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생물학적 노출평가 기준 및 분석방법 연구-납 등 중금속 10종

연구책임자
김형렬,구정완,한진구,홍정연,박용선,최원선,김지원,양동혁,박상범,한영선,오소연,이승엽,이미영
수 행 연 도
201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과제명 : 생물학적 노출평가 기준 및 분석방법 연구Ⅲ - 납 등 중금속 10종 2. 연구기간 : 2010년 4월 15일 ~ 2010년 10월 31일 (총 6개월) 3. 연구자 가. 연구책임자 김형렬 (조교수, 보건학박사, 가톨릭의대) 나. 연구원 구정완 (부교수, 보건학박사, 가톨릭의대) 한진구 (선임연구원, 보건학석사,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홍정연 (임상강사, 보건학석사,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박용선 (부장, 보건학석사, 서울의과학연구소) 다. 연구보조원 최원선 (전공의, 의학사,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김지원 (전공의, 의학사,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양동혁 (연구원, 약학박사, 팜트리) 박상범 (연구원, 보건학석사, 서울의과학연구소) 한영선 (연구원, 공학석사,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오소연 (연구원, 이학사, 서울의과학연구소) 이승엽 (연구원, 전문학사,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4. 연구목적 및 필요성 생물학적 노출 평가 관련 기준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구원에서 제?개정한 「근로자 건강진단 실무지침」상에 제안되어 근로자의 건강 진단을 위한 기준으로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준 제정 이후 새로운 생물학적 노출 평가 방법 및 기준 제안에 관한 최근 국내외 연구 결과 및 제도 반영 요구가 있으며, 관련 법규로 고용노동부 고시 제2007-25호 제?개정에 따른 TLV가 제?개정된 물질들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도 제?개정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생물학적 노출지표 중에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8조제3호 및 별표 12의2에서 특수건강진단 대상유해인자가 설정되어 있는 물질 중 우리나라에는 생물학적 노출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국에는 생물학적 노출기준가 제시되어 있는 물질이 있어 이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기준 반영 여부 검토가 필요하다. 반대로 외국에는 생물학적 노출기준이 없는데 우리나라에만 BEI가 설정되어 있는 물질에 대해서는 TLV 등 관련 법규, PBTK 등의 독성동태모델 등의 검토를 통한 생물학적 노출기준으로서 제안된 과학적, 정책적합의근거자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최근까지의 국내외 노출 현황을 반영한 실질적인 생물학적 노출 평가 기준 개정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관련 근거를 체계적으로 정비하며, 실제로 응용이 가능한 생체 시료 분석 방법을 표준화하고자 하였다. 5. 연구방법 및 내용 10종 중금속 관련 생물학적 노출 평가 지표 19항목 및 17개 분석 항목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 기준 검토 및 개선(안) 제시 및 분석법 검증을 위하여 국내외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TLV등 관련법규와 PBTK 등의 독성동태모델 등의 검토를 통한 생물학적 노출기준 개정안 및 개정 근거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 방법의 표준화를 위해 Validation 용 pooled blood & urine 제작하여 분석법의 신뢰성 검증시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그 외에 직선성, 정밀도, 검출한계, 정량한계 등의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여 변수를 제시하였다. 또한 각 단계에서 산업의학전문의 및 분석전문가, 중금속 분석기기회사의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였다. 6. 연구결과 1) 생물학적 노풀평가지표의 설정 근거와 미국 ACGIH, 국제보건기구(WHO), 영국 HSE, 독일 DFG 등의 해외 생물학적 노출기준 및 근거자료를 조사하였다. 미국 ACGIH의 생물학적 노출지표(BEI)와 그 설정근거(The Documentation of the BEIs)가 포괄적인 역학조사 등의 연구결과 및 독성동태등의 검토를 통해 가장 신뢰성 있고 상세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었으며, 영국 HSE, 독일 DFG를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이 기준을 채택하거나 차용하고 있었다. 영국 HSE 및 핀란드 FIOSH 등의 유럽국가에서는 몰(mol) 단위를 쓰고 있어 우리나라와 미국 ACGIH, 독일 DFG 등의 그램(g) 단위의 기준치와 직접적인 비교는 힘들고 각 중금속의 분자량으로 환산해서 적용가능하다. 2) 연구대상인 10개 중금속 가운데 비소 및 삼산화비소, 삼수소화비소를 비소 항목으로 묶어 총 9개 중금속 항목의 생물학적 노출평가 설정기준을 다음의 순서로 정리하였다. - 납 및 4알킬연, 수은, 카드뮴, 크롬, 니켈 및 황화니켈, 안티몬, 오산화바나듐, 비소 및 삼산화비소, 삼수소화비소, 망간 3) 납 등 중금속 10종의 생물학적 노출지표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4) 납 등 10종 중금속의 생물학적 노출지표 분석방법을 실제 실험을 수행하여 각 분석방법의 분석 과정, 분석 결과, 정확도, 정밀도, 검출한계, 정량한계를 제시하였다. 중금속 각 물질별 분석방법은 다음의 순서로 정리하였다. - 측정원리, 작용기전과 건강영향, 검체, 시약 및 기구, 표준물질 제조, 정도관리, 시료 전처리 및 분석, 장비 및 기기 구성도, 계산, 검사한계, 참고치, 참고문헌, 검증실험 backup data 5) 본 연구결과 생물학적 노출지표 분석방법에서 제시하는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7. 활용계획 국내 특수건강진단기관에서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시 정확한 항목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특수건강진단 분석실에서 생물학적 노출지표물질의 분석시 신뢰성이 확보된 표준방법을 활용하여 전체분석과정상의 오류를 줄여 시간적, 경제적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8. 중심어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 중금속, 생체시료, 표준분석방법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