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생물학적 노출 평가를 위한 소변 시료의 보정 지표개선

연구책임자
이미영
수 행 연 도
2014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생물학적 노출 평가를 위한 소변 시료의 보정 지표 개선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생물학적 노출 평가를 위한 소변 시료는 생물학적 노출지표별로 계절이나 개인 차에 따른 소변 배설량의 차이를 크레아티닌이나 요비중으로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 생물학적 노출평가 항목 중 생물학적 노출지표 31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값 보정 지표가 국외 기준과 상이하거나 동일한 노출 지표 물질의 보정 지표가 다르게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말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의 생물학적 노출 지표인 소변 중 2,5-헥산디온, 삼염화초산, 수은의 생물학적 노출 평가 보정 지표에 대한 문헌 고찰 및 해당 항목의 특수검진 현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국내 특수건강 진단의 노출지표 개선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3. 연구 내용 및 방법 연구 대상은 특수건강진단 1차 항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노말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의 생물학적 노출 지표인 소변 중 2,5-헥산디온, 삼염화초산, 수은의 생물학적 노출 평가 보정 지표로, 이들 항목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 기준값 관련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였다. 한편, 2003-2011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보고된 특수건강진단 전산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11년간 소변 중 2,5-헥산디온, 삼염화초산, 수은의 특수건강진단 통계 자료를 집계하였다. 4. 연구결과 2013년까지 11년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보고된 특수건강진단 통계 자료 중 연구 대상인 3개 노출 지표에 해당하는 자료는 283,384건으로, 소변 중 2,5-헥산디온 206,654건, 소변 중 삼염화초산 60,884건, 소변 중 수은 15,946건을 취합하였다. n-헥산의 노출 지표인 2,5-헥산디온과 삼염화에틸렌의 노출 지표인 삼염화초산 분석건수는 노출 지표의 개정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물량면에서 중요도가 커졌다. 생물학적 노출 평가 통계 자료에 대한 보고 자료 분포를 조사한 결과, 최근 5년간 국내 노출 기준을 초과하는 시료는 소변 중 2,5-헥산디온과 수은이 총 보고건수의 0.1%, 삼염화초산은 0.8%로, 모두 1% 미만이었다. 소변 중 2,5-헥산디온은 한국 노출 기준이 5 mg/g 크레아티닌, 삼염화초산은 100 mg/g 크레아티닌으로 소변 시료 분석 결과를 크레아티닌으로 보정하며, 소변 중 수은은 200 μg/L으로 크레아티닌 보정을 하지 않는다. 소변 중 2,5-헥산디온은 핀란드와 일본의 노출 기준인 2, 3 mg/g 크레아티닌을 제외한영국, 유럽기구, 독일, 미국의 노출 기준 모두 크레아티닌 보정을 하지 않고 0.4- 5 mg/L를 적용하였다. 소변 중 삼염화초산의 유럽기구, 핀란드, 미국과 일본노출 지표는 15 - 50 mg/L로 크레아티닌 보정을 하지 않으며, 영국과 WHO에서는 50, 75-125 mg/g 크레아티닌으로 크레아티닌 보정을 권고하였다. 소변 중 수은은 핀란드의 28 μg/L를 제외한 모든 국가 및 기구의 노출 기준이 크레아티닌 보정 후 20-50 μg/g 크레아티닌을 적용하였다. 소변 시료의 변이를 보정하기 위한 요비중이나 크레아티닌 보정이 소변 시 료 분석 결과에 대해 적용되어야 하나 국내 분석 기관에서는 크레아티닌 보정이 명시된 항목 이외의 소변 시료에 대해서는 64%가 보정을 하지 않고 분석결과를 산출하고 있어, 소변 시료 분석 결과 보정에 대한 권장이 필요하였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1) 활용방안 n-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의 노출 기준 개정안을 제시하고 이들 항목의 노출 기준 개정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한다. (2) 기대성과 n-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 노출 평가 관련 기준 개정을 통한 정책 반영에 활용하고 n-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 노출 평가를 위한 실용적인 기준을 국내 규정에 반영함으로써 실질적인 노출 평가 수행에 기여한다. 6. 중심어 n-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 소변 중 생물학적 노출 기준, 소변 중 2,5-헥산디온, 소변 중 삼염화초산, 소변 중 수은, 크레아티닌, 요비중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 참고문헌 (1) 한국산업안전공단.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 한국산업안전공단; 2013. (2)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ACGIH). Styrene, Threshold Limit Values for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 Biological Exposure Indices with 7th Edition Documentation, ACGIH, Cincinnati, OH(2013) (3) Chen YS, Chua SC, Lee BL, Ong HY, Jeyaratam J, Ong CN. Kinetics of styrene urinary metabolites; a study in a low-level occupational exposure setting in Singapore.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1994;65:319-323 (4)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4th ed. Volumes 1: New York, NY. John Wiley and Sons, 1991-Present, p. V22 (1997) (5) Mat H HO, H Kenneth Dillon: Biological Monitoring of exposure to Chemicals, New York,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55-168, 1987 * 연락처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0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