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PSM 대상 사업장에서 비일상작업 시의 재해 조사 연구

연구책임자
서동현 외 4명
수 행 연 도
2019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 사업장 설립 후 20년 이상 경과한 공정안전관리(PSM) 대상 화학공장에서는 노후설비의 점검, 보수 또는 정비 공사 등 비일상적인 작업이 증가하고 있고, 공정 변경 및 개선작업과 같은 다양한 비일상적인 작업을 수시로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 따라서 국내 PSM 대상 사업장에서 과거 10년 동안 발생한 재해사례를 분석하여 비일상작업 중의 사고 예방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통계 분석 자료 필요

 

2. 주요연구내용

- 최근 10(2009~2018) 동안 PSM 대상 화학제품제조업에서 발생한 1,483건의 사고사례를 수집하여 이를 일상작업과 비일상작업 중의 사고로 구분하고, 비일상작업 중에 발생한 사고를 대상으로 작업내용, 작업 대상 기계·설비, 사업장 운영기간 등과의 연관성을 분석함

- 비일상작업 중에 발생한 사고가 전체의 56%(832)을 차지했고, 일상작업 중의 사고가 전체의 34%(50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 작업내용별로 비일상작업 중 발생한 832건의 사고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기계설비의 점검보전작업 중 가장 많은 300(36.1%)의 사고 발생했고, 기계설비의 수리작업 중에 245(29.4%)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남. 작업대상 기계·설비별로는 화합물 제조 및 취급설비와 화합물 가공기계에서 작업 중일 때 각각 196(23.6%), 185(22.2%)의 사고가 발생했고 가열, 에너지 등 부대지원설비 관련 작업 중에 88(10.6%), 컨베이어 관련 작업 중 43(5.2%)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남

- PSM 대상 화학제품제조업에서 발생한 사고는 일상작업보다는 비일상작업 중에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업장의 운영기간이 오래되거나 규모가 클수록 비일상작업 중의 사고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3. 연구담당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서동현 연구위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