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세포형질전환분석법을 이용한 단기 발암 예측연구

연구책임자
임철홍 외 1명
수 행 연 도
2022년
핵 심 단 어
2-Methoxyethanol,Anisole,세포형질전환
주 요 내 용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o 발암성평가는 주로 유전독성이 의심되는 물질을 대상으로 실험동물을 이용한 발암성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그 결과 유전독성이 의심되는 물질은 신소재 개발 등에서 사실상 배제되는 우려가 높아지고, 유전독성 스크리닝 시험에서 음성인 물질에 대해서는 발암성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어, OECD에서도 비유전독성물질의 발암성평가도 가능한 통합적 접근법에 기초한 새로운 발암평가체계를 제안하고 있음. 
o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발암성평가 전략에서 핵심지표로 검토되는 세포를 이용한 형질전환분석법을 구축하고 발암성평가에 적용함으로써 과학적이고 통합적인 새로운 발암성평가체계에 대응하고자 하였음. 
2. 주요 연구결과 
o 발암개시 단계와 촉진 단계에서의 각각 음성대조군과 양성대조물질(발암개시 시험은 3-MCA (3-methylcholanthrene), 발암촉진 시험은 TPA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를 사용하여 연구원 내에서의 세포형질전환분석법 수행 적정성을 확인하였음.
  - 발암개시 시험에서의 음성대조군의 초점수는 6(권고 15이하), 발암촉진 시험에서의 음성대조군의 초점수는 11(권고 20 이하)이었으며, 발암개시 및 발암촉진 시험 각각 3-MCA 및 TPA를 양성대조물질로 사용한 시험에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음.   
o 1,2-dichlorobenzene, 2-methoxyethanol, anisole을 대상으로 세포형질전환분석법을 적용하여 발암성 스크리닝을 실시한 결과, 1,2-dichlorobenzene, 2-methoxyethanol, anisole은 모두 발암 개시 및 촉진시험 모두에서 음성으로 나타나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3. 연락처 
o 연구책임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흡입독성연구센터 임철홍
o 연락처 042-869-8532
o e-mail : limch@kosha.or.kr