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항공기 청소노동자의 직무 및 노출가능 유해인자 특성 연구

연구책임자
김기연 외 3명
수 행 연 도
2018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항공기 청소노동자들은 일반 청소업무와 다르게 좁은 작업 공간과 제한된 시간 내에 작업을 해야 하는 특수성이 있으나, 해당 직무에 대한 노출 가능 유해인자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정보가 부족함. * 최근 국내 항공사 기내 살충소독제 피렌스린계(pyrethroids) 델타메트린 중독으로 인한 청소노동자 집단 실신 사건과 기내 청소제품의 구성성분(TEMP, CH2200) 논란과 관련하여, 항공기 청소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작업환경 유해도 평가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음. * 실제 현장에서 청소노동자가 사용하는 화학제품 및 화학물질 목록을 파악하고 노출가능 유해인자를 평가하고자 함. 2. 주요 연구내용 - 연 구 결 과(기내 소독·청소 방법 및 국가별 검역규정 조사) * 항공기 청소 작업은 기체청소, 기내 일반 클리닝, 기내 스페셜 클리닝, 기내 딥 클리닝으로 구분되어 있음. * 기체청소는 항공기 외부의 오염물질을 마른 걸레로 닦아내는 작업으로, 필요시 물을 사용하고 있음(15분 이내 작업). * 기내 청소는 작업시간에 따라 구분 되고 있으며, 가장 청소시간이 긴 딥 클리닝(4시간 소요)의 경우 소독 및 살충작업이 포함되어 있음. * 일부 국가(호주, 뉴질랜드 등)에서는 입항하는 모든 항공기에 대한 검역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하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고 있는 살충소독제를 사용하고 있음. - 연 구 결 과(화학물질 목록 조사 및 노출시나리오 파악) * 화학물질 목록 조사 대상 업체 5개 중 4개의 업체에서 16개 화학 제품의 MSDS 등을 수집하여 화학물질 인벤토리를 구축하였음. * 항공기 청소 업체에서 취급하는 제품 중 유독물질에 해당하는 성분 10%미만으로 함유된 제품은 4개로 조사됨. * 주요 살충제 성분으로는 퍼메트린(permethrin), 데카메트린이 확인되었음. * 퍼메트린(permethrin)을 대상으로 노출평가 실시 결과 작업자의 흡입 및 경구의 DNEL 값은 0.04mg/㎥(8시간), 0.05mg/kg day-1 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작업자의 흡입, 경피, 전체 위해도는 모든 노출경로에서 33~41배 정도로 위해한 것으로 나타남. - 연 구 결 과(청소공간의 특성에 따른 작업조건 파악) * 국내 항공사 23개의 청소 협력 업체를 전수조사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평가 대상 1,500명 중 95명에게서 설문을 회신 받음. ? 설문조사 분석결과 청소노동자들은 주로 분진 발생에 가장 큰 불편함을 느꼈고, 개인보호장비는 장갑을 위주로 착용하였음. * 현장 직무조사 결과 좁은 공간에서의 제한된 움직임과 불편한 자세 그리고 중량물 취급으로 인한 근골격계 증상과 분진발생에 대한 불편함이 가장 컸으며, 소독 및 살충 작업 시 화학물질 사용으로 인한 불안감을 호소하였음. - 연 구 결 과(향후 연구가 필요한 유해인자에 대한 예비조사) * 항공기 기내, 휴게장소, 실외에 대한 온도, 소음, 분진, 휘발성 유기화합물, 악취, 총 보유세균, 총 보유진균에 대하여 직독식 장비로 측정하였으며, 일부 청소노동자에 한해 소음, 분진에 대한 개인시료 측정을 실시하였음. * 직독식 장비 측정결과, 각 유해인자별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은 없었으며, 호흡성 분진에 대한 일부 개인시료는 실내공기질 기준을 초과하였음(0.25mg/㎥, 노출기준 = 0.15mg/㎥). - 시 사 점 * 항공기 청소노동자들의 작업현장에서는 청소 공간 및 작업종류에 따라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일부 살충소독작업에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스크리닝 수준의 노출평가 실시하였으며, 향후 청소노동자에 대한 위해성 평가 및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관리적인 방안이 필요함. * 설문조사 및 현장 조사 결과 대부분의 청소노동자들은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및 관리가 필요함. 3. 연구 활용방안 - 제 언 * 항공기 청소노동자가 작업하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를 직독식 장비를 활용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나, 대부분의 결과 값은 노출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음. 이는 정해진 비행 일정을 준수하기 위해 짧은 시간 내에 청소를 해야 되는 특수성으로 완벽한 개인노출을 평가하는데 제한이 있었음. 이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개인시료 측정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 - 활 용 * 산업보건학회 학술대회 발표 및 국내외 산업보건관련 학회지 논문발표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교수 김기연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박현희 연구위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