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폭발재해예방 연구(안전)

연구책임자
임헌진,이용수,신운철
수 행 연 도
2013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신축, 개축, 증축 공사 등에서 발생하는 건설 재해 중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폭발재해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화재·폭발의 위험성에 대하여 교육, 기술, 관리적인 부분이 취약하여 안전교육과 안전점검 및 조치방법의 개선이 필요하여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폭발재해 예방관리를 위한 차별화된 기술, 교육, 관리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이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한 제도적인 재해예방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화학물질의 화재·폭발 위험성 평가와 예방대책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수행하였다. 1)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학물질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성 우선순위(RPN) 산정 2)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재·폭발 재해예방 지도·감독 대안 도출 3)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재·폭발 재해예방 안전교육 방안 도출 4) 화재·폭발예방 관련 타 법령 활용 방안 도출 이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재·폭발 재해 과거 10년간 원시자료 분석 2) 건설현장에서 사용 중인 화재·폭발 기인 화학물질 위험성 평가 3) 건설근로자에 대한 화재·폭발의 기초안전 교육자료 조사·분석 4) 화재·폭발예방 관련 법령 조사 (산업안전보건법, 소방법, 화학물질관련법 등) 5) 중소규모 건설현장 재해예방 지도.점검 중 화재·폭발재해 예방 자료 분석 3. 연구결과 1)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학물질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성 우선순위(RPN) 산정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재·폭발재해 관련 과거 10년간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과 관리감독의 미흡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화학물질의 기초적인 지식부족과 관리미흡 등으로 위험성 우선순위(RPN)가 허용수준을 넘었다. 건설현장에서 사용 중인 화재·폭발 기인물인 화학물질의 용도별로는 도장용인 유성계 페인트류, 방수용인 폴리머, 에폭시류가 있고, 유류용인 경유, 휘발유, 용접요의 가스류, 단열용의 폴리우레탄 폼, 유리섬유, 스티로폼 등이 있다. 특히 단열재 등 화재·폭발 발생 시 유독가스가 대량으로 발생이 되어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발생하는 유독성 물질에 의한 재해가 심각하게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현장 점검결과 현장의 열악한 자재 저장공간의 협소, 현장 내부에 방치 및 화원관리가 제대로 되어 있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예방방안으로 위험성 우선순위(RPN) 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2)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재·폭발 재해예방 지도.감독 대안 도출 화재·폭발의 예방 점검 및 조치방법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점검양식이 점검자의 주관에 따르는 상태였으며, 화원인 분전반, 전기공도구 등이나 인화성 물질인 자재 등의 관리상태만 계속 반복 점검이 되었고, 시정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바, 구체적인 점검 체크리스트와 조치 방안을 제시하였다. 3)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재·폭발 재해예방 안전교육 방안 도출 화재·폭발 재해예방의 기본교재 및 기초안전보건 교육자료를 조사한 결과 현장 근로자에게 맞지 않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에 대한 상세한 교육 대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4) 화재·폭발예방 관련 타법령 활용 방안 도출 건설현장의 화재·폭발과 관련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소방법, 화학물질관련법에서 재해예방 및 책임 등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각 부처별 법령이 혼재하고 뚜렷한 예방 방안이 보이지 않고, 현실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존하나 사고 시 소방법의 저촉을 받고 있는 실정으로 개선 법령 방안을 제시하였다. 4.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1) 중소규모 건설현장 재해예방 지도 점검 시 화재·폭발재해 예방 활용 (1) 재해예방 기술지도, 국고지원사업 및 건설안전지킴이 등 구체적인 점검 체크리스트 활용 (2) 관리감독자 및 근로자 현장 즉시 특별교육 2)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화재·폭발 기인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및 교육 (1) 근로자 및 관리감독자의 화재·폭발 재해예방 수준 향상 (2) 건설안전보건교육 내용 중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폭발재해 예방 교육 3) 관련 법규정 정리 및 법 제도 개선 방안 도출 (1) 관할 소방서 등 시공 중인 건설현장 예방 점검 시스템 제안 등 (2) 소방관련 협조 및 사전예방 향상 중심어: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학물질, 화재·폭발 재해예방, 위험성평가, 민간 위탁사업, 건설안전보건기초교육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