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난용성물질의 흡입노출 후 표적 부위 노출 확인 연구

연구책임자
김용순 외 2명
수 행 연 도
202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해외의 경우 금속의 유해성 평가는 카테고리/Read across 접근 방법 등을 활용하고 있으나 금속의 특성, 금속-금속 화합물 등에 관한 정보 부족으로 실제 평가 시에는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음. 한편 난용성물질은 일정 기간 동안 조직 내에 체류하여 생체 내 유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 본시험은 금속-금속 화합물 중 향후 사용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인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산화물 대상으로 독성영향과 노출 후 조직 내 분포 경향을 확인하였음.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 NMC 흡입노출 후 기관지폐포세척액 분석 결과 암수 T2(1 mg/m3) T3(2 mg/m3)에서 total proteinlactate dehydrogenase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음.
  ○ 폐조직의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T1(0.5 mg/m3), T2(1 mg/m3) T3(2 mg/m3) 시험군에서 염증소견이 관찰되었음.
  ○ 기관지폐포세척액 분석 결과와 폐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통해 LOAEC(Lowest observed adverse effect concentration)0.5 mg/m3 로 판단하였음.
  ○ 독성예측의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는 조직 내 침착(body burden) 에서는 이전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음.
 
 □ 시사점
  ○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NMC28일 흡입노출 후 폐에 미칠 수 있는 유해성과 회복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흡입시험연구부 김용순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