사 과정 중 콘크리트 내에 함유되어 있는 6가 크롬 성분에 의해 자극성 피부염과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철근 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 및 목재가공용 둥근톱 사용 시 발생하는 국소진동에 노출 위험이 높다. - 가체절 작업에서는 파일 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과 건설기계장비 작업에 따른 배기가스 그리고 토사 하역 작업 시 분진에 노출 위험이 높다. - 그라우팅 작업에서는 그라우팅재로 사용되는 시멘트 노출에 따른 피부질환 및 시멘트 성분 중 6가크롬에 의한 호흡기 알러지와 천공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 및 건설기계장비 작업에 따른 배기가스에 노출 위험이 높다. - 수직구 작업에서는 천공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과 시멘트 접촉에 따른 피부질환 및 굴착작업으로 인한 토사분진 용접작업 시 발생하는 용접흄 그리고 건설기계장비 작업에 따른 배기가스에 노출 위험이 높다. - 도로 포장작업에서는 아스팔트 포장 시에는 아스팔트를 포설한 후 다짐 작업 시 아스팔트흄 및 고온에 노출 위험이 높으며 콘크리트 포장 시에는 강알칼리성을 띄는 젖은 콘크리트 접촉에 의한 피부질환 발생 위험이 높다. - 포설 및 다짐 작업에서는 건설기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디젤분진과 자갈 하역작업 시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에 노출 위험이 높다. - 터널 굴착 작업에서는 발파 시 암석을 파쇄하기 위한 폭발 등 충격소음 및 암석에 구멍을 뚫는 작업, 깨어진 암석을 모아 외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노출되며 암석의 파쇄과정에서 발생하는 암석 비산먼지(산화규소, SiO2 함유 )그리고 굴착한 토사를 트럭에 옮기는 작업 중 토사분진 노출 및 흙이나 풀에서 노출된 쯔쯔가무시 등의 미생물에 노출 위험이 높다 - 터널 보강 작업에서는 락볼트 작업 시 암반 천공작업 및 숏크리트 타설 시 분사 노즐에서 소음과 몰탈 및 시멘트 접촉에 의한 피부질환 발생 위험이 높다. - 갱구부 작업에서는 시멘트 노출에 따른 피부질환, 절단용 톱을 이용하여 벌목 작업 시 소음 및 국소진동 그리고 건설기계장비 사용에 따른 배기가스에 노출 위험이 높다. - 터널 방수 작업에서는 그라인더로 쇼크리트 면 정리 및 란델 설치 사용하는 타정총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국소진동에 노출 위험이 높다. - 특수터널 작업에서는 굴진작업 및 버럭 처리 작업 시 분진 그리고 TBM 및 SHIELD TBM 장비 조립 중 실시 하는 용접작업에서 발생하는 용접흄에 노출 위험이 높다. - 라이닝 거푸집 작업에서는 라이닝 거푸집 표면 그라인딩 작업 및 목재 가공용 둥근톱 작업 시 소음 및 국소진동 그리고 샌드블라스트 작업 시 모래 중 산화규소 노출 위험이 높다. - 슬립폼(슬라이딩폼) 작업에서는 거푸집 설치 작업 중 철근 작업 시 소음, 강알칼리성을 띄는 콘크리트 접촉에 따른 피부질환 그리고 건설기계 장비 사용에 따른 배기가스에 노출 위험이 높다. ○ 터널건설 장비별 소음 측정 결과 - 점보드릴 운전석 내부에서는 평균 85.9 dB(A)의 소음이 발생하였고, 운전석 외부에서 측정한 소음은 평균 113.0 dB(A)이었다. 페로더의 경우 운전석 내부에서는 88.7 dB(A)의 소음이, 운전석 외부에서는 평균 92.4 dB(A)의 소음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빽호의 운전석 내부에서는 88.7 dB(A)의 소음이 발생하였고 운전석 외부에서는 평균 99.9 dB(A)의 소음이 발생하였다. - 숏트기, 차징카 및 배풍기의 외부에서는 각각 평균 94.3 dB(A), 90.8dB(A) 및 97.0 dB(A)의 소음이 발생하였으며, 발파 시에는 112.9 dB(A)의 소음이 발생하였다. ○ 누적소음 측정 결과 - 터널공에게 노출되는 시간가중 평균 소음 수준은 66.9 ∼ 94.9 dB(A)이었고, 점보드릴 기사들은 82.5∼ 84.2 dB(A)의 소음에 노출되었다. - 빽호 기사에게 노출되는 시간가중 평균 소음 수준은 49.9 ∼ 84.6dB(A)이었으며, 숏트기 기사는 68.2 ∼ 74.7 dB(A)의 소음에, 차징카 작업자는 76.3 ∼ 86.2 dB(A)의 소음에, 페로더 기사는 59.2 ∼ 81.3 dB(A)의 소음에 그리고 포크레인 기사는 67.9 ∼ 81.3 dB(A)의 소음에 노출되었다 4. 활용 및 기대효과 본 연구결과는 도로, 교량 등 토목공사 현장에 대한 단위 공사별 작업내용 및 잠재 유해요인을 파악하고 위험도 수준을 평가함으로써 작업환경개선대책 마련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보고서를 건설현장에 실제 적용 가능한 형태의 자료로 배포함으로써 건설현장의 보건관리 및 건설업 업무상 질병재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5. 중심어 ○ 건설업, 토목공사, 공종, 보건관리, 유해인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