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바로가기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정전기 화재·폭발 원인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

연구책임자
변정환
수 행 연 도
2023년
핵 심 단 어
안전관리,원인분석,정전기,화재·폭발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석유화학·정유·에너지산업, 반도체·전자산업의 동향분석 결과 신물질 취급사용 확대에 따라 정전기적 위험물질 수요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석유화학공장 및 생산설비의 노후화로 인해 화재·폭발 위험 공정 및 작업에서의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정전기 화재·폭발 특성상 현장 보존의 어려움, 물적 증거 부족 및 실증실험 관련 방법·절차 및 장비 등의 부재로 정전기 화재·폭발 사고조사는 대체로 추정의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사고조사 결과의 신뢰성·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재해발생 원인 변수, 원인분석 방법 및 절차 그리고 실증적 실험방법 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정전기 화재·폭발 재해조사 의견서에 대한 발생원인의 재해석, 유해·위험요인 재분류 및 개입지점의 상세화를 통해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를 안전한 수준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는 절차 및 방법 등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주요 연구내용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를 안전한 수준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는 절차 및 방법 등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정전기 관련 중대재해 및 중대산업사고 현황
고용부 산업재해통계, 소방청 화재통계, 일본 후생노동성 산재통계와 일본 소방청 화재통계 분석을 통해 국내·외 정전기 관련 중대재해 및 중대산업사고 현황을 파악·정리하였다.
 
2) 정전기 화재·폭발 발생원인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정전기 화재·폭발 관련 재해조사 의견서를 심층 분석하고,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일본 노동후생성 산재통계의 발생개요 분석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정전기 화재·폭발 발생원인을 각각 정리 및 비교·분석하였다.
 
3) 정전기 관련 위험요인 및 주요 변수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정전기 화재·폭발 관련 재해조사 의견서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발생원인, 기인물, 발생공정, 작업형태 및 정전기 현상 등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정전기 관련 위험요인 및 주요변수를 도출하였다.
 
4) 화재·폭발 위험장소의 정전기 안전관리 방안
연구내용을 토대로 선행연구 분석,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정전기 안전관리 방안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위험 관리, 정전기 위험성 평가, 주요 원인변수 통제, 정전기 관련 화재·폭발 조사)을 마련하였다.
3. 연구 활용방안
정전기 화재·폭발 관련 유해·위험요인 및 재해발생 원인변수 도출결과를 토대로 수립한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안전관리 방안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개정 등에 활용하고, 유해·위험요인별로 안전작업 절차를 마련하고 재해발생 원인변수에 대해서는 중대재해 원인조사에 필수항목으로 반영 예정이다.
또한 연구결과 환류를 위해서 기술지침·매뉴얼 개발에 활용하고, 연구성과 홍보를 위해서 학술지 논문게재 및 학술대회 발표 예정이다.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