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화학물질 노출관리를 위한 노출 모델 적용 연구

연구책임자
이나루 외 2명
수 행 연 도
202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노동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사각지대 없이 유해 화학물질 관리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화학물질 등록 제도에서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에 대한 사전평가를 요구하고 있음. 이에 따라 화학물질 노출모델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노출모델 개발 및 검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 전문가 인터뷰 결과, 사업장 화학물질 관리는 위험성평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노출평가에서 작업환경측정의 한계를 인정하고, 노출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리스크관리조치(RMM)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의견이 수렴됨
  ○ 1단계(Tier 1) 화학물질 노출 모델의 활용성은 확인되었으나, 노출모델에 대한 정도관리, 리스크관리조치(RMM) 정의 등이 보완되어야 하고, 실제 화학물질 사용 사업장에서 노출모델을 이용하여 화학물질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유럽연합의 현재 권고임
  ○ 디클로로메탄에 대한 작업환경측정결과, 신뢰성평가 결과 및 ECETOC TRA 추정값을 비교해 본 결과, 노출 추정값은 공정과 환기조건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났으며, 거의 모든 공정에서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국소 배기 시설이 필요하다고 나타남. 작업환경측정결과는 공정과 환기조건에 따른 차이가 크게 보이지 않음. 신뢰성 평가 결과는 공정과 환기조건의 차이에 따라 측정값의 차이가 보임
  ○ 국내 화학물질 위험성평가는 CHARM을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자 역량과 활용 목적에 맞게 위험성평가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필요가 있음. 특히, 소규모사업장에서의 화학물질 위험성평가는 법적인 의무사항이 아니므로, 개선조치 여부를 판단하는 목적인 COSHH 이센셜을 활용할 필요가 있고, 위험성평가 방법 보급보다 위험이 높은 공정과 작업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개선조치 시트 개발이 우선되어야 함
 
 □ 시사점
  ○ 화학물질 노출모델은 노출평가의 방법으로 제한점을 인지하고 노출 상황의 맥락적 정보와 함께 사용하여야 함
  ○ 화학물질 노출평가는 화학물질관리의 한 과정으로 유해성 인식과 리스크관리조치 판단 단계와 이어져야 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사업장에서 실제 실행되도록 하는 것임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화학물질정보연구부 이나루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