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생물학적 노출평가 표준시료 개발(2)

연구책임자
이미영 외 1명
수 행 연 도
2017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특수건강진단기관 분석정도관리는 1995년 혈액 중 납과 소변 중 마뇨산 등 2 항목으로 시작하였고 2017년 현재 유기 분석 11 항목, 무기 분석 6 항목으로 총 17 항목을 분석정도관리 항목으로 운영하여 유해화학물질의 생물학적 노출평가 분석 신뢰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연구원에서는 2005년까지 총 15항목의 정도관리 표준시료를 개발하여 정도관리에 활용하였으며, 2015년부터 연차적으로 국내 생물학적 노출 평가에 필요한 분석 항목을 추가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생물학적 노출 평가 수행 항목 추가가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여 분석정도관리 활용을 위한 표준 시료를 개발하고, 이를 분석정도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정도관리 항목 개발과 특수건강진단 실무 활용성을 고려하여 특수건강진단 생물학적 노출 평가 2차 항목인 소변 중 니켈을 본 연구의 표준시료 개발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소변 중 니켈을 원자흡광광도기로 분석하였고 니켈 표준 시료의 균질성을 조사한 결과, 3 가지 농도 시료를 모두 균질하게 조제하였음을 생물학적 노출평가 표준 시료 개발(2) 특수건강진단 정도관리 항목 개발 - 소변 중 니켈 확인하였다. 시료를 조제한 후 25 ℃, 4 ℃, -20 ℃, -80 ℃에서 1 주일, 1 개월이 경과한 시점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조제한 표준시료는 모두 1 개월까지 큰 농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소변 중 니켈 표준 시료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 시 사 점 신규로 소변 중 니켈 항목을 특수건강진단 분석정도관리 항목의 분석 신뢰도 확인에 활용하여 특수건강진단기관의 분석 능력 검증을 통한 분석 신뢰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 예상된다. 3. 연구 활용방안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특수건강진단기관 정도관리 항목에 소변 중 니켈을 추가하여 정도관리 사업에 연구 결과를 직접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니켈 노출근로자의 생물학적 노출 평가의 신뢰도 향상 및 이를 통한 근로자의 건강 보호에 기여한다.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 이미영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