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작업환경측정분석 국가 산업표준(KS) 개정(2)

연구책임자
황용식 외 6명
수 행 연 도
2018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 사업장공기 분과(ISO TC146/SC2)의 산업표준(KS, 31종) 운영이 산업 표준화법시행령 개정(’15.3.3.)에 따라 산업자원부에서 고용노동부로 이관됨 ○ 이에 따라 작업장 공기의 국가산업표준(KS)을 정확성, 합리성, 국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더욱 쉽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산업표준 개정(안)을 만들고자 함 2. 주요 연구내용 -연구내용 및 방법 ○ 최근 확인 고시된 21개 KS표준에 대한 용어 및 구문 수정, ISO 국제표준 대비 누락된 사항의 추가 등을 통해 ISO 국제표준에 충실히 부합되도록 개정(안) 작성 ○ ISO 국제표준 제/개정 사항 검토 및 규격 대비 누락된 사항의 추가,용어 통일화, 문구 수정 등 ISO 국제규격에 충실히 부합되도록 개정 - 연구결과 ○ KS 국가표준서의 기본 용어를 참고하였고, 작업환경측정 및 분석관련 법률적인 용어, KOSHA GUIDE, 관련 문헌 등을 참고하여 국제표준에 사용된 용어를 통일 ○ 작업환경측정기관에서 기존의 작업환경 측정 및 분석방법에 대한 적용범위를 검토한 결과 3개의 국가산업표준(KSIISO 8760, KSIISO 8761, KSIISO 28439)을 제외한 18개 국가산업표준은 적용 가능함을 확인 ○ 산업표준에 대한 아래의 21건의 개정(안) 마련 KSIISO 8760, 8761, 11041, 11174, 13137, 15202-1, 15202-2, 15767, 16200-1, 16702, 16740, 17734-1, 17734-2, 17735, 17737, 21438-1, 21438-2, 21438-3, 24095, 28439, 30011 3. 연구 활용방안 ○ 작업장 공기의 국가산업표준(KS)으로 정확성, 합리성, 국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더욱 쉽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산업표준을 개정함으로써 작업환경측정분석 국가산업표준(KS)은 하나의 공인된 시험방법으로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고, 다른 방법적 시험이나 측정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함으로써 근로자, 기업 등 이해 당사자의 이익과 효율을 보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신라환경컨설팅(주) 대표 황용식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김성호 연구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