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작업환경측정분석 국가산업표준(KS) 제정연구(2)

연구책임자
황용식 외 6명
수 행 연 도
202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작업환경분야 한국산업표준(KS)의 제·개정 업무는 2014년 범부처 참여형 국가표준 운영체계 도입 이래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국가기술표준원)에서 고용노동부로 이관됨에 따라, 고용노동부 및 안전보건공단은 매년 작업환경분야 KS의 제·개정, 폐지 또는 적부확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작업환경분야 KS는 국제표준화기구(ISO/TC146/SC2, Workplace atmospheres)의 ISO 표준을 부합화하여 KS로 제정된 후 개정, 폐지 또는 적부확인 되고 있음.
○ 작업환경측정 분석과 관련된 작업장공기 분과(ISO TC146/SC2)에서 국가표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ISO 표준 5종에 대해서 국제표준의 대응과 산업표준(KS)의 정확성, 합리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표준을 제정하는 과정에서 번역하여 제정(안)마련하기 위함.


2. 주요 연구내용


○ 국내·외 관련 문헌(안전보건기술지침, 서적 및 연구보고서 등) 고찰
○ 작업환경분야 ISO 표준 중 KS 제정 대상을 선정하여 번역 및 검토
○ KS 제정 양식에 맞춰 KS(안) 마련

○ 산업안전보건법, 정부 규정 또는 관련 지침(안전보건기술지침 분석방법 등)과 비교하여 작업환경분야 KS의 활용방안 제시
○ ISO 표준 5종 목록
- ISO 19087:2018 : 퓨리에-변환 적외선 분광광도기에 의한 호흡성
결정형 실리카분석
- ISO 21832:2018 : 공기 중 입자의 금속 및 준금속
― 측정 절차 평가의 요구사항
- ISO 22065:2019 : 가스 및 증기
― 펌프 시료채취기를 이용한 측정 절차 평가 요구사항
- IEC 62990-1 : 파트 1 : 가스 검지기
― 유해가스 검출기의 성능 요구사항
- IEC 62990-1/COR 1:2019


3. 연구 활용방안
○ 국가산업표준(KS)을 제정함으로써 작업장 공기 산업표준(KS)의 국제성, 정확성, 합리성을 높이고, 작업환경측정 및 분석방법의 신뢰성 향상에 이바지하고, 다른 시험방법이나 측정방법으로 인한 혼란을 예방함으로써 근로자, 기업 등 이해 당사자의 이익과 효율을 보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신라환경컨설팅(주) 대표 황용식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김성호 과장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