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물질안전보건자료 최신화 관리(2017년)

연구책임자
배희경 외 12명
수 행 연 도
2017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현재 우리나라는 산업별 화학물질에 대한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직·간접적 사고 발생률과 재해 및 사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대책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MSDS는 화학물질 취급 종사자들에게 유해·위험성 등에 대한 근로자의 알 권리(Workers’Right to Know)를 확보하고 화학물질로 인한 산업재해 및 직업병을 예방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하지만, 기존 MSDS의 유해·위험성 정보는 단순 정보 전달로 인해 근로자들의 건강장해 예방책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MSDS의 자료구축 시점이 오래되어 화학물질의 사고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전반적인 최신화 작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과업의 목적은 고용노동부의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및 고용노동부고시(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의 개정에 따라 공단에서 MSDS DB로 보유하고 있는 화학물질을 개정된 고시에 적합한 형태로 유해?위험성을 분류하고, 정보내용을 최신화하여 안전보건 관련업무 종사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DB화하는 것이다.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19호, 6차 UN GHS 지침서 및 GHS 화학물질 유해·위험성 분류 및 MSDS 작성 매뉴얼을 토대로 최신화 대상 화학물질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100%의 분류율로 물리적 위험성은 714종, 건강 유해성은 2,121종, 환경 유해성은 1,235종의 물질에 대해 분류를 변경하였으며, 분류한 결과를 엑셀 형태로 DB화하여 교차검토 및 외부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GHS 분류의 결과와 국내·외 기관에서 고시한 분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환경부의 경우 29종, 행정안전부의 경우 482종 되었다. 국내 기관의 물리적 위험성 조화율은 79.3~100%, 건강 유해성은 41.4~100%, 환경 유해성은 62.1~100%의 조화율을 나타냈다. 국외 EU, 일본의 분류결과를 비교한 결과, EU의 경우 163종, 일본의 경우 230종이 확인되었다. 국외 기관의 물리적 위험성 조화율은 91.3~100%, 건강 유해성은 57.7~100%, 환경 유해성은 62.6~100%의 조화율을 나타냈다. 개인보호구 정보가 누락되거나 세부정보가 필요한 물질의 경우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등의 법적 규제 정보를 통해 15종 및 물질의 성상에 따라 호흡 보호구 착용 정보가 제시된 747종에 대해 개인보호구를 지정하였으며, 폐기물 정보는 공단연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정폐기물을 폐기방법에 따라 총 28가지로 세분화하였고 법적 규제, 물질의 성상에 따라 150종에 대해 지정폐기물로 분류하였다. UN번호는 UN DG List, 국내 기관에서 부여한 UN 번호와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1,400종에 대해 UN번호를 구축하였다. UN번호가 없는 물질에 대해 UN RTDG의 로직에 따라 지정 후 한 국해사위험물검사원의 감수를 통해 532종의 UN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법적 규제사항은 국내·외 기관의 최신 규제현황으로 업데이트를 하였다. - 시 사 점 최신화하여 제공된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DB는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에 따라 대상화학물질에 대한 MSDS?경고표지 작성을 지원하고, 근로자에게 유해·위험화학물질에 대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화학물질로 인한 산업재해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3. 연구 활용방안 - 제 언 최신화 과정을 통하여 일부 물질에 대해 국내·외 규제정보 업데이트를 진행하여 상당수 물질에 대해 변경 및 신규로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체 MSDS에 대해 국내·외 최신 규제현황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 활 용 개정된 고시에 따라 MSDS 분류표시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업장 및 안전보건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최신의 화학물질 분류·표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티오이십일 배희경 소장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정보연구부 이권섭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