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나노물질 노출 특성 및 측정 분석 방법 연구

연구책임자
지준호
수 행 연 도
2014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 제목 나노물질 노출 특성 및 측정 분석 방법 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나노기술은 IT, BT, ET 관련 신산업 등 거의 모든 산업에 필요한 핵심 요소기술로 국제적으로도 산업화에 진입하는 단계이고, IT와 BT의 기반이 되고 있는 등 기술적·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로 나노 관련 산업과 관련 상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 나노물질, 나노입자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가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독성연구와 노출평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작업자의 안전에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자료가 충분하지 않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된 나노물질 안전에 관련된 기준은 많지 않다. 또한, 제조나노물질이 대기나 물, 토양 등 환경에 배출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명확한 결과를 설명하는 자료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노출평가방법인 필터방법에 의해 무게농도를 측정/분석하는 방법이 제조나노물질의 노출평가에 사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작업장에서 나노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실시간 에어로졸 측정 장비와의 상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나노작업장의 노출평가 연구의 기본이 될 수 있는 나노물질 관련 용어를 정리하고, CNT 작업장의 국내외 노출평가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첫째, 나노물질 관련 용어의 정의 (ISO 혹은 KS 발췌 정리)한다. 둘째, 제조나노물질의 생산, 취급공정에서의 나노입자 노출 실태 파악한다. 특히, CNT 작업장의 공정을 분석하고, 국내외 CNT 작업장의 노출평가 연구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부록에 다양한 나노입자 측정 분석 방법에 대한 원리를 정리한다. 셋째, 전통적인 은 입자의 필터 샘플 방법과 실시간 에어로졸 측정 방식을 비교하여 연구한다. 구형 입자인 은나노 입자의 측정/분석 방법을 비교하고, 은나노 입자의 에어샘플 조건에 대해 전자저울에 의한 무게측정과 ICP-MS 방법을 이용한 원소분석 방법, SMPS를 이용한 에어로졸 실시간 측정 방법 간의 상관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한다. 이 때 실제 은나노 작업장에서 합성되는 것과 유사한 은나노 시험 입자를 발생시켜 시험 평가를 진행한다. 넷째, 탄소나노섬유(MWCNT) 나노입자의 측정 방식을 비교하여 검토한다. 섬유형 입자의 노출 측정/분석 방법을 비교하여 기초자료를 확보한다. 이를 위해 탄소나노섬유의 공기 중 발생장치를 제작하여 적용하고, SMPS 장비의 측정의 문제점과 특성을 검토하고, 필터 방법에 의한 EC 분석방법(NIOSH5040)과 실시간 분석방법인 블랙카본분석기(Aethalometer)의 측정특성을 확인하고 상관성을 검토한다. 다섯째, 나노안전성 포럼을 2회 개최한다. 1회는 연구자와 연구상대역의 논의의 장으로 개최하고, 2회는 국내 전문가를 초빙하여 세미나 및 토론을 진행한다. 3. 연구 내용 및 방법 3.1 나노물질의 용어 정리 ○ 나노물질의 용어 정리는 KS 규격으로 정의되어 있는 부분 중 해당 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KS A ISO/TS 27687 발췌 정리) ○ 유럽연합 신규보건과학위원회의 제안한 나노물질의 정의를 정리한다. 3.2 나노물질의 노출 특성 연구 ○ 제조나노물질의 생산, 취급공정에서의 나노입자 노출 실태 파악에 대해서는 CNT 작업장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한다. ○ 국외 문헌 : CNT 노출평가 관련 SCI급 논문 검토 및 NIOSH에서 발간한 SCI 논문 4건의 상세 분석한다. ○ 국내 문헌 : CNT 노출평가 관련 SCI급 논문 검토 및 Han 등의 논문 등 3건의 상세 분석 및 산업통상부 과제로 진행된 나노플랫폼 과제의 “나노제품의 노출평가를 통한 리스크 관리 기술개발” (2009.11.01.~2014.10.31.(60개월), 연구비 2,364,000천원)의 CNT 작업장 노출평가 연구결과를 분석한다. 3.3 나노물질의 측정 방법 연구 ○ 전통적인 필터 샘플을 이용한 방법과 실시간 계측기를 이용한 측정 방법의 특성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 구형 입자인 은나노 입자의 측정/분석 방법 간의 상관성을 비교한다. 1) 은나노 입자 발생 장치의 발생 안정성 확보 : ISO10801 국제표준 기술의 발생장치 사용 2) 평가 시스템의 구축 : 실시간 에어로졸 계측기, 필터 샘플러 등 구성 3) 분석 방법의 비교 : 필터 샘플링 방법을 이용한 무게측정 및 분석 방법과 (전자저울 분석, ICP/MS를 이용한 은나노 입자 원소성분 분석) 실시간 에어로졸 측정장비(SMPS)의 측정 결과 비교 4) 측정, 분석 방법별 상관성 비교 및 OECD 사업제안을 위한 데이터 확보 ○ 섬유형 입자인 탄소나노섬유의 측정/분석 방법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확인한다. 1) MWCNT 발생 장치의 발생 안정성 확보 :다양한 MWCNT 발생방법 검토 및 안정성 확보 발생장치 사용 2) 평가 시스템의 구축 : 실시간 에어로졸 계측기, 필터 샘플러 등 구성 3) 분석 방법의 문제점 검토 : 필터 샘플링 방법을 이용한 무게측정 및 분석 방법(전자저울 분석, NIOSH 5040 방법을 이용한 EC 분석)과 실시간 블랙카본분석기(Aethalometer)의 black carbon 측정, 실시간 에어로졸 측정장비 (SMPS)의 측정 문제점의 검토 및 비교 4) 측정, 분석 방법별 문제점 분석 및 상관성 검토 3.4 포럼 진행 ○ 1차 포럼 (2014.06.25.) 