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 자율항목 도입을 위한 연구(1)

연구책임자
박해동 외 2명
수 행 연 도
2018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751.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 1. 연구배경 ○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는 25년 동안 유기화합물과 금속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이들의 분석결과 신뢰성향상에 기여하였음. 정도관리 커버리지 확대에 대한 요구 증대 등으로 관련법령개정을 통하여 자율항목이 도입됨. 물질의 특성, 분석장비 및 사회적 요구사항 등을 고려하여 포름알데히드를 자율항목으로 도입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함. 2. 주요 연구내용 ○ 포름알데히드를 평가하는 방법에서 분석장비별로 보면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흡광광도계법이 있으며, 채취매체는 유도체가 코팅된 실리카겔관, 여과지, 수동식시료채취기 등이 있으나, 국내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유도체가 코팅된 실리카겔관으로 포집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하고 있음. ○ ‘17년 작업환경측정 결과자료에서 포름알데히드는 7,080건 보고, 기하평균은 0.0037 ppm(기하표준편차 1.373)수준, 노출기준의 10% 미만이 72.7%, 노출기준의 50% 이상은 1.4%, 노출기준 초과는 0.1% 수준임. ○ 영국의 정도관리에서 포름알데히드 시료농도는 3.1 ~ 7.8 ㎍/filter 수준이었으며, 적합율은 78 ~ 91%임. 독일 정도관리에서는 0.04 ~ 0.23 ㎎/㎥ 시료농도에서 61 ~ 100%의 적합율을 보임. ○ 이상값을 제거하고 기준값을 산정하는 방식은 유사하나, 적합범위는 표준편차의 2배를 적용하는 경우와 3배를 적용하는 경우로 나뉘며, 세부사항에서는 정도관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음. ○ 포름알데히드 표준시약 2종을 이용하여 시료조제방법을 확인하였고, 포름알데히드 1~10 ㎍/sample 시료에 대한 3개월간 상온 및 냉장보관하면서 안정성을 확인함. ○ 2회의 실험실간 분석숙련도 평가를 통하여 시료송부시 시료안정성을 확인하였고, 자율참여 36개 기관의 분석능력평가에서 연구원의 분석값을 기준값으로 하였으며, 변이계수를 4.5%로 적용하여 적합범위를 산정함. ○ 자율참여기관의 부적합 요인을 분석하여, 표준용액 농도 적용 및 희석배수 적용, 탈착효율 실험시약의 순도 등의 포름알데히드분석에서 발생가능한 오류요인을 조사하여 제시함. 3. 연구 활용방안 ○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 자율항목으로 포름알데히드를 적용 ○ 포름알데히드 작업환경측정 및 분석결과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박해동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