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병리조직검사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실험동물의 배경병변 연구

연구책임자
이미주 외 3명
수 행 연 도
2017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독성시험에서 사용하는 대조군의 동물 수는 명확한 평가를 내리기에 불충분하다. 대조군과 비교 시, 미묘한 변화가 관찰될 때나 예측하지 못했던 병변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독성시험의 결과해석의 오류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2주간 사육한 F344 랫드 및 B6C3F1마우스의 배경데이터를 수집하여 향후 수행될 독성시험 결과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1) 본 실험에 사용된 동물의 사육시설은 온도 23±3℃, 상대습도 50±20%, 환기회수 10~20회/시간, 명암주기 조명 12시간 (08:00~20:00), 조도 150~300 Lux로 유지하였다. 2) F344 rat 및 B6C3F1 마우스를 52주 동안 사육하여 혈액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장기중량, 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년 시험에 대한 배경 데이터로 확보하였다. 3) F344 랫드의 26주 배경데이터와 52주 결과를 비교하였다. 26주에 비해 52주에서는 암수 모두 혈액학적 검사 결과 백혈구수, 림프구수 및 호중구수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에서는 52주에서 암수 모두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혈당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장기중량에서는 수컷은 흉선 절대 및 상대중량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는 52주에서 비종양 증식성 병변이 더 다양하게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4) Japan SLC와의 배경데이터와 26주 및 52주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혈액생화학적 검사항목에서는 16개 항목 중 7개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8개 항목 중 2개 항목, 장기중량에서는 26주의 암컷흉선 절대중량과 52주의 수컷 간 절대중량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 시 사 점 만성 시험을 위한 배경데이터를 확보하였고, 26주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주령 증가에 따른 병리학적 변화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배경데이터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생산자와 종 및 계통이 동일하더라도 타 기관의 배경데이터를 활용할 때는 실험기관 내부의 배경데이터와 우선 비교하여 결과값의 유사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3. 연구 활용방안 - 제 언 지속적으로 주령별 동물별 대조군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배경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활 용 흡입독성연구센터에서 향후 수행될 F344 랫드 및 B6C3F1 마우스를 이용한 만성 흡입독성시험의 독성평가 시 활용한다.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병리검사부 이미주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