과제연구원과 연구상대역의 내부 소통 ○ 2차 포럼 (2014.09.25) 외부 전문가 초청세미나(3명) 및 과제결과 홍보 4. 연구결과 4.1 나노물질 노출 특성 연구 ○ CNT 제조공정은 기본적인 합성공정에 의해 원료소재를 만들어 내는 1차 공정(primary manufacture)과 제조된 CNT 원재료를 이용하여 가공하여 중간재나 제품형태로 만들어 내는 2차 공정(Secondary manufacture)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현재까지는 1차 공정인 소재 합성 단계에서 작업자에게 미치는 노출 특성 등에 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향후 나노소재를 이용한 나노코팅이나 복합물질 제조 등 2차 공정의 작업자 노출에 대해서는 관심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특히, 석면과 비슷한 독성의 의구심이 나타나는 탄소나노섬유에 대한 노출측정 연구가 시급히 진행되어야 할 문제로 제기되고 있고, 국제적으로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 NIOSH에서 진행한 연구로 나노입자의 노출 평가 기법(Nanoparticle Emission Assessment Technique: NEAT)을 개발하여 필드에서 노출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하였으나, 나노물질의 노출을 분석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공정 중에 발생되는 노출에 대한 직독식 계측기를 이용한 평가 문제와 대기 중에 이미 존재하는 배경 나노입자와 구분하는 문제 등이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 NIOSH에서는 실시간 에어로졸 계측기를 이용하여 제조나노물질의 노출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으나, 아직 초보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고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 탄소나노섬유의 경우, 미국의 경우 EC의 농도값이 초기인 2010년에 NIOSH(2010)가 제안한 7μg/m3(EC) 기준에는 만족하지만, 2013년에 개정된 NIOSH(2013)의 1μg/m3 기준에 대해서는 많은 측정 샘플이 제안된 REL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에서는 Han et al.(2008)의 연구를 시작으로 CNT 노출평가에 대한 연구가 지속하여 진행되고 있고, 최근 산업통상부 과제로 진행된 나노플랫폼 과제의 “나노제품의 노출평가를 통한 리스크 관리 기술개발”(2009.11.01.~2014.10.31.(60개월), 연구비 2,364,000천원)의 CNT 작업장노출평가 연구결과 분석에서 국내의 나노작업장에 대한 노출 특성 데이터가 확보되고 있다. ○ 국내 CNT 작업장에서 원소탄소를 분석하기 위해 블랙카본 분석기인 Aethal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EC의 배경 농도가 2μg/m3 이상으로 매우 높고, 특히 출근 시간의 경우 자동차 운행의 증가로 7μg/m3 이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 미국의 측정 데이터인 Dahm et al.(2012)의 바깥 대기의 배경농도에서 측정한 EC의 농도는 대부분이 1μg/m3 이하이지만, 실제 한국의 공단 지역에서는 1μg/m3 보다 높은 배경농도를 보이기 때문에 국내 실정에 맞는 기준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국내 나노물질 작업장의 경우, 공단지역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서 고농도로 존재하는 대기의 나노입자가 작업장 내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노출평가를 진행시에 바깥 대기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4.2 나노물질 노출 측정 분석 연구 (은나노 입자) ○ SMPS 무게추정 데이터, 필터 무게농도 측정, MCE 필터 샘플을 이용한 ICP-MS 분석을 위한 시험 은나노 입자의 생성, 샘플링 및 평가를 위한 시험장치를 구성하여 상관성 평가 시험을 진행하였다. ○ 에어샘플링한 필터를 ICP-MS와 AAS-GF에 의한 은나노 원소 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 동일한 은나노 입자 발생 조건에 대해서 나노입자의 크기가 달라져도 같은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 GMD: 9nm and 15nm의 분석 결과가 일치함. - MCE 필터와 테플론 필터의 비교실험에서 분석값이 일치하였지만, MCE필터의 경우, 눌러서 체결하여 누설을 막는 구조이므로 주의하여 필터를 고정해야 함 - MCE 필터의 경우, 100nm 이하에서 나노입자의 포집효율이 99% 이상이었다. 