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랫드를 이용한 Ethyl formate 흡입독성 연구

연구책임자
김종규 외 2명
수 행 연 도
2016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 제목 랫드를 이용한 Ethyl formate 흡입독성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포름산 에틸(ethyl formate, Cas No. 109-94-4)은 2015년 화학물질의 유해성시험 평가 운영위원회에서 선정된 물질로서 질산 셀로로즈, 유류, 그리스류의 용제, 합성 레모네이드 향미료, 훈증제, 진균 살균제, 담배, 곡물, 마른 과일의 살충제, 유기합성 등 다양하게 사용되는 물질이다. ○ 선행연구에서 8,000 ppm농도로 4시간 노출 시 6마리 중 5마리의 rat이 사망하였으며, 4,000 ppm농도 4시간 노출 시 사망 동물(rat)은 없었다. 그리고 눈 및 코점막을 자극하는 물질이며 중추신경 억제에 따른 마취작용 물질이다. ○ 본 물질은 노출기준설정물질이나,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자료가 없는 실태이다. ○ 따라서 랫드를 이용한 포름산 에틸의 90일 반복노출에 따른 흡입독성을 연구하여 독성이 강한 경우 작업환경측정물질 등 관리물질로 제안하여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및 범위 ○ Ethyl formate 흡입독성 선행연구 조사 ○ 시험물질 발생 방법 및 조건 파악 ○ 13주 반복흡입독성시험의 양-반응관계에서 무유해영향농도(NOAEL) 연구 ○ 흡입독성에 의한 폐 상피세포 손상여부 및 폐 세포독성, 폐 염증반응파악 ○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Ethyl formate의 유해성 분류 ○ 시험결과 유해성이 높은 경우 Ethyl formate 제조 사용 사업장, 노출근로자, 노출공정, 노출수준을 고려하여 작업환경측정물질 등 관리물질로의 편입에 대한 연구 제안 (2) 연구방법 ○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조사 ○ 시험물질 발생 방법 및 조건 구축 ○ 13주 반복흡입독성 시험 농도결정 ○ 시험동물에 대한 임상관찰 ○ 혈액생화학검사, 조직병리검사 4. 연구결과 ○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노출농도를 대조군, 저농도(66 ppm), 중농도(330ppm), 고농도(1320 ppm) 4개군으로 하였다. ○ 노출기간 중 흡입챔버내 온도, 상대습도, 압력, 챔버내 환기횟수, 산소농도등 흡입챔버내 환경은 관리기준을 충족되었으며, 시험물질 평균농도는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의 목표농도의 ±10% 이내로 발생되었다. ○ 노출 기간 중 일반증상을 관찰한 결과 사망한 동물은 없었으나, 6시간노출 중 활동성이 감소됨이 관찰되었다. ○ 체중을 측정한 결과 시험물질 노출 농도에 따른 체중의 농도 의존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노출 후 7일째부터 고농도군의 암/수 동물의 체중이 대조군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사료섭취량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 Ethyl formate는 자극물질로서 눈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안검사 결과 고농도군에서 특이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 혈액학적 검사 결과 수컷의 경우, 고농도군 혈색소농도(Hemoglobin concentration, HGB), 적혈구용적(Hematocrit, HCT)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암컷의 경우 고농도군 망상적혈구수%(Retic, Recticulocyte count)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 혈액생화학적 검사결과 수컷은 고농도군의 Ca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암컷의 경우 고농도군의 TG(Triglyceride)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부검결과 14마리동물에서 피하조직, 간, 비장에서 소견이 발견되었으나 농도의존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 절대중량, 상대중량에서 암수 모두 공통적으로 대조군과 비교 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장기는 부신(adrenal glands)이었다. ○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에서는 암수 고농도군 및 암컷 중용량군에서 비강내 후각상피 (olfactory epithelium)의 변성 (degeneration) 및 편평상피 화생 (squamous metaplasia)이 관찰되어 ethyl formate의 상부호흡기계에 대한 자극성 변화로 판단되었다. ○ 따라서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고용노동부, 2016)에서 반복노출에 의한 특정표적장기 독성 범위로 구분2(≤ 1.0 ㎎/ℓ/6h)에 해당하며, ppm으로 환산할 경우 ≤ 330 ppm/6h로 평가되었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Ethyl formate 흡입독성의 유해성평가 자료 생산 ○ Ethyl formate 취급근로자에 대한 건강 유해성평가 자료제공 ○ 국내외 관련 학술지 게재 및 국내외 관련학회 발표 6. 중 심 어 ethyl formate, 흡입독성, 먹이섭취량감소, 체중증체량감소 7. 연락처 ▶ 연구책임자:화학물질독성연구실 김종규 연구위원 ▶ 연구원 담당자: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독성연구실 김종규 연구위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