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직무별 유해위험요인 표준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권순찬 외 4명
수 행 연 도
2017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최근의 고용환경 및 건강위험요소가 변화됨에 따라,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현장의 유해위험요인의 특성이 복잡하고 다중 작용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근로자의 건강 영향을 평가하고 장기적인 대책을 수립하는데 한계로 작용한다. 이에 직종 별로 모든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유사 유해위험 노출 직무를 유사그룹으로 분류하여 직무별 유해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이 필요하다. 보건 분야의 유해성·위험성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표준화도 어려워 이에 보건 분야의 유해위험요인(hazards)을 직무에 따라 특성화하고 유사한 직무의 종합적인 관리를 위한 기본 틀을 제공해야 한다.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 국내 직무분류체계인 한국표준직업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 한국고용직업분류, 국가암등록산업 직업분류 등을 고찰하였으며 외국의 직업위해 자료를 검토하였다. 유해위험요인의 목록과 위험성 평가방법을 고찰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사전을 통해 직무별 유해위험요인과 직업의 특성을 추출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직무별 유해위험요인 노출 빈도를 근로환경조사 3차와 4차 자료로 검토해 보았으며 주요 직업별 노출 수준을 확인하였다. 7개 업종의 사업장을 방문하여 직무별 유해위험요인 체크리스트 사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고 3개 사업장 보건관리 담당자와 초점집단면접을 시행하였다. 1개 사업장에서 직무별 유해위험요인 위험도 평가를 시행하여 모델 방향을 확인하였다. - 시사점 : 직무별 유해위험요인을 외국의 사례와 우리나라 데이터를 통해 검토해 보았는데 대체로 일치하였고 사업장에 적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연구 활용방안 - 사업장 위험성 평가 때 보건 분야의 위험성 평가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영역의 건강위험을 평가하여 미래 건강영향을 예측하고 예방할 때 활용 가능하다.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과 조교수 권순찬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부장 마용석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