그렇지만, 300nm 근처에서 85% 까지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 은나노 원소분석 방법과 SMPS 실시간 측정 방법에 의한 무게농도 추정 값은 0.4~0.5의 기울기(x축= 원소분석방법, y축=SMPS실시간 측정방법)와 0.99이상의 상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은나노 입자를 테플론 필터로 샘플링하여 전자저울로 무게를 측정한 결과와 실시간 에어로졸 계측기인 SMPS를 사용한 경우에 거의 1:1 상관성을 나타냈다. - 은나노 입자가 고농도로 발생되는 조건이나 은나노 입자만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라면 SMPS에 의한 모니터링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SMPS의 경우, 무게농도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오차의 소지가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실제 농도를 과다 측정하는 경향이 있다. ○ 원소분석 방법에 사용되는 MCE 필터의 경우, 100nm 이하의 대부분의 입경에서 99% 이상의 포집효율을 나타내므로, 나노입자에 대한 샘플링에 문제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4.3 나노물질 노출 측정 분석 연구 (탄노나노튜브 나노 입자) ○ 다중벽 탄소나노섬유의 측정 방법 검토를 위해 공기 중 발생장치를 제작하였고, 발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 SMPS 무게추정 데이터, 필터 무게농도 측정, NIOSH5040 방법에 의한 쿼츠 필터를 사용한 EC 분석, 실시간 블랙카본분석기(Aethalometer) 측정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시험입자 발생, 샘플링, 측정, 평가를 위한 시험장치를 구성하였다. ○ SMPS의 실시간 측정, 필터 무게농도, NIOSH 방법에 의한 MWCNT의 EC 분석 등 결과의 상관성 분석 및 적용성 연구 - MWCNT의 무게농도는 입자 자체가 가지는 낮은 밀도와 섬유형 특성에 의한 날림 가능성 및 정전기적 특성들이 작용되어 전자저울에 의해 쉽게 신뢰성 있는 무게농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30시간 샘플링한 조건에서만 NIOSH 분석 결과와 비슷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SMPS 측정에 의한 무게농도 추정값은 EC 농도와 상관성을 보이지만, 절대값을 신뢰하기 어렵다. 만약 CNT가 고농도로 발생되는 조건이나 CNT 누출이 예상되는 공간에는 모니터링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또한 구형이 아닌 섬유상입자의 탄소나노섬유에 대해서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SMPS 측정의 경우 또한 탄소나노섬유의 유효밀도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면, 특수한 작업장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으로 적용 또한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블랙카본분석기(Aethalometer)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실시간으로 블랙카본(BC, black carbon) 무게농도의 추정하는 경우, NIOSH의 EC 분석치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게 블랙카본농도를 추정하였다. - NIOSH5040 방법을 이용한 EC, OC, TC의 분석 결과, 10, 20, 30 시간 샘플에서 분석결과의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C 농도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OC 농도는 어느 정도 증가한 후에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었고, EC 값은 천천히 증가한 후에 선형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4.4 추가 연구의 필요성 ○ 탄소나노섬유의 경우 IARC(국제암연구소)에서 2014년 10월 탄소나노섬유(CNT, carbon nanotube)의 발암성을 평가하여 발암성 등급화를 진행할 예정에 있는 상황이지만, 나노작업장에서 제조나노물질의 노출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 특히 배경 나노입자로부터 제조나노물질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술로 시험 입자로 간단히 만들어 낼 수 있는 발생방법(1μm 이하의 MWCNT 나노입자 생성)을 사용하여 측정 방법들을 간단히 비교하였지만, 일반적인 분말공정에서 나타나는 독성에 영향이 크다고 여겨지고 있는 1~10μm 크기의 탄노나노튜브에 의한 평가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발생장치의 개발 및 측정 분석 방법 간의 상관성 등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특히,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와 같이 탄소나노섬유에 대해서는 NIOSH에서 제안한 NIOSH5040 방법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웠다. 또한, 실시간 CNT 모니터링 계측기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Aethalometer에 대한 상관성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본 연구에서는 나노작업장 내 나노물질의 노출 특성과 나노물질의 노출 측정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고, 각 항목에 대해 다음과 같은 활용 가능성을 기대한다. 