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일반제재업에서의 안전통로표시 연구(안전)

연구책임자
이홍석,차민정,신운철
수 행 연 도
2013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일반제재업에서의 근로자 안전행동에 관한 연구 : 위험성평가 및 안전지도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일반제재업 사업장의 2008년~2012년 평균 재해율은 4.99로 매년 200여명(최고 282명, 최저 200명) 이상의 재해자가 발생하였다. 또한 최근 3년간(’10~’12)의 재해율은 평균 4.73으로 매년 평균 200여명 이상의 재해자가 발생하였다. 일반제재업의 재해는 작업공정의 기계에서 뿐만 아니라 전 공정에서 발생하고 있고, 재해원인 발생형태별로는 끼임, 절단?베임?찔림, 맞음 등의 순으로 재해발생형태가 높게 나타났다. ○ 일반제재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때 과거의 재해발생 유형을 파악하고 아차사고(near miss) 등의 잠재 위험으로 위험성평가를 확장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이고 안전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제재업 사업장에서 각 작업장소별로 위험성평가에 대한 기초자료와 각 장소별 작업내용, 상해부위, 재해관련 취급 물체 등의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사업주나 안전관리자가 효율적으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 일반제재 사업장은 작업환경이 열약하고 규모가 영세하여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안전관리자나 관리책임자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2014년부터 실시되는 위험성평가제도는 이러한 사업장에 큰 부담이고 자칫 위험성평가가 대행기관에 의해서 수행되어질 경우에는 사업주 자율의 위험요인 관리로의 변화를 이끌려는 법 개정의 취지와 맞지 않을 수 있다. ○ 이러한 현실에서 사업주의 재해예방대책의 실행에 대한 근거 및 동기를 부여하고자 최근 3년간의 재해내용 분석과 재해 사업장의 실태조사를 통해 작업장소별 작업내용, 상해부위 및 재해와 관련한 취급물체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분류하였다. 또한, 최근 3년간의 재해내용을 분석하여 작업장소별 재해발생 빈도(안전지도) 등을 제공함으로써, 각 작업장소별 위험요인과 안전 대책을 제시하여 사업장의 위험성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연구방법으로는 일반제재업 사업장의 최근 3년간 재해내용을 분석하고 재해내용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일반제재업 사업장의 공정과 작업내용을 일반화 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한목재협회 및 사업장 관계와의 협의를 통해 일반제재업 사업장의 작업장소별 일반화에 대한 신뢰성을 높였다. ○ 또한, 최근 3년간의 재해사업장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재해내용의 파악(작업장소, 작업내용, 상해부위, 재해시 취급물체 등)하였다. 실태조사는 2013년 7월에서 8월 사이에 걸쳐 전국 377개소(643건)에 대해 위촉연구원을 활용하여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는 SPSS 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제재업 관련한 해외 및 국내 자료를 참고하여 각 작업장소별 위험성평가에 대한 안전대책을 제시하였다. 4. 연구결과 ○ 일반제재업 공정을 일반화하여 16개의 작업장소별로 구분하였다. 작업장소는 원목적재장소, 원목절단장소, 원목투입컨베이어(이동대차 앞), 이동대차, 반제품 이송 컨베이어, 화목운반 벨트컨베이어, (오토)테이블, 갱립소, 제품포장기 작업장, 화목작업장, 제품건조 작업장, 톱밥 제조 작업장, 집진기 작업장, 특수가공 작업장, 목재 적재장소, 기타(사업장 내), 기타(사업장 외)로 구분하였다. ○ 일반제재업의 장소별 재해발생빈도는 특수가공작업장 102건(15.9%), 이동대차 작업장이 73건(11.4%), 갱립소 작업장 64건(10.0%), (오토)테이블 49건(7.6%), 반제품 이송컨베이어 47건(7.3%), 원목 절단장소 45건(7.0%), 제품포장기 작업장 41건(6.4%), 원목적재장소 40건(6.2%)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사업장 내)가 57건(8.9%), 기타(사업장 외)가 20건(3.1%)를 차지하였다. ○ 공정별 재해발생이 높은 작업과 상해부위는 특수가공작업장에서는 제품절단작업에서 33.3%가 발생하고 상해부위는 손가락에서 51%가 발생하였다. 이동대차 작업장에서는 이동대차 관련한 작업에서 50.7%가 발생하고 상해 부위는 손가락이 30.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5. 활용 및 기대효과 연구 결과는 일반제재업 사업주나 안전관리자가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작업장소별 재해발생빈도, 상해부위, 상해시 취급물체 등의 정보는 사업주나 안전관리자가 위험성평가 수행 시에 리스크 확인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각 공정별 주요 재해사례를 예로 제시하여 사업장의 안전담당자나 근로자가 위험요인 확인을 쉽게 하도록 하였고 국내 및 외국의 주요 자료를 바탕으로 일반적 안전대책을 제시하였다. 이는 사업주가 개선대책의 실행시 타당한 객관성있는 자료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고, 사업장 스스로의 리스크평가 수행을 쉽게 하여 리스크평가가 사업장 자체적인 PDCA사이클로 수행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작업장소별로 표시한 안전지도는 사업장 근로자는 물론 재해예방기관에서의 일반제재업 위험성평가나 재해예방 기술지원시에 각 공정별 위험요인 파악을 쉽게 하여 재해예방대책의 제시에 도움을 줄 것이다. 리스크평가에 대한 두려움 보다 리스크평가를 먼저 수행해 보는 것이 사업장 스스로의 자율안전보건관리 시스템구축의 정착을 쉽게 할 것이다. 6. 중심어 일반제재업, 안전지도, 위험성평가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 산업재해 현황통계 자료(2010~201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2 - 산업재해 발생형태 용어정비 개선, 고용노동부, 2013 - KOSHA GUIDE(G-83-2012), 산업재해 기록?분류에 관한 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2 - KS B 0117:2001(2006 확인), 목재 가공 기계의 명칭에 관한 용어, 한국표준협회 - 업종별 위험성평가 모델 일반제재업,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7 - 위험성평가 일반제조업 사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2 - 산업안전보건법, 고용노동부, 2013 -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고용부 고시 제2012-104호, 2012 - ISO 31000, Risk management-principles and guidelines, 2009 - KOSHA GUIDE, 리스크 평가 절차에 관한 지침, 2012 - Sawmilling Industry Health and Safety Guide 2011, Queensland Government, 2011 - Health and safety in sawmilling, HSE, 2012 - Lumber Handling in Sawmills, Department of Labor and Industries of Washington State, 2002 - Guastello, Do we really know how well our occupational accident prevention programs work?, Safety Science, 16, 445-463, 1993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연구실 이홍석 연구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