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특수건강진단 정도관리 항목 개발 - 소변 중 비소

연구책임자
이미영, 이혜지
수 행 연 도
2015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특수건강진단 정도관리 항목 개발 - 소변 중 비소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특수건강진단기관 분석정도관리는 1995년 혈액 중 납과 소변 중 마뇨산 등 2항목으로 시작하였고 2015년 현재 유기 분석 10 항목, 무기 분석 5 항목으로 총 15 항목을 분석정도관리 항목으로 운영하고 있다. 2005년 소변 중 2,5-헥산디온을 정도관리 항목으로 추가한 이래 국내 생물학적 노출 평가에 필요한 분석 항목이 추가로 개발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생물학적 노출 평가 수행 항목 추가가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여 분석정도관리 활용을 위한 표준 시료를 개발하고, 이를 분석정도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3. 연구 내용 및 방법 특수건강진단 항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29 종의 유해물질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 평가 지표 33 항목 중 표준 시료 개발이 필요한 항목의 수요를 조사하고 선정한 항목에 대해 2014년 특수건강진단 통계 자료로부터 개발 대상 항목의 실용성을 조사하였다. 분석 방법의 검증을 선정한 항목의 표준시료를 국내 노출 기준의 1/2, 1, 2 배 수준의 3 가지 농도로 조제한 후 각 시료의 균질성을 조사하였다. 시료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시료를 24 ℃, 4 ℃, -20 ℃, -80 ℃로 보관하고 조제 후 1 주일, 1 개월, 3 개월이 지난 시료를 분석하였다. 4. 연구결과 정도관리 항목 개발과 특수건강진단 실무 활용성을 고려하여 특수건강진단 생물학적 노출 평가 2차 항목인 소변 중 비소를 본 연구의 표준시료 개발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소변 중 총 비소를 원자흡광광도기로 분석하였고 비소 표준 시료의 균질성을 조사한 결과, 3 가지 농도 시료를 모두 균질하게 조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시료를 제조한 후 경과한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조제한 표준시료는 모두 3 개월까지 농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소변 중 비소 표준 시료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1) 활용방안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특수건강진단기관 정도관리 항목에 소변 중 비소를 추가하여 정도관리 사업에 연구 결과를 직접적으로 활용한다. 2) 기대성과 본 연구 결과를 실용화하여 정도관리 사업화에 활용함으로써 비소 노출 근로자의 생물학적 노출 평가의 신뢰도 향상 및 이를 통한 근로자의 건강 보호에 기여한다. 6. 중심어 특수건강진단 분석정도관리, 소변 중 비소, 표준 시료, 균질성, 안정성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1) 한국산업안전공단.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 한국산업안전공단; 2014. (2)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emtal Industrial Hygienists(ACGIH). Arsenic, Documentation of the TLVs and BEIs, 7th ed. Cincinnati; 2013 (3) Biological Monitoring of Chemical Exposure in the Workplace. Vol 1. Geneva:World Health Organization. 1996. (4) Mat H HO, H Kenneth Dillon: Biological Monitoring of exposure to Chemicals, New York,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55-168, 1987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