첫째, 나노작업장 내 노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미 대기 중에 다양한 오염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존재하는 나노입자의 특성을 이해해야 하고, 배경 나노입자로부터 작업장에서 제조하는 제조나노물질의 노출을 구분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특히, CNT의 경우 NIOSH에서 제안한 REL인 1μg/m3 보다 높은 배경농도를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둘째, 은나노 입자의 노출 분석방법은 기존에 사용되는 에어샘플링 후, MCE 필터를 ICP-MS로 원소 분석하는 방법이 나노크기의 은 입자의 경우에도 타당할 것으로 보이며, 에어로졸 실시간 계측기인 SMPS와 ICP-MS 분석에 대한 상관성이 크게 나타나므로, SMPS를 은나노 입자가 고농도로 노출될수 있는 조건에 모니터링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NT의 경우, 발생과 측정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구체적인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는 다음과 같다. - 미국의 NIOSH 측정 결과를 분석해 보았을 때, 배경농도인 EC의 배경농도는 1μg/m3 이하였으나, 국내 CNT 작업장의 원소탄소를 분석하기 위해 블랙카본 분석기인 Aethal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EC의 배경 농도가 2μg/m3 이상으로 매우 높고, 특히 출근 시간의 경우 자동차 운행의 증가로 7μg/m3 이상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 에어샘플링한 필터를 ICP-MS와 AAS-GF에 의한 은나노 원소 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 동일한 은나노 입자 발생 조건에 대해서 나노입자의 크기가 달라져도 같은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크기가 나노입자로 작아져도 기존의 필터 샘플링 후 원소 분석을 이용하여 무게를 분석하는 방법이 나노물질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은나노 원소분석 방법과 SMPS 실시간 측정 방법에 의한 무게농도 추정 값은 0.4~0.5 상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데이터를 추가하면 OECD 나노물질 노출평가 사업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특히, 은나노 입자가 고농도로 발생되는 조건이나 은나노 입자만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라면 은나노 작업장에서 SMPS를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탄소나노섬유의 측정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SMPS 무게추정 데이터, 필터 무게농도 측정, NIOSH5040 방법에 의한 쿼츠 필터를 사용한 EC 분석, 실시간 블랙카본분석기(Aethalometer) 측정 방식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와 같이 탄소나노섬유에 대해서는 NIOSH에서 제안한 NIOSH5040 방법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웠고, 실시간 계측기로 사용할 수 있는 Aethalometer에 대한 상관성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는데 주의할 점이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 은나노 입자의 측정 분석의 상관성을 정밀한 평가 결과로 보여주기 위해, ISO10801(2010) 방법에 의한 은나노 입자 발생장치를 적용하였으나, 무게농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였다. 현재 기술로 최고 수준의 발생장치를 사용하였지만, 개수농도를 기준으로 측정하는 장비의 무게농도 추정값을 사용하는 경우 아직 한계가 보였다. 향후 발생장치의 성능 향상을 통한 정밀한 나노입자 발생기술이 요구된다. - 탄소나노섬유는 섬유형의 종횡비(aspect ratio)가 매우 큰 나노입자로 전자저울을 통한 무게 측정이 쉽지 않았다. 이것은 발생된 탄소나노섬유의 무게 농도가 낮았고, 필터로 샘플된 시료에서 탄소나노섬유의 날림현상이나 정전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탄소나노섬유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에어로졸 실시간 측정장비인 SMPS는 원리상 측정오차가 발생하고 무게농도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증폭된다. 특히, 정확한 밀도를 알수 없어 밀도를 가정해야 했기 때문에 신뢰성을 얻기 어려웠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탄소나노섬유 시료에 대해 NIOSH5040 방법을 이용한 EC, OC, TC의 분석결과, TC 농도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OC 농도는 어느 정도 증가한 후에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었고, EC 값은 천천히 증가한 후에 선형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것은 디젤 입자상 물질의 경우와 차이가 있고, 다른 연구자들의 결과와도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분석 프로토콜이 디젤 입자상 물질과 탄소나노섬유에 대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6. 