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직독식장비의 활용을 통한 작업환경관리방안(Ⅰ)(PID 센서를 이용한 유기화합물 평가를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김성호 외 2명
수 행 연 도
2022년
핵 심 단 어
PID,유기화합물,작업환경관리,직독식장비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종류 및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현행 작업환경측정제도로 작업장관리 및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개선된 작업환경측정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시점에서,
○ 직독식 시료채취 방법은 펌프식 시료채취 방법 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작업환경측정·평가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고, 급성중독 물질 등 근로자 노출 시에 즉각적인 건강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 적용이 고려되고 있음
○ 본 연구는 직독식장비 중 PID 방식 장비를 활용하여 사업장에서 자율예방 목적으로 해당 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음
2. 주요 연구내용
1) PID 직독식장비 활용 방안
PID 직독식장비는 당장 법적 장비로 활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었으며, 직독식장비의 장점을 활용하여 실시간 데이터의 피크 노출(peak exposure) 관리를 통한 자율예방 목적의 유해물질 모니터링 방법으로는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한계점: 극한 환경(온도·습도) 영향, 고농도 평가 시 간섭 영향, 센서 오염, 정확도 수준 저하, 화학물질 간의 상호영향(cross-sensitivity)
○ 피크노출 관리: ACGIH 3/5 규칙, 단시간 노출기준(STEL), 최고노출기준(C), 노출상한치(EL), 즉시건강위험농도(IDLH), 탄화수소용매 혼합물평가 등
○ PID 직독식장비는 사용이 간편하고 현장 적용성이 좋으나, 화학물질 간의 상호영향 등 데이터 해석에는 전문 기술이 필요함.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문인력을 구분(Tier 1~4)하고 관련 역할*을 소개함
* 역할: 직독식장비의 기능 이해, 적절한 사용의 설명, 장비 표시/알람의 대응 및 인지, 고장수리, 장비 관리, 장비 선택, 데이터 해석
○ PID 직독식장비는 작업환경측정의 예비조사 또는 공정의 오염원을 확인하는데 활용되며, PID 센서의 개발로 인한 정확도가 향상된다면 향후근로자 노출평가 도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2) 챔버연구
혼합물(아세톤, 이소프로필 알콜, 톨루엔, m-자일렌)의 농도수준(14, 162, 323, 862 ppm)별 PID 직독식장비의 농도와 활성탄 시료채취 분석 농도(기준 농도)를 비교하여 정확도 기준(95% 신뢰구간에서 정확도 25% 이내)을 비교하였음
○ 챔버 실험 11회 중 단 1회만(9%)이 NIOSH에서 제시하는 정확도 기준에 만족하였으며, 대부분 PID 직독식장비의 농도가 기준 농도에 비해 과소평가되었음
○ 보정계수로 PID 직독식장비의 농도를 보정한 결과, 제조사보정계수를 적용한 경우, 모든 실험에서 정확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고, 필드보정계수를 적용한 경우, 모두 정확도 기준을 만족하였음
- 제한점: 본 챔버연구는 환경적 요인(온·습도)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필드보정계수의 적용 여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함
3) PID 직독식장비의 특성
○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15종의 PID 직독식장비 중 개인 평가용*은 2종(13%)으로 조사되었고, 13종은 휴대용*으로 예비조사 또는 오염원을확인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었음
* 무게 기준: 개인 평가용은 500 g 이하, 휴대용은 12 kg 이하
○ PID 직독식장비의 측정방식은 펌프식이 확산식 보다 많았으며, PID 센서 외에 전기화학식 등 다양한 센서를 동시에 부착하는 멀티타입 측정 기기가 많았음
○ 모든 PID 직독식장비는 배터리 충전 방식, 알람모드 제공, 실시간 농도 수준 표시, 설정된 노출기준값과 비교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고, 일부 장비에서는 방폭 인증 등 필요한 인증을 취득하고 있었음
4) 향후 PID 직독식장비의 활용
○ 국내 사업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혼합물은 다양하며, 공정 또한 다양해서, 이러한 사업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PID 직독식장비에 대한 현장 연구, 환경요인을 고려한 챔버연구가 필요함. 또한 직독식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교육 프로토콜의 개발 및 대내·외적인 협력 인프라 조성이 필요함.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허브(HUB) 센터(가칭 직독식측정연구센터)가 신설될 필요가 있음
○ PID 직독식장비와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하여 효과적인 사업장의 화학물질 모니터링 사업을 할 수 있으며, 센서 기술의 발달로 인한 웨어러블 장비 등 모듈형 스마트 센서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이 필요함
3. 연구 활용방안
○ PID 직독식장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PID 직독식장비를 활용하여 작업환경관리를 하고자 하는 사업장에 활용될 수 있음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차장 김성호
☎ 052) 703 0892
E-mail sungho.kim@kosh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