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전자산업 생산설비의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 특성

연구책임자
김갑배 외 3명
수 행 연 도
2016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전자산업 생산설비의 극저주파자기장 노출특성 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국내 전자산업 중 가장 큰 규모인 LCD 제조공정에서는 다양한 세부공정을 통해 LCD 패널을 가공되고 있으며, 각종 설비로부터 극저주파자기장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LCD 제조공정에서 발생 가능한 극저주파 자기장 등 전자파 노출수준 평가하여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작업환경 관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국내 LCD 제조사업장 2개소의 LCD 가공라인 4개 및 모듈라인 2개를 대상으로 극저주파자기장 등 전자파 노출수준을 파악하여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LCD 제조공정에서 극저주파자기장이 발생하는 각종 생산설비 및 고용량 전기설비에 대한 극저주파자기장 측정을 통해 노출실태 조사를 하고,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직무 노출 매트릭스 작성을 통하여 작업환경관리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극저주파전자장 측정은 개인노출 평가 및 지역노출 평가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근로자의 작업시간 동안 개인노출 측정을 위하여 EMDEX Lite(미국, ENERTECH)를 사용하였고, 지역노출 측정을 위하여 3축 등방성 프로브가 부착된 ELT-400(독일, NARDA)을 사용하였다. 4. 연구결과 극저주파자기장 노출수준 개인노출 평가 결과 Fab라인의 개인 평균 노출수준은 0.51 ± 0.45 μT이고, 모듈라인의 개인 노출수준의 평균은 0.56 ± 0.27μT로 모듈라인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개인 노출수준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Ceiling값 기준으로는 Fab라인 종사근로자의 노출수준의 범위가 0.03 ∼ 43.50 μT로, 모듈라인 종사근로자의 노출수준의 범위인 0.68 ∼ 10.50 μT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별로 개인 평균 노출수준은 Fab라인에서 0.57 ± 0.50 μT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모듈라인에서 0.56 ± 0.27 μT, CF라인에서 0.53 ± 0.67μT, LC공정에서 0.46 ± 0.28 μT로 나타났다. Ceiling값으로는 Fab라인에서 1.50 ∼ 43.50 μT로 최대값이 나타났으며, LC라인에서 0.03 ∼ 29.50 μT, CF라인에서 1.04 ∼ 16.50 μT, 모듈라인에서 0.68 ∼ 10.50 μT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별로 개인 노출수준의 평균은 엔지니어가 0.52 ± 0.50 μT로 평균 노출 수준이 0.49 ± 0.21 μT인 오퍼레이터 보다 높았다. Ceiling값 역시 엔지니어의 노출수준이 0.03 ∼ 43.50 μT로 오퍼레이터의 노출 수준인 1.04 ∼ 10.50μT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노출평가 결과 공정별로는 Fab라인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43.50 μT에 노출되는 근로자가 있었으며, 이 근로자의 직무는 Sputter PM 엔지니어였다. 지역노출량은 Ceiling값 기준으로 A-1라인에서 0.08 ∼ 96.48 μT, A-2라인에서 0.07 ∼ 124.8 μT, A사 모듈라인에서 0.21 ∼ 198.7 μT, B-1라인에서 0.06 ∼ 287.2 μT, B-2라인에서 0.06 ∼ 186.7 μT의 극저주파자기장이 발생하였고, B사 모듈라인에서는 0.19 ∼ 42.07 μT 수준의 극저주파자기장이 발생하였다. ACGIH 노출기준인 1 mT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 었으나 최대 287.2 μT의 극저주파자기장이 발생하였다. 지역노출량 평가 결과 다른 장비에 비해 높은 수준의 극저주파자기장을 발생하는 장비는 배전함, 전원 공급장치, 파워케이블, 펌프, 솔레노이드밸브, 천정 레일 등이었다. 모든 장비에서 노출기준 이하의 극저주파자기장이 발생하였지만 타 장비에 비해 비교적 높은 노출수준이 나타난 일부 장비에 대하여 거리를 달리하여 극저주파자기장을 측정함으로서, 설비로부터 거리가 증가하면 극저주파자기장의 노출수준이 현저히 감소하는 거리감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극저주파자기장으로부터 근로자 노출수준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장비와 작업위치 간의 거리를 충분히 떨어뜨려 작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자파발생장비를 차폐하거나, 전자파발생장비를 설치 할 때는 작업자와의 거리를 최대한 이격시켜야 한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LCD 제조공정의 전자파 노출특성에 관한 정보는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자 및 산업보건 관계자 등이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교육 및 작업환경관리에 활용할 수 있고, LCD 사업장 전자파 유해요인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6. 중심어 : TFT-LCD(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 유해요인, 극저주파자기장, 전자파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1) 참고문헌 (1) 김윤명, 백정기, 하미나, 사업장 근로자의 전자파 노출실태 조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2002. (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반도체 제조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작업환경 및 유해요인 노출특성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 (3) 장성기, 조용성, 이석조, 유승화, 정경미 등, 국내전철 및 가전제품을 대상으로 한 저자장 수준 실태조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제15권 제1호, 2005. (4)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Threshold limit values (TLVs) for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 biological exposure indices (BEIs). ACGIH, Cincinnati (OH); 2014. (5) Joseph D. B. Manual for Measuring Occupational Electric and Magnetic Field Exposures. NIOSH. 1998 (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Associated with the Use of Electric Power. NIEHS. 2002 2) 연락처 (1) 연구책임자 : 직업환경연구실 김갑배 연구위원연구위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