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국내산 석면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용량 반응 평가(화학)

연구책임자
정용현,한정희,강민구
수 행 연 도
2013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국내산 석면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용량반응평가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석면은 종류에 따라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르고 석면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생체내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산 백석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산 백석면이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국내산 석면에 대한 유해성평가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및 범위 ○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국내산 석면과 수입산 석면 특성 분석 - 석면의 형태학적, 화학적 특성 분석 ○ 석면 노출 후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생체 내 변화 분석 - 폐 조직 내 석면의 수, 크기, 원소 변화 분석 ○ 석면 노출 후 기간별 폐조직 병리학적 평가 - 폐 조직 병리검사, 폐조직 내 석면 및 석면소체 확인 ○ 석면 노출 후 기간별 기관지 폐포액 내 석면 및 석면소체 평가 ○ 석면 노출 후 기간별 기관지 폐포액의 생화학적 변화 평가 ○ 석면 노출 후 기간별 폐기능 변화 평가 (2) 연구방법 ○ 국내 석면 광상에서 수집한 백석면과 안소필라이트 그리고 수입산 청석면과 갈석면 수집 ○ 시험물질을 pH 4.5 생리식염수와 pH 1.2 생리식염수에서 각 석면의 구성성분(Mg)의 변화를 전자현미경과 EDS를 이용하여 측정 ○ 국내산 백석면이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과 EDS로 백석면의 크기 및 구성성분 등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 ○ 백석면 1 ㎎ (저농도군)과 백석면 2 ㎎ (고농도군)을 0.3 ㎖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각 랫드의 기도내로 1회 투여한 후 5일차, 5주차, 10주차 등 시간 경과별로 시험동물의 폐기능과 폐조직 병리 검사 ○ 시험동물의 기관지폐포세정액 내 염증 관련 효소 변화를 측정하고, 기관 지폐포세정액과 폐조직 내의 석면의 수와 구성원소 변화를 시간 경과별로 분석 4. 연구결과 ○ 용해도 시험을 한 결과, 청석면을 제외한 모든 석면의 구성성분 (Mg)이 산처리(pH4.5, pH1.2) 하기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산도의 변화나 용출된 기간 경과에 의한 변화는 없었다. 백석면은 10주차의 pH 1.2 생리식염수에서 구성성분(Mg)이 15.86%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 랫드의 폐조직 내 백석면을 시간경과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구성 성분(Mg)의 감소는 시험물질 투여 후 5일차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 폐기능을 측정한 결과, 시험물질 투여 후 5일차에 폐기능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 폐조직 병리검사에서 나타난 육아종성 염증반응과 폐쇄세기관지염이 5일차에는 심하게 나타났으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상이 완화되었다. ○ 기관지 폐포 세정액 내 백석면은 시험물질 투여 후 5주차에서는 1/2 정도로 감소하고 10주차에서는 1/100 정도로 감소하였다. ○ 폐조직 내 백석면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시험물질 투여 후 5일차에 1/2로 감소하여 본 시험에 사용된 백석면의 생체반감기는 5일 이내로 판단 되었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국내산 석면에 대한 유해성평가는 국내산 석면취급자 및 석면광상 주변 석면피해자 인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 폐조직과 기관지 폐포 세정액에 대한 석면 분석기법은 석면피해인정 검사 방법 정립에 활용 6. 중심어 석면(asbestos), 한국산 백석면(Korean chrysotile), 기도내주입(intratracheal instillation), 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1) Bernstein D, Dunnigan J, Hesterberg T, Brown R, Velasco JA, Barrera R, Hoskins J, Gibbs A. Health risk of chrysotile revisited Crit Rev Toxicol. 2013 Feb;43(2):154-83. 2) Oze C, Solt K.. Biodurability of chrysotile and tremolite asbestos in simulated lung and gastric fluids. Am Mineral, 2010; 95, ▶ 연구책임자:화학물질센터 정용현 연구위원 ▶ 연구원 담당자: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정용현 연구위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