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라돈의 직업적 노출실태 및 평가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정은교
수 행 연 도
2014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라돈의 직업적 노출실태 및 평가 방안 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라돈(222Rn)은 생활공간 어디에나 존재하는 자연방사능 물질로서 토양, 암석 중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라늄(238U)이 몇 번의 방사성 붕괴를 거듭한 후 생성되는 무색·무취의 가스상 물질이다. 우리나라 폐암 사망자는 2005년 1만 3천명으로 이중 4~15%가 라돈노출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 하고 있다. 또한, 미국 EPA는 미국에서 라돈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매년 20,000명으로 폐암사망자의 10%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리고 WHO에서도 라돈을 담배에 이어 폐암 발병원인 인자로 보고 있으며 폐암 발병의 3~14%를 차지하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IARC에서는 라돈을 흡연 다음으로 폐암을 일으키는 인체발암물질로 설정되어 있다. 라돈은 반감기가 3.8일이며 붕괴생성물인 폴로늄(218Po, 214Po)을 방출하는데 이들은 먼지 등에 잘 흡착되며, 폐에 흡입된 후 붕괴하면서 알파선을 방출한다. 2013년 전북 남원지역에서 음용수 중 라돈 노출로 인한 질병발생이 의심되는 사회적 이슈가 발생한 바 있다. 환경안전건강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실시한 전북 남원 내기마을 인근 지하수 6곳에 대한 라돈농도 조사결과, 라돈농도가 최저 2,478.3 pCi/L에서 최고 7,663.7 pCi/L가 검출되었다. 남원시와 전북 보건환경연구원은 2013. 3월에 내기마을의 식수와 토양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미국 환경보호청(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음용수 권고 기준치인 300 pCi 보다 8~26배를 초과한 수치다. 이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했던 전북 남원 내기마을 주민 중 다수가 지난 2009년부터 식도암과 폐암 등 각종 암 질환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연합뉴스, 2013.9).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이 라돈농도가 높은 지역의 사업장에는 라돈농도 수준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보고 2003년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면서 신설된 ‘사무실에서의 건강장해예방’ 안전보건에 관한 기준 편에서 타 부처에는 대상물질로 설정되어 있으나 고용노동부 고시「사무실 공기질 관리지침」에는 누락되어 있는 라돈에 대해 제조업 사업장의 사무실 및 공장을 대상으로 라돈농도를 측정 및 평가하고 이를 통해 라돈의 관리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전북지역에 위치한 사업장 12개사의 사무실 및 공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측정장소는 45개소이고 사무실 42개소(지상 40, 지하 2), 공장 3개소(1층)이었다. 그리고 각 측정위치 별 시료수는 사무실 93개 지점, 공장 19개 지점으로 하였다. ○ 연구방법 연구에서 단기간 측정용으로 사용된 연속모니터측정기는 Radon Sentinel 1030(Sun Nuclear, USA)으로 확산접합형 포토다이오드 방식에 의한 알파선 검출기이며 48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장기간 측정용으로 사용된 시간적분형 라돈농도 측정기는 휴대가 간편한 끈을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50 cm 이상, 천정으로부터 50 cm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여 3개월 동안 측정하였다. 4. 연구결과 ○ 사업장별 라돈농도 전체사업장 12개사의 라돈 노출농도는 산술평균으로 20.3±16.8 Bq/m3 (0.7~115.8 Bq/m3), 기하평균으로는 14.2 Bq/m3 (GSD 2.7) 이었다.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으로 라돈의 권고기준을 148.0 Bq/m3 으로 정하고 있다. ○ 측정장소별 라돈농도 연구대상 사업장의 라돈농도를 측정한 장소를 크게 세가지로 분류하면, 사무동, 공장동, 지하로 구분할 수 있는데, 라돈농도는 기하평균으로 사무동 15.4Bq/m3, 공장동 10.1 Bq/m3 지하 11.1 Bq/m3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지하가 지상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시료수가 적은 것을 첫 번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세 그룹간 평균농도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 건축자재별 라돈농도 연구대상 사업장의 라돈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 중 건축물의 벽, 바닥 및 천장의 건축자재 종류를 조사하였다. 