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이동식 크레인 사망재해 원인분석 연구

연구책임자
신운철
수 행 연 도
2014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제목 : 이동식 크레인 사망재해 원인분석 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012년 업무상 사고 사망만인율은 0.73으로 OECD 국가 중에서 하위를 나타내고 있어 사망 사고 예방이 매우 필요함. 2) 사망 사고의 사고원인 분류에서 불안전 행동에 의한 사고인지 불안 전 상태에 의한 사고인지에 대해 정확하게 조사된 분석 자료가 없어 실질적 재해예방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함. 3) 사망 사고의 예방은 기인물에 대한 재해예방 대책이 필요하므로 기인물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필요함. 4) 사고의 주요 접점이 사람과 기계이므로, 주요 접점에서 인간요소에 대한 인간공학적 대안이 필요함. 5) 휴먼에러에 의한 재해예방을 위해,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인간 공학적인 요소의 재해예방 내용을 담을 수 있도록 제시가 필요함. 3.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1) 이동식 크레인 사망재해에 대한 재해분석을 통한 주요 문제점 파악 - 2013년의 재해를 대상으로 위험요인별로 재해분석 (2) 재해분석 결과 도출된 원인에 대하여는 인간공학적 대안을 제시 (3) 문제점에 대하여 개선 방안으로 근원적이고 실용적 방안 강구 2) 연구 방법 (1) 현장의 사용 현황 분석 (2) 기계 사용자의 인간공학적 기준 검토 4. 연구 결과 업무상 사고 사망 만인율을 감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동식 크레인은 사망사고율이 높은 기계이다. 이동식 크레인은 업무상 사고기인물로 보았을 때 동력크레인 중 보유대수 대비에서는 0.6%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기인물에서 부상자 대비 사망자 비율도 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이동식 크레인을 연구과제로 선정하였다. 사망사고에서 불안전 행동이나 상해에 대한 내용은 인간 공학적 내용으로 안전보건 규칙에 구체적인 내용이 없었기에 이 연구에서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사망재해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하여 재해예방 방안으로 실용적인 예방대책과 기준의 개정안 등을 제시 하였다. 첫째로, 이동식 크레인은 업무상 사고 사망만인율은 2011년을 기준하여 0.57이였다. 이는 동력 기계기구중에서 재해율이 높은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동식 크레인에 대한 심층 재해분석을 하여 보면, 주요 내용으로는 이동식 크레인의 전복, 이동식 크레인 붐과 로프 사이의 연결부재 파단, 로프의 파단 및 운전자와 주변 작업자 간의 신호소통상에 의한 사고가 주요 요인이었다. 셋째, 이동식 크레인의 심층 분석에서 이동식 크레인의 자체가 전복되는 현상이 있었으며 주요 대안으로 과경사 방지장치 등을 제안하였다. 넷째, 사고 원인 분류에서 불안전 상태에 대해서는 물적인 설비의 기계 수명 내에서 설계, 제조설치, 기계사용, 정비로 구분되었고, 이 중에서 기계사용 시에 대부분 재해가 발생되었다. 이는 사용상에서의 기계와 인간 접점의 절차나 사용지침이 절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고원인 분류에서 불안전 행동에 대하여는 인간 공학적 차원으로 인지 오류에 대하여 살펴보면 지식의 입력, 사고판단, 행동의 단계상에서 재해는 주요 사고판단에서 주로 발생되었다. 사고판단 과정 중에서 지식기반, 규칙기반, 숙련기반의 오류로는 숙련기반의 오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재해 분석에서 인간공학적 숙련기반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인간공학적인 휴먼에러 방지차원에서 위험에 대한 가시성과 양립성의 조치로 안전을 확보토록 하며, 기계의 사용지침을 재 숙지시키고 오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과 오용시의 재해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5. 활용계획 1) 전국의 이동식 크레인 사용 사업장에 적용가능하고, 굴삭기와 문제점이 유사하여 대안은 굴삭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우리의 실정에 맞는 근원적 재해예방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재해예방효과 제고에 기여하고자 함. 2)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으로 현실적인 재해예방 기준을 적용하여 재해예방에 효과 거양. 6. 중심어 이동식 크레인, 과경사 방지장치, 휴먼에러, 가시성, 양립성, 일관성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1) 참고문헌 (1) 조명우, 김왕배, 이용갑. 주요 외국의 업종별 사망재해 조사 연구. 산업안전 보건연구원;2013.(11-203쪽) (2) 김종혁, 김의수. 차량크레인 전도 사고의 구조 안정성 평가에 관한 법공학적 연구.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Safety 2013;28(3):11-17 (3) 백종배, 임동욱, 홍인기. 기업 내 산재예방사업 활성화를 위한 유인전략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2008.(6-132쪽) (4) 박재희, 박태주, 임현교, 서은홍. 인간-기계 시스템 모델에 의한 크레인 사망재해 분석. Journal of the KOSOS 2007;22(2):8-12 (5) 기도형, 김원기. 크레인 사망 재해 실태와 안전 대책. Journal of the KOSOS 2005;20(1):36-47 (6) 박재희. 천장크레인 끼임사고 방지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4.(9-13쪽) (7) 산업재해 현장분석. 고용노동부;2003~2013 (8) H.W.heinrich.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afety management Approach. fifth edition, MCGRAW-HILL book company; 1978. p. 452-728 2) 연락처(연구담당자) : 안전연구실 신운철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