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재해사례
  • 국내 재해사례
  • 건설업

재해사례

게시판 상세페이지
크레인 붐대가 특고압선에 접촉 감전 2004.06.14
작성자 : 관리자
     제목 : 크레인 붐대가 특고압선에 접촉 감전
     업종 : 건설업
   기인물 : 크레인 붐대
 피해정도 : 사망 1명
     공정 : 근린생활시설공사
 재해유형 : 감전
     날짜 : 1995년 06월


  1. 재해개요

    □ 소   재   지 : 강원도 평창 소재
    □ 공   사   명 : ○○중공업(주) ○○파크신축
    □ 피   재   자 : 철근공, 27세
    □ 재해내용요약 :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근운반중 크레인 붐대가 22.9KV 특고압
       전선에 접촉되어 철근다발을 잡고 있던 피재자 감전 사망

  2. 재해상황

    ○ 철근 야적장에서 카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약 500m 떨어진
       작업장으로 철근 다발을 옮기기 위한 작업
    ○ 철근 다발을 1회 운반 완료하고, 2회째 철근 5다발을 트럭에
       싣고 야적장 주위의 나머지 철근 다발을 정리하던중
    ○ 크레인의 붐대가 고압선에 접촉되면서, 크레인의 Hook에 매달려
       있는 철근다발 걸이용 Wire Rope를 잡고 유도하던 피재자가
       감전사망

       [그림] 재해상황도

  3. 재해원인

    ○ 충전선로에 절연용 방호관 등 방호시설미설치
      - 철근 야적장 상부에 위치한 특고압 가공선로가 활선상태임에도
       절연용 방호관 설치 등 안전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크레인의
       붐대가 전선에 접촉되어 크레인 및 Hook등에 충전됨

    ○ 작업 감시자 미배치

    ○ 활선 접근 작업시 감전위험성에 대한 작업자의 인식 부족

    ○ 야적장 선정 부적합
      - 특고압선 접촉위험구역내에 자재를 야적

  4. 재해예방대책

    ○ 가공 전선으로부터 크레인 등 중장비 작업장소의 충분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 충전 전로에 절연용 방호관 설치
      - 전선로의 설치상태, 크레인 사용위치, 붐의 형상 및 작업범위
        등을 파악한 결과 안전한 이격거리 유지가 작업 여건상
        불가능할 경우 작업착수전 전선에 방호관 등을 씌워 방호조치
        한다.

    ○ 야적장 선정시 중량물 운반 중기의 고압 충전선로의 감전
       위험성이 없는 장소로 선정한다.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