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사업장 생식독성 화학물질 취급 및 노출 실태 조사 연구

연구책임자
김종규
수 행 연 도
2014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제목 사업장 생식독성 화학물질 취급 및 노출 실태 조사 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화학물질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유해화학물질은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사회적으로 발암성물질, 돌연변이성 물질, 생식독성물질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생식독성물질에 의한 근로자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2009년 전국 산업체 작업환경실태 일제조사”자료 및 “2013년 작업환경측정결과보고” 자료를 이용하여 사업장 생식독성 화학물질 취급 및 노출 실태를 조사하였다.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기초자료 및 유해성평가 기초자료를 생산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및 범위 ○ 연구대상 생식독성물질 선정 ○ 환경부 화학물질 유통량조사결과자료를 이용하여 생식독성물질 유통량 분석 ○ “2009년 전국 산업체 작업환경실태 일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우선관리 필요 생식독성물질 및 3대 업종 도출 ○ “2013년 작업환경측정결과보고” 자료를 이용하여 우선관리 필요 생식독성물질 및 주요 업종 도출 (2) 연구방법 ○ 생식독성물질 선정 ○ 화학물질 유통량조사결과 분석 ○ 제조업실태조사결과 분석 ○ 작업환경측정결과 분석 ○ 우선관리 필요 생식독성물질 및 주요 업종 도출 4. 연구결과 ○ 고용부고시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목록”에서 파악한 결과 생식독성 1A 물질은 납 및 그 무기화합물 등 6종, 생식독성 1B 물질은 니켈 카르보닐 등 20종, 생식독성 2로 분류되는 물질은 톨루엔 등 15개 물질, 수유독성 린데인 1개 물질로 총 42개물질이었다. 그 중 26개 물질이 작업환경측정대상이며 22개 물질이 관리대상물질이었으며, 그 중 관리대상물질 중 5개 물질이 특별관리 물질이었다. ○ 2009년 전국 산업체 작업환경실태 일제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사된 생식독성물질은 34개 물질이었으며, 작업환경실태조사 사업장 107,092개소 중 생식독성물질을 사용하는 사업장은 8,792개 소로서 8.2%이었다. - 노출근로자수가 1,000명 이상인 생식독성물질은 생식독성 1A인납 및 그 무기화합물, 생식독성 1B인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생식독성 2인 톨루엔, 노말헥산 등 6종이었다. - 노출근로자 83,729명 중 남자가 89.2%이었으며, 여자는 10.8%이었다. 여성 노출근로자가 50명 이상인 생식독성 1A 물질은 2-브로모프로판, 납 및 그 무기화합물 2종이었으며, 생식독성 1B물질은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부틸 프탈레이트,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에톡시에탄올, 1-브로모프로판 6종이었다. 그리고 생식독성 2 물질은 톨루엔, 노말-헥산 2종으로 총 10종물질이었다. - 생식독성취급 사업장 중 10인 미만 사업장은 총 8,052개소로 91.5%를 차지하고 있었다. - 생식독성물질 취급 중요업종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종합수리업이 1,501개소 1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업종이 다양하였다. ○ 2013년 작업환경측정결과자료에서 42개 생식독성물질 측정치를 추출한 결과 31개 생식독성물질이 측정되었으며, 메틸 이소시아네이트 등 11개 물질에 대한 측정자료는 없었다. 생식독성물질 작업환경측정 사업장은 20,096개, 측정자료는 141,122건, 노출근로자수는 215,335명이었다. - 작업환경측정치가 “0”인 사업장을 제외하고 분석한 결과 생식독성물질에 노출되는 사업장은 15,879개 사업장이었으며, 노출공정 근로자수는 126,701명이었다. - 노출기준 10%이상인 측정치를 추출하여 작업환경실태를 파악한 결과 4,824개 사업장 노출근로자수는 39,650명이었다. - 노출수준이 노출기준 10% 이상이며, 노출근로자수가 100이상인 주요 생식독성물질은 생식독성 1A인 일산화탄소, 납 및 그 무기화합물, 크롬산 연 등 3종이었으며, 생식독성 1B인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2-에톡시에탄올, 2-메톡시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1-브로모프로판 등 6종이었으며, 생식독성 2인 톨루엔, 노말-헥산 등 2종으로서 주요 생식 독성물질은 총 11종이었다. - 또한 작업환경측정치 중 80.3%가 노출기준치 10% 미만이었며, 노출수준 50%이상인 생식독성물질 작업환경측정치는 1,438개로 2.09%이었다. - 그리고 75사업장에서 135개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생식독성 2인 톨루엔의 노출 초과 측정치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독성구분 1A인 납 및 그 무기 화합물이었으며, 독성구분 1B인 디메틸로름아미드, 1-브로몬프로판 등의 순이었다. 노출기준초과 사업장 주요 업종은 선박 구성부분품 제조업이었으며 48개 업종에서 발생하였다. - 작업환경실태조사에서 노출 여성근로자가 많으며, 작업환경측정결과 노출수준이 높은 주요 생식독성물질(납 및 그 무기화합물,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톨루엔, 노말-헥산) 취급 공정 여성 근로자에게는 노출수준 및 독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생식독성 조기발견을 위하여 생식독성의 복잡성을 감안한 상세한 설문지를 건강진단 시 활용하여 근로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을 하여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생식독성물질 취급하는 사업장에 대한 DB 구축 ○ 생식독성물질 취급사업장 근로자의 산업보건의식 향상 ○ 생식독성물질 주요업종 파악 및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 국내외 관련 학술지 게재 및 국내외 관련학회 발표 6. 중 심 어 생식독성물질, 노출실태, 작업환경실태 일제조사, 작업환경측정결과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8호(2013.08.14)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목록” 2) 김종춘 산업화학물질에 대한 내분비계 장해물질의 생식독성 연구. 한국산업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용역과제 최종보고서 2008년 3) 임경택 등. 특별관리대상 유해물질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용역과제 최종보고서 2011년 4) 피영규 등. 발암성, 생식독성, 변이원성물질에 대한 관리체계연구. 한국산업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용역과제 최종보고서 2008년 5) 홍윤철 등. 여성근로자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의 관리방안 연구. 한국산 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용역과제 최종보고서 2007년 6) Council on Environmental Quality (U.S. Government). Chemical Hazards to Human Reproduction, Washington, DC, January 1981 7) John HG. U.S. Congress,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 reproductive health hazards in the workplace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OTA-BA-266. December 1985 ▶ 연구책임자:직업환경연구실 김종규 연구위원 ▶ 연구원 담당자: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김종규 연구위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