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인체피부모델을 이용한 산업화학물질의 피부 자극성 분류 적용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김현옥 외 4명
수 행 연 도
202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인체피부모델을 이용한 생체외(In vitro) 피부 자극성 시험시스템을 우수실험실 운영규정(GLP) 수준으로 구축하여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피부 자극성 분류정보를 신속하게 생산 및 제공하여 화학물질의 피부접촉에 의한 산업재해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또한, 건강 유해성 평가를 위한 연구원의 시험 및 연구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주요 연구내용
연구결과
 ○ 인체피부모델을 이용한 생체외(In vitro) 피부 자극성 시험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표준작업지침서(SOP) 5종을 개발하였다.
 ○ 인체피부모델(SkinEthicTM RHE)의 기능 재현성 및 숙련도 확인을 위한 숙련도 검증시험을 실시한 결과 OECD 가이드라인 등에서 규정하는 UN GHS 분류와 일치하였다.
 ○ 화평법 사전등록물질로 제조,수입량이 연간 100톤 이상인 물질 중 피부 부식성/자극성 시험결과가 없는 물질을 대상으로 고용노동부 노출기준 설정물질 2종과 ECHA REACH 발암성 예측물질 2종을 선정하여 총 4종에 대한 피부 자극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피부 자극성 물질(UN GHS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구분 2)로 분류되었다.
 ○ 향후, 인체피부모델을 이용한 생체외(In vitro) 피부 자극성 시험에 대한 GLP 인증을 취득함으로써 연구원의 GLP 시험항목을 확대하고,
  - 일본 수출제한 조치 관련 소재,부품,장비 제조 및 개발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피부 자극성 시험자료 생산을 지원함으로써 해당산업 종사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시사점
 ○ GLP 수준의 인체피부모델을 이용한 피부 자극성 시험을 통해 동물을 사용하지 않고, 신속·정확하게 피부 자극성 정보를 생산·제공함으로써 화학물질 누출 및 피부접촉으로 인한 산업재해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시험기획부 김현옥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