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1-Propanol의 독성병리 연구

연구책임자
조은상 외 2명
수 행 연 도
2018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1-Propanol은 프린트용 잉크, 페인트, 화장품, 농약 등의 제조시 용매로서 대량 사용되며, 식품 첨가물, 손세정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요 인체 노출 경로는 흡입, 피부 노출, 섭취 등으로, 호흡기 및 안자극성 물질로 독성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많은 제조·사용량에 비해 추가의 독성 기전에 대한 연구가 적고, 향후 발암성 시험을 위한 선도 자료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번 연구를 통해 1-Propanol의 흡입독성 수행 동물 시료를 이용하여 1-Propanol의 유해성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추가하고 독성 기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1) 1-Propanol에 대한 물질정보, 사용량 및 선행된 독성 시험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90일간 전신 흡입노출을 수행한 F344 랫드 및 B6C3F1 마우스의 생체 시료 분석 결과 혈액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혈액 응고검사에서 1-Propanol의 흡입에 의한 독성 변화의 명확한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2) 수컷 랫드의 체중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장기 무게, 현미경적 장기 소견 등의 결과에서 1-Propanol에 의한 뚜렷한 장기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알콜성 간 병변에서 주로 나타나는 세포질 내 봉입체(Mallory’s body)는 일반 염색 및 CK8, CK18, UB를 이용한 면역 염색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5) 랫드와 마우스의 최고농도 노출군에서 간의 대사 효소인 시토크롬 P450 (CYP3A4, CYP2E1 및 CYP1A1/2)이 증가되었음을 면역염색을 통해 확인하였다. - 시 사 점 1-Propanol을 90일간 전신 흡입 노출한 동물 시료에서 시험 물질에 의한 명확한 장기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특정 대사산물도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간의 주요 대사 효소인 시토트롬 P450이 5200ppm 노출군에서 암컷과 수컷 모두에서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장기 시험으로 진행했을 경우 간에서의 물질 대사 증가로 인한 추가적인 병변이 발생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3. 연구 활용방안 - 제 언 연구 결과를 통해 화학물질에 의한 장기 손상 기전 연구에 기여하고, 해당 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의 건강 유해성 평가에 기초 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활 용 ? 연구 결과보고서 배포를 통해 기초 연구에 활용 ? 유관학회(한국독성학회 등) 학술대회 발표 예정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병리검사부 조은상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