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가구제조업 유해요인 발생 특성에 따른 환기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서회경
수 행 연 도
2014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가구제조업 유해요인 발생 특성에 따른 환기방안 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가구제조업은 가구를 생산하기까지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모되는 대표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생산과정이 자동화할 수 없는 부분이 많으며 대부분의 업체가 중소기업형인 특성이 있음. 재단 및 가공, 연마, 접착, 도장 등의 가구 제조 과정에서 목재분진, 소음, 크실렌,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이소시아네이트 및 각종 유기화합물 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으며 가구제조업 종사 근로자의 직업성 천식, 비염 및 후두염 등의 직업병 발생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음. 그러나 사업장에서는 국소배기장치 등의 환기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작업환경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유해물질의 노출평가 및 건강장해에 대부분 초점을 맞추어 가구제조업의 작업환경관리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따라서 가구제조 사업장의 작업환경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공정별 유해요인 노출 특성을 고려하여 환기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자 함. 3. 연구내용 및 방법 가. 가구제조업의 일반 현황 통계청 자료 및 공단의 산업재해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가구제조업의 규모 및 지역별 분포, 업무상 질병 발생현황 등을 분석하고, 가구산업의 특성과 가구재 및 표면마감재 등 가구에 대한 이해를 위해 관련 연구자료 등 문헌을 고찰함. 나. 가구제조 공정 및 유해인자 노출특성 최근 3년간(2011년~2013년) 실시한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결과 자료를 분석하여 가구제조업의 주요 공정 및 단위 공정별 노출가능 유해인자, 측정값 범위, 노출기준 초과여부 등을 파악함. 다. 환기 개선방안 수립 경기도, 부산, 경남 소재 가구제조 7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공정별 오염물질의 발생 특성 및 환기 실태를 파악하고 전산유체역학(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및 ACGIH의 Industrial Ventilation Manual을 활용하여 가공 및 연마, 접착, 도장, 건조 등의 공정별 환기 개선방안을 마련함. 도장 및 접착 공정의 일부 작업 구간에서는 포름알데히드 및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한 지역시료 노출평가를 실시하여 노출 수준을 파악하고, 환기 시뮬레이션에 활용함. 4. 연구결과 가. 가구제조업의 규모 및 특성 국내 가구제조업은 2012년 기준 11,104개소(64,868명)로 지역별 분포에서 경기지역이 약 43%인 4,717개소로 가장 많았고, 규모로는 전체 사업장의 99.1%가 50인 미만으로 가구제조 사업장의 대부분이 중소규모로 확인되었음. 목재가구제조업의 업무상 질병 발생현황(1999년~2013년)을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과 비교하였으며 목재가구제조업의 업무상 질병사망자는 총 29명으로 28명이 뇌심혈관 질환이었고, 업무상 질병이환자는 총 370명으로 근골격계질환 관련이 74.8%(277명), 뇌심혈관 질환 18.4%(68명), 세균?바이러스 1.9%(7명), 유기화합물 기타 5명, 소음성 난청과 직업성 천식(디이소시아네이트)이 각각 4명으로 확인됨. 나.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결과(2011년~2013년) 작업환경측정 결과 가구제조업의 주요 측정인자로는 전체 46,644건 중 소음이 약 24%인 11,122건으로 가장 많았고 목재분진(적삼목 외) 10.8%(5,060건), 톨루엔 6.5%(3,030건), 크실렌 4.4%(2,040건) 등의 순이었고, 실시 공정별로는 도장작업이 39%로 가장 많았으며 재단/가공 16.6%, 접착 12.2%, 용접 4.3%, 연마/샌딩 3.5% 등의 순이었음. 특수건강진단 결과에서는 작업환경측정 인자와 전체적으로 유사하였으나 목재분진(적삼목)과 포름알데히드의 측정 건수가 많았음. 다. 공정별 환기 실태 및 개선방안 재단/가공 및 연마작업과 접착, 도장 등의 작업별 환기 실태 조사 결과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음. 재단/가공 및 연마작업의 경우 불규칙적인 작업 조건에 따라 대부분 플렉시블 덕트를 이용하고 있어 유량관리를 위해 댐퍼를 설치하여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방형 후드의 설치 외에도 미세분진의 노출을 제어하기 위해 측방형 후드의 설치도 활용할 필요가 있음. 접착 공정은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사업장이 많으므로 슬롯형 측방형 후드 및 플렉시블 덕트 타입의 외부식 후드 등 작업 특성에 맞는 적절한 환기 장치가 필요하고, 작업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접착제 등의 유해물질이 노출되는 구간을 충분히 포위할 수 있는 형식의 후드 형태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 도장 작업은 도장 룸과 도장부스로 구별하였으며, 도장 룸의 경우 배기구와 급기구의 위치에 따른 와류 형성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류 흐름 방식 위주로 방안을 제시하였음. 도장부스의 경우 넓은 개구부로 인해 제어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다단 배플 등을 활용하여 슬롯형 개구부로 구조를 변경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도장부스의 바람직한 기류 흐름 구조와 풍상 방향에서의 작업방법 등을 정리하였음.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공정별 환기 개선방안은 사진과 그림을 최대한 활용하여 근로자뿐만 아니라 안전보건관리자 등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음. 환기 실태조사는 7개 사업장에서 이루어졌지만 가구 제조 공정의 특성상 중소규모 사업장에서는 유사한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을 것으로 예상함. 특히 재단/가공 및 연마공정의 경우 취급하는 설비가 거의 흡사하므로 본 연구 결과의 환기 개선방안을 쉽게 활용할 수 있음. 따라서 이번 연구결과는 가구제조 사업장의 근로자 및 안전보건관리자 등이 가구제조 공정별 유해요인 노출특성과 환기 개선방안을 이해하고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봄. 6. 중심어 : 가구, 유해요인, 환기, 가공, 접착, 도장, 작업환경관리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가. 참고문헌 1)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병 다발 화학물질 취급업종 표준환기 방안 연구: 연구결과보고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8-10-11, 2008. 2)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ACGIH). Industrial Ventilation-A Manual of Recommended Practice for Design. ACGIH, Cincinnati(OH); 2010. 3) Burgess W.A., M.J. Ellenbecker, R.D. Treitman. Ventilation for Control of the Work Environment. Wiley Puli.; 2004. 4) Goodfellow H, Esko Tahti. Industrial Ventilation Design Guidebook. Academic Press.; 2001. 5) Ilpo Kulmala. Advanced Design of Local Ventilation Systems. VTT Publi.; 1997. 나. 연락처 1) 연구책임자 : 직업환경연구실 서회경 연구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