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작업자세 및 작업환경에 따른 미끄러짐 위험성 연구(음식업 중심)

연구책임자
박재석
수 행 연 도
2016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작업자세 및 작업환경에 따른 미끄러짐 위험성 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넘어짐재해를 세분류 발생형태별로 분류해 보면 최근 3년간 발생비율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지만 바닥에서 미끄러져 넘어짐 사고가 매년 약 30∼40%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118종의 모든 산업재해의 발생형태별 세분류 가운데 단일 유형에서 가장 많은 재해가 발생하였다. 2) 한편으로 바닥에서 미끄러져 넘어짐재해를 소분류 업종별로 분류해 보면 음식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건물 등의 종합관리사업, 보건 및 사회복지 사업 등 서비스업 분야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닥에서 미끄러져 넘어짐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음식업종의 업종 특성에 맞는 재해 예방을 위하여 작업자세 및 작업환경에 따른 위험성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3.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 음식 작업환경 및 작업자세의 특성 분석 - 작업환경, 작업자세 등에 따른 미끄러져 넘어짐 위험성 분석 2) 연구 방법 - 음식업 작업환경 및 작업자세 특성분석을 위한 현장 실태조사 - 작업환경, 작업자세에 따른 요구마찰계수 분석 및 미끄러져 넘어질 확률 모델 제시 4. 연구결과 1) 음식업종의 전체 공정에 대해 약 30%가 미끄러짐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정별로는 전처리 공정이 가장 위험성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조리, 청소, 후처리, 배식·퇴식, 입고 순으로 미끄러짐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처리 과정에서 재료의 세척작업에 따른 젖은바닥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입고 공정이나 청소 공정에서는 다른 공정에 비해 밀기·당기기, 경사로 보행 등 상대적으로 작업을 위한 행동특성이 주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3) 유효마찰계수가 낮을수록 미끄러짐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요구마찰계수와 유효마찰계수의 차이가 +0.1일 경우 미끄러질 확률은 99.6%로 나타났으며 -0.1일 경우 0.4%로 나타났다. 4) 물이 스테인리스 판에 도포되었을 경우 일반보행에서는 미끄러져 넘어질 확률이 0.1%에 불과하나 세제수용액이 도포되었을 경우 97.3%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사로 내려가기 5°에서 물에 젖었을 경우 넘어질 확률이 74.7%로 나타났다. 또한 세제수용액이 도포되었을 경우 일반보행 외에는 모든 동작에서 넘어질 확률이 100%인 것으로 나타났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음식업종 미끄러짐 사고 예방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 활용 6. 중심어 음식업, 미끄러짐 재해, 작업자세, 작업환경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1) Cutlip R, Hsiao H, Garcia R, et al. A comparison of different postures for scaffold end-frame disassembly. Appl Ergon. 2000;31(5):507-513. 2) Lee J, Nussbaum MA, Kyung G. Effects of work experience on work methods during dynamic pushing and pulling. Int J Ind Ergon. 2014;44(5):647-653. 3) Zhang YZ, Jia LX, Niu YP, Du SM. Stepping behaviors based on tribological and dynamical investigations. Wear. 2013;306(1):219-225. 4) Fino P, Lockhart TE. Required coefficient of friction during turning at self-selected slow, normal, and fast walking speeds. J Biomech.2014;47(6):1395-1400. 5) 박재석. 미끄러짐 사고 위험성 평가 기준 개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2. 연구책임자 : 안전연구실 박재석 연구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