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간호직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및 직무스트레스 위험요인

연구책임자
박정근,김대성,장승희,허경화,조준희,우희성,신유민
수 행 연 도
201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및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점차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실시한 연구는 주로 설문지를 이용했고 대부분 하나나 두개 병원의 전체근로자나 특정부서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였다. 그러나 여전히 MSDs 및 직무스트레스의 위험에 대한 인간공학적 접근이 부족하였으며, 간호작업에 관한 조사, 물리적 및 심리사회적 요인의 노출실태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2008년 WHO collaborating center (WHOcc)로 지정된 이래 건강증진 및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중장기 연구프로젝트 과제가 계획되었고 보건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안전보건 예방활동에 관한 정보 또는 조사 자료가 요구되어져 간호사의 MSDs 및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MSD 증상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노출실태를 파악하여 간호직 근로자의 MSDs과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문헌고찰, 설문지 예비조사, 설문조사, 관찰조사 및 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여 종합병원 간호사의 MSD 증상 및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는 실태를 파악했다. 연구대상자는 병원간호사였다. 병원은 전국에 산재된 15개 종합병원이었으며, 설문조사 대상자는 병원에 따라 20 - 70명을 선정했다. 병원은 대한간호협회와 의료연대로부터 추천을 받아 선정했다. 간호작업을 분류하였고, ‘병원간호사의 주요 직무 및 작업에 관한 계층적 요약표 (taxonomy)’를 개발하여 병원간호사 MSDs 및 직무스트레스의 위험요인을 조사하였다. 병원별 설문조사 참여자의 10%에 해당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관찰조사를 실시했다. 관찰조사는 비디오분석 기법을 이용하였고 작업자세 분석은 REBA를 이용했다. 설문조사 및 관찰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간호작업의 빈도분포 특징을 분석했고 MSD 증상 유무에 따라 개인요인, 조직요인, 간호작업요인, 물리적요인 및 심리사회적요인별 연구대상자의 분포에 대해 χ 2-test를 통해 분석했다. 각 요인이 MSD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단변량 및 다변량 logistic regression를 실시하여 분석했다.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근골격계질환 및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3. 연구결과 설문조사에서 최종 분석대상 간호사는 총 501명 (회수율: 95%)이었으며, 이들 중 관찰조사에 참여하여 업무분석 및 작업자세에 대해 최종 분석된 대상자는 27명이었다. 수집된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합병원 간호사의 업무 전체를 대상으로 7개 작업그룹으로 분류하여 간호작업을 선정했다: 임상보조, 질병 검사/치료, 환자보호, 예약/등록, 영상단말기(VDT) 작업, 병실순회, 그리고 전화작업. 분류된 간호 작업을 바탕으로 '병원간호사 MSDs 및 직무스트레스 위험요인의 계층별 요약표'를 개발했다. 설문조사 결과 연구대상자 중 지난 12개월 동안 가장 많이 또는 자주 수행한 간호작업은 VDT 작업(42%), 병실순회(40%), 질병 검사/치료(37%), 전화작업(34%) 순으로 나타났다. 육체적으로 가장 힘든 작업의 1순위는 환자보호(55%)였으며, 정신적으로 가장 힘든 작업의 1순위는 전화작업(42%)이었다. 2) MSD 증상에서 연구대상자의 전신 MSD 증상 유병률은 80%였고 신체 부위별 증상 유병률은 61%(어깨), 55%(다리/발), 51%(허리), 42%(목), 38%(손목/손/손가락), 및 21%(팔꿈치) 순이었다. 3) 개인요인별 항목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MSD 증상 유무 분포에 대해 χ2-test를 실시한 결과 연수입과 현재건강상태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직요인의 경우 하루근무시간과 하루휴식시간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간호작업요인은 신체부위 MSDs 중 전신과 어깨에서 매우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고 목과 손목/손/손가락 부위에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물리적요인과 MSD 증상 사이의 유의수준은 두 가지를 제외한 모든 조합에서 적어도 매우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인간공학 및 통합물리요인의 경우 두 변수 사이의 모든 조합에서 매우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 심리사회적요인 중 직무요구, 조직체계 및 통합심리요인 변수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조합에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4) 다변량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MSD 증상과 26개의 독립변수의 관계를 살펴봤다. Odds ratio의 범위는 0.4-22.4이었는데 신체부위에 따라 달랐으나 MSDs에 적어도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변수는 전체 변수 중 통합물리요인, 하루근무시간, 현재건강상태, 인간공학, 관계갈등, 직무 불안정, BMI, 간호작업요인, 작업부하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5) 병원간호사의 MSDs 및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거나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병원의 간호작업을 분류한 후에 MSDs 유발 가능성이 큰 간호 작업을 우선 관리대상으로 정하고 작업별 MSDs 및 직무스트레스 위험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체부위에 따라 MSD 증상 유병률을 파악하고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해 세부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관리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MSD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작업요인, 작업환경, 인간공학, 통합물리요인 같은 물리적 요인이외에도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직무요구, 관계갈등, 보상부적절과 같은 심리사회적 요인을 포함해야 하며, 개인요인과 조직요인도 함께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병원간호사의 MSDs 및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간호작업, MSD 증상 및 관련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MSDs 및 직무스트레스의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험요인이 파악되면 이해관계자의 참여 속에 병원간호사의 MSDs 및 직무스트레스 관리 순위를 결정하여 개선을 추진하는 방안이 중요하다. 4. 활용 및 기대효과 종합병원의 간호작업과 MSDs 및 직무스트레스 위험요인의 노출 특징을 파악하여 이들을 예방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종합 병원을 포함한 보건의료업에 종사하는 간호직 근로자의 MSDs 및 직무 스트레스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 분야에 MSDs 및 직무스트레스 예방에 관한 연구와 사업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간호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업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구보고서는 MSDs 및 직무스트레스 예방에 관심 있는 근로자, 사업주, 안전보건관리자, 안전보건대행기관 종사자, 정책담당자, 인간공학전문가에게 제공하여 활용토록 할 것이다. 보고서는 참여 병원과 본 연구의 참여 기관인 대한간호협회와 의료연대에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일부 자료는 WHO에 보고하고 다른 WHOcc들과 정보 교류할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5. 중심어 근골격계질환 증상, 직무스트레스, 위험요인, 간호작업, 병원간호사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