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안전기술 향상을 위한 ICT 융복합 연구

연구책임자
임진석
수 행 연 도
2018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 배경 ○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과 정보화 혁명 등으로 사람·사물·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로 진입 중이며, ○ 우리나라 역시 세계 최고의 인프라와 제조업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 구현의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극복해야할 여러 가지 과제가 산재하고 ○ 특히 제조업 등에 신기술과 융·복합 기술 등이 적용됨에 따라, 산업현장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지고 있어 새로운 유해위험요인이 발생될 우려가 존재함 ○ 이렇게 변화하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1차적으로 현재 작업환경에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융·복합 안전기술을 접목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사례를 발굴할 필요가 있음 ○ 또한 1차적으로 발굴된 안전기술 관련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융·복합 기술 개발사례를 전파하고,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융·복합 안전기술 실용화를 제안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 2. 주요 연구내용 ○ ICT 융·복합 안전기술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 및 문헌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ICT 융·복합, 안전산업, 안전기술, ICT 융·복합 안전기술의 개념 및 유형을 V장에서 정립하였고, ○ 또한 ICT 융복합 안전기술 및 제품 개발을 발굴하기 위해, Ⅳ장에서 2012년∼2017년 12말까지 수집된 산업재해 데이터 중 업종, 사고발생형태, 기인물, 사고개요 총 496,207건 재해자료를 활용하여 키워드 분석 및 빈도분석 등을 통해 사고 유형과 주요 원인 등을 도출하였으며, ○ 이 분석을 통해, 사고사망 관련 사망비율과 인과관계가 있는 사고발생형태, 기인물 등에서 나타나는 키워드와 빈도 등을 종합하여 사고발생형태 및 업종별 주요 기인물 연계도를 도출하였음 ○ Ⅲ장 및 Ⅳ에서 산업재해예방 관련 ICT 융·복합 안전기술 개발 사례 및 현황, 특허 분석 등과 산업재해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관련 ICT 융·복합 안전기술 제품 후보를 도출하였음 ○ 앞의 모든 내용을 종합하여, 근로자가 산업현장에서 착용해야하는 형태로서, 현재 많이 상용화되어 있는 밴드 타입과 안전모를 중심으로 개발하는 것이 현실성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음 ○ 이러한 제품의 형태와 속성을 중심으로 형태-결합분석 매트릭스를 구축하여 다양한 ICT 안전모와 안전밴드 제품 컨셉을 도출하였음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ICT 융복합 안전기술 개발 실용화 로드맵을 구축하였음 3. 연구 활용방안 ○ ICT 융·복합 안전기술 실용화 로드맵을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기술 및 제품 등을 개발하여, 근로자에게 보급할 수 있음 ○ 나아가 관련 관리 기준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안전연구실 임진석 과장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