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건설업 직종별 화학물질 노출 매트릭스 구축연구(III)-견출공

연구책임자
박현희외 3명
수 행 연 도
2016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제목 건설업 직종별 화학물질 노출 매트릭스 구축 연구 (Ⅲ) - 콘크리트 견출작업 노출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2. 연구목적 및 필요성 ○ 건설현장(공사금액 800억 원 이상 (토목공사는 1,000억 원))에 보건관리자 선임을 의무화 하도록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어 보건관리를 체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으나, 작업환경개선에 필요한 노출평가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 임. ○ 건설업에서 노출되는 다양한 유해인자 중 산화규소(결정체)는 폐암, 규폐증, 신장질환, 폐기능 감소 등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제암연구소에서는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음. ○ 이번 연구는 건설현장 도장공(2014년), 용접공(2015년) 연구에 이어 산화규소(결정체)에 대표적으로 노출되는 견출공(콘크리트 마감공)을 대상으로 노출현황 및 세부 직종별 산화규소(결정체) 노출농도 수준을 평가하여 건설업 보건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3. 연구내용 및 방법 (1) 문헌고찰 ○ 국내?외 건설현장에서 산화규소(결정체) 노출평가 결과를 보고한 문헌(학위논문, 학술논문 및 연구보고서 등) 조사 및 분석 ○ 건설업 산화규소(결정체)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결과 분석 (2010 ~ 2014) (2) 사업장 실태조사 ○ 건설현장 견출 작업자의 산화규소(결정체) 노출수준 파악을 위한 현장조사 - [대상사업장] 아파트 등 일반건축물 8개소 ○ 직종, 작업공간 특성 등에 따른 호흡성 분진, 산화규소(결정체) 노출농도평가 - [견출직종] 할석공, 콘크리트 그라인딩공, 미장공 - [작업공간] 외벽, 세대 내부, 계단실, 지하주차장 등 (3) 자료의 통계적 분석 ○ 건설현장 견출작업의 작업종류 및 작업공간별 평균농도 비교 ○ 견출작업 발생분진에 대한 입경분포 특성 분석 ○ 개인반복측정 자료에 대한 작업자 내 농도 변이 특성 ○ 산화규소(결정체) 농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 변수 파악 4. 연구결과 ○ 건설현장 견출작업 직종별 산화규소(결정체)의 기하평균 농도를 살펴보면, 콘크리트 그라인딩공(2.058 mg/㎥) > 할석공 (0.123 mg/㎥) > 미장공(0.003mg/㎥)의 순으로 높았음. 산화규소(결정체)의 국내 노출기준 0.05 mg/㎥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농도에 노출되고 있음. ○ 건설현장 견출작업 직종별 호흡성 분진의 기하평균 농도를 살펴보면, 콘크리트 그라인딩공 (49.956 mg/㎥) > 할석공 (1.780 mg/㎥) > 미장공 (0.32mg/㎥) 순으로 높았음. ○ 콘크리트 그라인딩공의 작업 장소별 산화규소(결정체) 기하평균 농도를 살펴보면, 계단실(4.177 mg/㎥) > 세대 안 (2.761 mg/㎥) > 지하주차장(1.302 mg/㎥) > 외벽 (0.893 mg/㎥) 의 순으로 높았음. ○ 할석작업 및 미장작업은 작업 장소별 산화규소(결정체) 농도 및 호흡성 분진농도가 작업 장소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음. ○ 건설현장 콘크리트 할석 및 그라인딩 작업에서 호흡성 분진과 산화규소(결정체)간 상관관계는 각 0.970(p<0.01), 0.793(p<0.01)으로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음. ○ 건설현장 콘크리트 할석 및 그라인딩 작업에서 총 분진(3단 카세트) 농도에 대한 호흡성 분진(알루미늄 사이클론)의 농도 함량은 할석작업 24.2%, 그라인딩 작업 21.2%였으며, 산화규소(결정체) 농도로 살펴보면 할석작업33.4%, 그라인딩 작업 31.0% 수준이었음. ○ 입자분리포집기(Cascade Impactor)를 사용하여 발생분진의 입경별 분포를 살펴보면 할석작업에서는 흡입성(inhalable), 흉곽성(thoracic), 호흡성(respirable) 분진의 중량비율이 각 68.6%, 25.9%, 9.3%로 나타났고, 콘크리트 그라인딩 작업에서는 각 69.7%, 29.1%, 10.5%로 나타났음. 산화규소(결정체)농도로는 할석작업에서 각 73.9%, 40.2%, 17.9%, 콘크리트 그라인딩 작업 각 76.0%, 46.3%, 19.7% 이었음. ○ 작업별 발생분진의 질량 중위 입경은 할석작업 10.958 ㎛ ~ 12.206 ㎛, 그라인딩 작업 10.462㎛ ~ 11.476 ㎛ 수준이었음. ○ 입자분리포집기 각 단에서의 분진 중 산화규소(결정체) 함유율은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산화규소(결정체)의 함유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6단(1.55 ~ 3.5 ㎛)에서 할석 약 7.5 %, 그라인딩 약 5.5%였고, 8단(0.52 ~ 0.93 ㎛)에서 약 6%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음. ○ 작업자 내 변이수준을 자료의 기하표준편차(GSD)로 살펴보면, 할석작업이(GSD 3.29)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견출작업(GSD 2.45), 미장작업(GSD 1.94)순이었음. 견출직종, 작업공간 특성(체적, 환기율 등), 거푸집 종류(알루미늄폼, 유로폼 등), 그라인더 크기, 작업시간 등이 농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 ○ 건설현장 견출작업자들의 산화규소(결정체)노출을 저감하기 위해 환기캡을 적용한 국소배기장치의 사용, 습식작업 등의 작업환경개선이 시급하며, 호흡보호구의 철저한 지급.착용 및 밀착도 검사, 주기적인 건강검진 모니터링이 필요함. 5. 활용 및 기대효과 ○ 건설현장 보건관리자가 작업환경관리 및 개선에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개발 등에 활용하고, 과거 노출 농도를 추정하여 직업병 발생의 연관관계 규명 등에 활용하고자 함. ○ 본 연구를 통해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직업병 예방 및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함. 6. 중심어 건설업 보건관리, 견출공, 할석공, 미장공, 콘크리트 분진, 산화규소(결정체), 호흡성 분진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 NIOSH hazards review: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Cicinnati, O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DC, NIOSH publication No.2002-129 ○ NIOSH Survey report; In-depth survey report of four sites: exposure to silica from hand tools in construction chipping, grinding, and hand demolition. Cicinnati, O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DC, No. EPHB 247-15 ○ Rappaport SM1, Goldberg M, Susi P, Herrick RF. Excessive Exposure to Silica in the US Construction Industry. Ann Occup Hyg. 2003 Mar;47(2):111-22. 연락처 주소: (44429)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박현희 연구위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