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화학공장의 사고사례를 활용한 정상 및 비정상 작업 시의 화재폭발사고 원인 조사

연구책임자
서동현 외 3명
수 행 연 도
2018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10년간(2008년~2017년)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화재·폭발 사고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국내 화학공장 등의 제조업 설비가 노후화 되면서 수리나 보전작업과 같은 비일상적인 작업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관련 동향을 파악하고 대책 마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과거 10년간 제조업에서 발생한 화재·폭발 및 화학물질 누출·접촉에 의한 사망사고 사례를 수집하고 지식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2. 주요 연구내용 각각의 사고는 일상(정상)작업과 비일상(비정상)작업으로 구분하였고, 분류된 작업별 특성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사고와 연관된 작업대상 기계·기구·설비와 작업내용을 별도의 기준에 따라 구분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작업내용 및 기계·설비의 사고 연관성을 도식화함으로써 사업주 및 작업자가 이해 및 활용하기 쉬운 형태로 분석결과를 제공하였으며 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329건의 화재·폭발 및 화학물질 누출·접촉에 의한 사고 중 일상작업 중에 발생한 사망사고가 166건(50.5%), 비일상작업 중에 발생한 사망사고가 117건(35.6%)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작업과 비일상작업 중에 발생한 사고건수만을 비교하면 약 6대 4(6:4)의 비율로 나타났는데, 비일상적인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만을 고려하면 짧은 시간에상대적으로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업종별로는 화학제품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사망사고가 발생했는데 일상작업과 비일상작업 중의 화재·폭발 사고건수는 각각 26건과 24건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화학물질 누출·접촉에 의한 사고는 일상작업(3건)보다는 비일상작업(9건) 중에 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다. (3) 기계·기구·설비 수리와 점검·보전 작업 중에는 각각 35건과 25건의 화재·폭발 사고가 발생했는데 수리작업 중 사고의 85.7%(30건), 점검·보전 작업 중 사고의 56.0%(14건)가 비일상적인 작업 중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작업별로는 용접·용단 작업 중에 가장 많은 화재·폭발사고가 발생하였고, 일상적인 용접·용단작업 중 31건, 비일상 작업 중 32건이 발생해 일상과 비일상 작업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4) 화학공정과 관련된 화합물 제조 및 취급설비에서의 화재·폭발 사고는일상작업 중에 15건, 비일상적인 작업 중에 19건이 발생하여 일상적인 작업보다는 비일상적인 작업에서 사고가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 났다. (5) 사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선박, 드럼, 로와 같이 사고가 많이 발생한 기계·기구·설비와 용접·용단작업에 대해서 작업대상 기계·설비 및 작업내용에 따른 사고의 연결과정을 나무 형태로 도식화하여 나타냈다. - 시 사 점 본 연구에서는 화학공정 설비를 비롯해서 화재·폭발 및 화학물질 누출·접촉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기계·기구·설비에 대한 사망사고 발생 특성 및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사망사고 건수가 많은 기계·기구설비 및 작업내용 대해서는 부상사고를 포함하여 같이 분석하고 사고나무를 통해 그 결과를 요약하면 사고 발생 원인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그 결과를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연구 활용방안 본 연구과제의 결과는 화재·폭발 관련 안전보건지침의 개정, 기술자료의 개발, 안전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관련 내용을 기술자료로 개발하고 안전학회 등에 논문으로 발표하여 사업주 및 작업자가 활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연구센터 위험성연구부 서동현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