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인력에 의한 중량물 취급 특성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이준석,이석원
수 행 연 도
201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현대 산업 사회는 기계화 자동화와 같은 생산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생산 현장은 물론 일상 생활사회에서도 작업의 효율과 작업 방법의 편리성 등 많은 부분들이 향상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산업 부분에서 인간의 힘을 동력원으로 하는 육체노동이 수행되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많은 경우 그 작업부하나 작업방법이 지나치거나 부적절하여 작업자에게 과도한 육체적 부하를 유발하고 있으며 이는 요통재해와 같은 직업성 질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한 부작용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업무 관련성 근골격계질환(WMSD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이다. 또한 근골격계질환 중 약 60% 정도가 인력에 의한 중량물취급(MMH: Manual material handling)작업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요통재해로 조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들기작업에서 발생하는 요통재해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국내의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실제 다양한 생산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들기작업(Lifting Task)을 대상으로 NIOSH 기준과 같이 국내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외국의 기준이 실제 한국인들에게 적합한 평가기준인지를 실험적 방법을 통하여 평가하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작업자에게 적합한 중량물 취급(MMH) 작업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 국내 근골격계질환인 요통재해 분석 ○ 국내·외 중량물 취급 형태별 가이드라인 등 문헌조사 ○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인력에 의한 중량물 작업의 대표적 작업유형과 특성 파악 ○ 중량물 작업에 대한 취급 특성에 따른 유해요인 평가분석 및 현장 적용 용이성, 효과 평가 (NLE, 3D SSPP 등) ○ 중량물 취급 특성에 따른 인간공학적 실험 ○ 작업자세별 최대 근력(MVC)의 측정 실험 ○ 가이드라인 평가와 실험 결과에 대한 차이 및 적용성 분석 ○ 인종적, 작업 특성적 차이에 대한 보정적 가능성 분석 ○ 국내적용 가능한 중량물 취급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3. 연구결과 실제 생산현장에서 이루어지는 380개의 들기 작업 형태에 대한 중량물 취급작업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10개의 작업을 선정하여 NIOSH Lifting Guide의 국내 적용적합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20-50대의 남녀 총40명이 10개의 선정된 들기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생리학적(Physiological), 생체역학적(Biomechanical), 심물리학적(Psychophysical) 반응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의 NIOSH Guide를 한국인에게 수정 없이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많은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덧붙여 실시한 근력 실험에서도 한국인의 평균 근력이 서양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70-80% 적게 나타나 많은 부담과 위험이 존재함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특성에 적합한 들기기준의 산정을 위하여 보정치적인 방법과 Zone 형태의 Guide를 제시하였으며, 추후 보다 많은 조건을 고려한 추가적 실험을 통하여 보다 정밀한 안전하중의 산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함께 제시된 들기작업 자세에 따른 부담 신체부위를 나타내는 Matrix 가이드라인은 현장에서 특정 신체부위의 작업위험을 사전 인지하고 작업자에 대한 사전적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예방적 가이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활용 및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들기작업 유해성 평가에 수정없이 사용되어 온 NIOSH Guideline을 국내에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많은 부담과 문제점이 클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인에게 적합한 들기작업의 가이드라인으로 보정계수와 Zone 형태의 가이드 라인이 적합한 것으로 제안되었다. 또한, 함께 제시된 작업위치에 따른 근육부위의 동원형태 Matrix는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추후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한 작업조건을 고려한 추가적인 실험에 바탕한 한국형 들기작업 가이드라인의 완성이 요구된다. 5. 중심어 중량물 취급 작업(MMH), 요통재해, NIOSH 들기작업, 작업생리학, 생체역학, 심물리학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