중심어 나노작업장, 나노물질, 은나노 입자, 탄소나노섬유, 노출평가, ICP-MS, SMPS, NIOSH5040, 원소탄소(EC, elemental carbon), 블랙카본(BC, black carbon), 블랙카본분석기(Aethalometer)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DahmMM, EvansDE, Schubauer-BeriganMK et al. Occupational exposure assessment in carbon nanotube and nanofiber primary and secondary manufacturers: mobile direct-reading sampling. Ann Occup Hyg 2013;57:328-344. DahmMM, EvansDE, Schubauer-Berigan MK et al. Occupational exposure assessment in carbon nanotube and nanofiber primary and secondary manufacturers. Ann Occup Hyg 2012;56:542?556. HanJH, LeeE, LeeJH et al. Monitor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 exposure in CNT research facility. Inhalation Toxicology 2008;20:741-749. ISO10801:2010, Nanotechnologies-Generation of Metal Nanoparticles with the Evaporation/Condensation Method for Inhalation Toxicity Testing. ISO/TS27687:2008, Nanotechnologies-Terminology and definitions for nano-objects; Nanoparticle, nanofibre and nanoplate. JiJH, JungJH, YuIJ et al. Long-Term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a Nanoparticle Generator for Inhalation Toxicity Study. Inhalation Toxicology 2007;19(9):745-751. JiJH, KimJB, LeeGJ et al. Nanomaterials exposure in a single wall carbon nanotube manufacturing workplace, J Nanoparticle Research 2014b, in preparation. JiJH, WooDK, LeeSB et al.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materials released in low concentrations during multiwall carbon nanotube spraying process in a cleanroom. Inhalation Toxicology 2013;25(14):759-765. JiJH, WooDK, LeeSB et 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nomaterials exposed in a multiwall carbon nanotube manufacturing workplaces: suggestion of nanoparticle source analysis using four real-time aerosol detectors. 2014a in preparation. MethnerM, HodsonL, DamesA et al. Nanoparticle emission assessment technique (NEAT) for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potential inhalation exposure to engineered nanomaterials-part B: results from 12 field studies. J Occup Environ Hyg 2010b;7:163-176. MethnerM, HodsonL, GeraciC. Nanoparticle emission assessment technique (NEAT) for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potential inhalation exposure to engineered nanomaterials-part A: results from 12 field studies. J Occup Environ Hyg 2010a;7:127-132. NIOSH, Draft current intelligence bulletin Occupational Exposure to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2010. Cincinnati, O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HHS (NIOSH), NIOSH Docket Number: NIOSH 161-A. NIOSH, Current intelligence bulletin 65 Occupational Exposure to Carbon 요약문 … 15 Nanotubes and Nanofibers. 2013. Cincinnati, O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HHS (NIOSH) Publication No. 2013-145.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위원 정은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