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재해사례
  • 국내 재해사례
  • 건설업

재해사례

게시판 상세페이지
아파트 현장에서 이동식 크레인 붐대 특고압선에 접촉 감전 사고 2004.06.14
작성자 : 관리자
     제목 : 아파트 현장에서 이동식 크레인 붐대 특고압선에 접촉 감전 사고
     업종 : 건설업
   기인물 : 크레인 붐대
 피해정도 : 사망 1명
     공정 : 아파트공사
 재해유형 : 감전
     날짜 : 1994년 07월


  1. 재해개요

     '94. 7. 8. 10:20경, 경남 창원시 대원동 소재,
   APT 증축공사 현장에서 협력업체 ○○건설(주)소속 피재자
   (직영인부, 24세)가 CARGO TRUCK을 이용하여 자재를 운반하다
   CRANE의 붐대가 고압선에 접촉되며, 감전되어 병원에서 치료중
   15일후 사망한 재해임.

  2. 재해상황

    ○ 현장 상부에 고압선로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CARGO TRUCK의
       CRANE을 접근하여 작업하던중, 유도차 미배치 및 전선로 안전
       이격거리를 유지하지 않고, CARGO CRANE을 이용 거푸집 합판을
       소운반 작업

    ○ CARGO CRANE 운전자가 눈 짐작으로 붐대를 수직으로 세우려고
       작동하다, 붐대가 상부 고압선로에 닿아 고압선이 절단되면서,
       고압선이 GUARD FENCE에 닿는 순간 현장 내부에서 외부로 GUARD
       FENCE를 넘어 이동하던 피재자가 감전되어 병원에서 치료중
       사망한 것으로 추정됨.

       [그림] 재해상황도

  3. 재해원인

    ○ 장비의 특고압선 접촉사고 방지조치 미흡
    ○ 카고 트럭 크레인 붐대를 필요이상 치켜 세움

  4. 재해예방대책

    ○ 감전재해예방 조치 실시
      - 전선로의 설치상태, CARGO CRANE의 사용위치, 붐의 형상 및
        작업범위 등을 파악하여 작업여건상 충분한 이격거리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전선로 관리자와 협의하여 작업착수전 전선로를
        고무절연관 또는 폴리에틸 전연관 등을 씌워 방호 조치한다.

    ○ 전선로와 이격거리 유지
      - 크레인등 중장비를 사용하여 가공전선 하부 또는 측면에서
        작업시에는 사전에 가공선로에 높이 CARGO CRANE 붐대의
        이동범위 등을 충분히 검토, 충분히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또한
        CARGO CRANE 붐 등의 눈짐작 오차등으로 이격거리 이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행동반경을 제한할 수 있도록
        울타리, 바리 케이트 등을 설치하도록 한다.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