벽의 재질은 석고보드, 시멘트, 콘크리트, 샌드위치 판넬 등으로 크게 분류하였고 벽의 재질에 따른 라돈 농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벽의 재질이 석고보드인 경우 기하평균은 18.1(2.4) Bq/m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콘크리트 14.9(2.6) Bq/m3 순으로 높았으며, 시멘트인 경우가 샌드위치 판넬보다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더 낮게 나타났다. 벽의 재질이 샌드위치 판넬인 경우는 대부분 공장동의 벽 재질이었으나 공장의 바닥은 대부분 콘크리트 형태이어서 이로 인한 농도차이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벽의 재질에 따라 라돈농도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 측정방법별 라돈농도 연구대상 사업장의 라돈농도를 측정함에 있어 두가지 측정방법을 병행하였다. 즉 단기측정방법인 직독식 측정장치에 의한 48시간 동안 연속측정과 장기측정 방법인 알파트랙에 의한 3개월 동안 시간적분 측정을 적용하였는데, 두 방법간 측정된 평균농도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두 방법간 독립표본 t-검정결과, 라돈의 평균농도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 인산석고 제조사업장 라돈농도 인산비료를 생산하기위해 원료물질인 인광석을 직접 사용하는 사업장의 각 공정에서 24시간 동안 단기측정한 경우 라돈농도는 원료창고 133.0 Bq/m3, 분쇄 7.0 Bq/m3 , 운전실 11.0 Bq/m3, 야적장 22.0 Bq/m3 이었으며, 원료창고에서 최대 551 Bq/m3 까지 검출되었다. ICRP에서 권고하는 작업장에서의 직업인의 최고노출기준인 1,500 Bq/m3 을 초과하지는 않았다. ○ 석고보드 제조사업장 라돈농도 석고보드를 생산하는 국내 사업장은 현재 인산석고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각 공정에서 단기측정을 실시한 라돈농도는 원료창고 7.0 Bq/m3, 소성 7.0 Bq/m3, 배합 7.0 Bq/m3, 성형 11.0 Bq/m3, 조절 및 정절단 7.0 Bq/m3 이었다. 라돈농도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방사성물질을 함유한 인산석고 대신 탈황석고를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부분 공정의 라돈농도는 환경부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인 148 Bq/m3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5. 활용 및 기대성과 (활용방안)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사업장 중 간접적 원인으로 라돈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에 대한 관리기준과 직접적 원인으로 라돈이 발생하는 장소, 즉 원료물질이나 공정 부산물 내에 방사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이를 직접 취급하므로써 라돈에 직접 노출될수 있는 장소에 근무하는 근로자, 즉 종사자에 대한 관리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정책 및 제도개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기대성과) 향후, 사업장의 원료물질이나 공정 부산물로 인한 방사성 물질 노출 및 라돈 노출의 추적 관찰을 통해 적절한 평가기준과 관리기준을 마련해 나감으로써 동 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의 업무상 질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라돈에 의한 폐암발생 등 역학조사에 필요한 원인규명의 증거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6. 중심어 라돈, 사무실, 건축자재, 방사성물질, 원료물질, 인광석 및 석고, 공정 부산물, 석고보드, ICRP, UNSCER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 참고문헌 정지연. 사무실 공기질 평가 및 관리기준 개발(Ⅰ).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연구원 2004-109-606);2004.(1-130쪽.) 조승연. 라돈 고노출 경로 관리체계 구축. 환경부; 2010.(1-90쪽.) Mark LM, Mark DH. Radioactive Air Sampling Methods. CRC Press;2010.p.457-480 Jacob Shapiro. Radiation Protection: A Guide for Scientists and Physicians, 4th E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p. 167-249 ICRP.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103. 2007. ICRP 37 (2?4). UNSCEAR(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Sources-to-Effects Assessment for Radon in Homes and Workplaces. UNSCEAR 2006 Report. Annex E. New York: United Nations. 200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ndbook on Indoor Radon. WHO Press, Geneva. 2009. p.1-94. ○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위원 정은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