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근로자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연구책임자
강도형 외 3명
수 행 연 도
2016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근로자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근로자 치료를 위한 심신 이완 기법 및 프로토콜 개발 ○ 개발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중재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및 효과검증 3. 연구 내용 및 방법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중재 프로그램 개발 · 1단계: 상상훈련기반 · 2단계: 초기 트라우마 및 최근의 빅 트라우마를 정화 · 3단계: 긍정적 신념 수립을 통한 자아회복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중재 프로그램 효과 검증 · 참여자 모집: 만 20~65세 이하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근로자를 대 상으로 하여 참가 희망자 모집, 프로그램 소개 · 실험 전 사전 검사 실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평가, 우울, 불안, 외 상 관련 죄책감, 자살 가능성, 아동기 경험, 스트레스 사건, 사회적 지지, 외상후 성장, 상태 분노 평가 (총 10가지 검사) · 중재 프로그램 실시: 인터넷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하루 15분, 주 5회, 4주간으로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 실시 · 4주 후 사후 검사 실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평가, 우울, 불안, 자살가능성, 사회적 지지, 외상후 성장, 상태 분노 평가 (사후검사 효과검증에 필요한 7가지 검사만 실시) · 자료 분석: 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 4주 후의 신체적, 심리적, 행동적 효과를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해 비교 검증 4. 연구결과 ○ 한 회기 15분 분량의 음성메세지와 배경음악이 삽입된 총 8회차의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함. ○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는 아래와 같음. · 중재 프로그램 시행 결과, 우울, 불안,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상태 분노가 감소되었음. · 자살 가능성, 사회적 지지, 외상후 성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 아동기 외상 경험을 한 환자군의 경우 외상 경험이 없는 환자군에 비해 불안과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하위 증상인 회피, 과각성 증상의 감소 효과가 유의하게 컸음. · 따라서, 4주간 중재 프로그램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그에 따른 불안, 우울, 분노의 심리적 측면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반면, 자살, 사회적 지지, 외상후 성장과 같은 인지적 측면은 단기간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 또한,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있는 환자군의 경우 해당 중재 프로그램을 통한 증상 완화 효과가 보다 큰 것으로 보임.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현재까지 개발된 치료법의 한계 보완을 통해 근로자의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함. ○ 심신이완을 기반으로 한 mp3 프로그램으로 많은 사업장에 폭넓은 활용이 가능함. ○ 외상에 노출된 이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행되기 이전에 본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질병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고, 사회경제적 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음. 6. 중심어 산업 재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중재 프로그램, 마음-몸 훈련, 심상 훈련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Arntz A, Tiesema M, Kindt M. Treatment of PTSD: A comparison of imaginal exposure with and without imagery rescripting. J Behav Ther Exp Psychiatry 2007;38(4):345-370 Ganis G, Thompson WL, Kosslyn SM. Brain areas underlying visual mental imagery and visual perception: an fMRI study. Brain Res Cogn Brain Res 2004;20(2):226-241 연구책임자 :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도형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