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소변 시료 보정 지표 유효성 평가

연구책임자
이상길, 이미영, 최윤정, 최보화
수 행 연 도
2015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소변 시료 보정 지표 유효성 평가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생물학적 노출 평가를 위한 소변 시료는 생물학적 노출지표별로 계절이나 개인 차에 따른 소변 배설량의 차이를 크레아티닌이나 요비중으로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에 반영되어 있는 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의 생물학적 노출평가 지표인 소변 2,5-헥산디온, 삼염화초산, 수은의 결과값 보정 방법이 미국 ACGIIH 등 외국 기준과 달라서 2014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수행한 1차 연구에서 이를 변경할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항목의 사업장 현장 노출 평가 사례를 조사하여 노출 기준 변경 필요성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특수건강진단 및 작업환경 측정 통계 자료 중 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의 2014년까지의 통계 자료를 취합하여 노출 현황을 검토하였다. 크레아티닌 통계 자료는 국립환경과학원 2009-2011년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자료를 제공받아 검토하였다. 헥산 취급 5개 사업장에서 108명, 삼염화에틸렌 취급 8개 사업장에서 114명, 수은 취급 6개 사업장에서 42명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작업환경 노출 현장 평가와 생물학적 노출 현장 평가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소변 중 2,5-헥산디온, 삼염화초산, 수은 분석값을 크레아티닌과 비중으로 각각 보정한 값과 보정하지 않은 값으로 산출된 생물학적 노출평가 결과와 작업환경 노출 평가결과 결과와의 상관성을 비교하여 소변 보정 방법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건강진단의 1차 검사 항목 중 수은, 헥산, 삼염화에틸렌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실효성에 대한 현장 노출 평가 및 근로자건강진단자료 등 실측 자료를 분석하였다. 소변 중 수은은 크레아티닌으로 보정한 경우에 공기 중 수은과의 상관계수가 0.655로, 분석값을 별도로 보정하지 않은 경우의 상관계수 0.562보다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기 중 헥산과 소변 중 2,5-헥산디온의 상관성은 보정여부에 관계없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소변 중 삼염화초산은 공기 중 삼염화에틸렌과의 상관계수가 보정을 하지않은 경우, 크레아티닌으로 보정한 경우, 비중으로 보정한 경우의 상관계수가 각각 0.652, 0.648, 0.634로, 보정을 하지 않은 경우가 공기 중 삼염화에틸렌과의 상관관계의 크기가 가장 컸다. 전반적으로 음주, 흡연, 유기수은 오염식품 섭취등 생활습관의 영향은 공기 중 노출수준과 생물학적 노출지표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문헌 고찰 결과 수은은 선진외국 및 선행 연구 사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크레아티닌 보정을 실시하도록 노출 기준을 변경하고 노출 기준 역시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헥산 취급 사업장 근로자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평가 결과는 크레아티닌으로 보정한 생체시료의 2,5-헥산디온이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공기 중 헥산과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는 선행 사업장 조사 결과들과 유사하였다. 삼염화에틸렌의 현장 노출 평가 결과는 소변시료를 보정하지 않은 경우와 크레아티닌 보정, 비중 보정 결과가 모두 작업환경 측정 결과와 양호한 상관성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보정하지 않은 경우의 상관계수가 보다 높아서 선행 연구들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크레아티닌 보정이 불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 노출평가 관련 기준 개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근로자건강진단기관에게 구체적인 분석방침을 알리는 근거로 활용한다. 헥산, 삼염화에틸렌, 수은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이 공기 중 노출수준과 동시에 측정될 경우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실측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유사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6. 중심어 수은, 헥산, 삼염화에틸렌, 크레아티닌 보정, 비중 보정, 소변 중 수은, 소변 중 2,5-헥산디온, 소변 중 삼염화초산, 생물학적 노출평가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1. 이미영, 최윤정, 생물학적 노출평가를 위한 소변시료의 보정 지표 개선. 연구 원보고서(2014-연구원-1126), 2014 2. HSL. Biological monitoring guideance values ; guidance sheet for methods for mercury in urine BMGV 20 umol/mol creatinine. UK 2015 3. Mason HJ, Calder IM. The correction of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s in untimed, random samples(, Occup Environ Med. 1994 Apr;51(4):287. 4. Nuttall KL. Interpreting mercury in blood and urine of individual patients. Ann Clin Lab Sci. 2004 Summer;34(3):235-50. - 연락처 ▶ 연구책임자: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이상길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