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특발성간질성폐렴 직업적 노출의 연관성 분석

연구책임자
구정완
수 행 연 도
2014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특발성간질성폐렴 직업적 노출의 연관성 분석 2. 연구필요성 및 목적 1) 연구 필요성 ○ 직업적, 환경적 원인에 의한 미만성폐실질질환을 배제한 정의에 기초를 둔 특발성간질성폐렴의 발생에 직업적, 환경적 원인이 기여하는 부분이 상당한 것이 기존 연구에서 밝혀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특발성간질성폐렴에서 직업적, 환경적 원인이 기여하는 부분의 규모를 확인하고 기전을 밝혀 질병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 목적 ○ 문헌고찰을 통해 특발성간질성폐렴의 위험요인을 확인한다. ○ 건강보험공단 심사평가원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전체 특발성간질성 폐렴의 발생률/유병률을 평가한다. ○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특발성간질성폐렴 환자의 직업적 노출의 연관성을 평가한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1) 국내외 특발성간질성폐렴의 직업적 요인 문헌 검토 ○ CORE 문헌검토를 통한 특발성간질성폐렴의 직업성 요인 문헌 검토 2) 특발성간질성폐렴 발생규모 추정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database를 바탕으로 특발서간질성폐렴의 국내 발생 규모를 추정 3) 특발성간질성폐렴 환자-대조군 연구 ○ 신규 발생한 특발성간질성폐렴 환자군과 직업과 관련이 있는 질환이 배제된 폐렴 및 폐결핵 롼자들로 구성된 대조군을 설정 ○ 연령, 성별 등을 짝지은 환자 대조군 연구를 수행 (IRB승인번호: XC14QNM0035K) 4. 연구결과 1) 국내외 특발성간질성폐렴의 직업적 요인 문헌 검토 ○ 국외 문헌검색엔진을 활용하여, 탐색적인 문헌검토를 수행하였으며, 1990년 이후 총 16편의 직업성 특발성폐섬유화증을 비롯한 특발성간질성폐렴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및 기술연구를 확인하였다. ○ 최종 메타분석 대상은 11편의 환자 대조군 연구였으며, 분석 결과 금속분진, 목분진, 산화규소 노출자 및 철강 산업 근로자 등이 대표적인 특발성간질성폐렴의 유해인자로 확인되었다. 2) 특발성간질성폐렴 발생규모 추정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수진내역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특발성간질성폐렴의 발생률과 유병률을 확인하였다. ○ 특발성간질성폐렴의 유병률은 10만명당 73.2명~94.1명이었으며 이 중 특발성간질성폐렴의 유병률은 10만명당 30.0~37.5명으로 파악되었다. ○ 특발성간질성폐렴의 발생률은 10만명당 37.3명(2011년), 37.0명(2012년)이었으며 이 중 특발성폐섬유화증의 발생률은 2011년도 10만명당 13.9명, 2012년도 13.8명이었다. ○ 2013년 특발성간질성폐렴의 총 의료비용은 약 735억원이며 이 중 특발성폐섬유증의 총 의료비용은 약 371억원이었다. 3) 특발성간질성폐렴 환자-대조군 연구 ○ 2014년 5월 22일 가톨릭중앙의료원 IRB 심의통과 후 연구기간동안 환자군 117명, 대조군 123명 총 240명을 대상으로 직업력 및 기타 노출력에 대한 문진을 수행하였다. 최종분석에는 환자군 111명, 대조군 120명을 포함하였다. ○ 병원소재지, 연령대, 성별을 짝지어 환자 대조군을 분석한 결과 환경, 군복무력, 흡연을 보정한 후에도 직업적 금속분진 노출력과 특발성간질성폐렴의 관련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 환자군의 업무관련성이 높았던 군을 확인해본 바, 알루미늄 금속분진 노출자, 광업 종사자 등 특이 분진에 노출될 수 있는 직업군이 확인되었다. ○ 금속분진 노출시 1초율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이외의 폐기능 항목은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금속 분진 노출시 당뇨질환의 유병률의 차이 이외에는 다른 분진에 따른 임상질병의 유병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우리나라 특발성간질성폐렴의 발생률과 환자대조군 연구를 이용하여 국내 특발성간질성폐렴의 직업과의 관련성을 평가할 수 있다 ○ 향후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업무상 질병으로 진단될 수 있는 특발성간질성폐렴의 발생률을 추정할 수 있어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6. 중심어 특발성간질성폐렴, 특발성폐섬유화, 금속, 규소분진, 직업, 환경 7. 연락처 연구책임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구정완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