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생체지표를 활용한 발암성 조기 탐색법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이미주 외 2명
수 행 연 도
202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발암성 시험과정에서 발생하는 시료는 희귀성과 중요성이 높으나, 현재는 발암성 평가의 목적으로만 사용하고 있어, 발암성 시험과정 중에 발생하는 검체의 활용도를 높여 독성 및 발암성 평가이외에 추가적인 결과를 도출할 필요성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발암성시험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시료를 활용하여 독성 및 발암성 규명이외의 독성 기전, 생체지표 개발 등 추가적인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음.
2. 주요 연구내용
연구결과
혈청, 50종류 조직의 파라핀 블록 및 22종류의 생조직을 추가로 활용가능
병리적 기법은 조직병리검사, 면역염색, 임상병리검사 등의 기 수행법이외에 in situ hybridization, microarray 등을 추가 수행 가능함
발암성 생체지표별 탐지기법과 필요시료를 분석한 결과, 발암성시험에서 발생하는 시료로 탐색가능한 발암성 생체지표는 DNA, RNA, 암 단백질임
발암성시험 시료를 활용한 연구방안으로 발암성 예비시험인 4주 및 13주 반복시험과 2년 발암성 본시험 결과를 연계하고 병리학적 기법을 접목하여 독성기전 규명과 생체지표발굴 연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음
 
시사점
발암성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검체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독성 변화의 기전규명 및 종양생체지표 개발연구시 추가적인 동물사용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대부분의 생체지표연구는 병변중심적인 연구이나, 산업보건분야에서는 화학물질중심의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물질중심의 연구가 적절함
독성정보의 생산에 더하여 독성기전의 규명과 생체지표발굴연구 등을 통해 산업화학물질의 흡입독성연구기관으로서의 위상 제고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병리검사부 이미주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